[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초등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관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참여한 3~6학년 자폐성장애초등학생의 어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1483
2024
Korean
Autism ; Inclusive Education ; Elementary School ; Perspective ; 자폐성장애 ; 통합교육 ; 초등학교 ; 경험
KCI등재
학술저널
185-219(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초등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관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참여한 3~6학년 자폐성장애초등학생의 어머...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초등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관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참여한 3~6학년 자폐성장애초등학생의 어머니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생각과 다른 통합교육’, ‘교사의 역량에 의해 좌우되는 통합교육’, ‘현실을 이기며 미래를 위해’의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에 대한기대감으로 자녀를 일반초등학교에 입학시켰지만 통합학급 수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실망감을 가졌다.
통합학급 수업참여 시간이 보장될 필요가 있음을 이야기 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통합교육에서 통합학급교사의 성향이 자녀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였고, 좋은 특수학급교사를 만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따라서 통합학급과 특수학급교사들은 자폐성장애학생학부모의 요구에 귀 기울이고 적극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통합교육상황에서 자녀들이어려운 상황에 놓이기도 하여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지만 자녀의 미래를 위해 통합상황이 필요함을 이야기하였다. 따라서 통합교육에서 자폐성장애학생 뿐 아니라 학부모들에게도 여러 가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mother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autism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Method] To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mothers of students with autism i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mother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autism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Method] To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mothers of students with autism in grades 3rd to 6th who are receiving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The study identified three major themes: ‘Inclusive Education Different from Expectations’, ‘Inclusive education influenced by teacher’s capabilities’, ‘Overcoming Reality for the Future’. [Conclusion]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enrolled their children in regular elementary schools with expectations about classes, but were disappointed because inclusive classes did not meet their expectations. It was discussed that participation time in inclusive classes needs to be guaranteed.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tendencies of inclusive class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had a great educational influence on their children, and considered it important to meet a good special class teacher. Therefore, inclusive and special class teachers need to listen to the need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autism and seek ways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m.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children are placed in difficult situations in inclusive education situations and suffer psychologically, but that inclusive situations are necessary for the children's future. Therefore, in inclusive education, various supports should be provided not only to students with autism but also to their parents.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발화-수반 제스처 특성 비교
양육자 코칭-가정 기반 긍정적 행동 지원(PBS)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 유아 양육자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행동기술훈련이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