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Determination of Zolpidem in blood samples from emergency room patients using GC-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55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매년 약독물에 의한 중독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독물 관련 급성 중독사고는 응급의학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약독물 중독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많은 환자들의 효과적인 처치를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독성물질의 확인이 필요하지만, 현재 응급실에서 약독물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및 스크리닝 분석법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독물의 빠르고 정확한 분석법을 확립하고, 불면증 치료를 목적으로 다빈도로 처방되는 zolpidem의 혈중농도를 측정하여 임상학적 증상과 비교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위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해, 2015년 2월에서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80명의 환자의 혈액샘플을 수집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zolpidem이 15건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어 이에 대한 method 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측정한 환자들의 zolpidem 혈중농도는 19.63 ~ 3605.85 ng/mL이었다. 15명의 zolpidem 중독환자 중 5명 (33 %)이 자살의 목적으로 zolpidem을 복용하였으며, 환자 전체 나이는 20 ~ 88세 범위였으며, zolpidem을 단독 투여한 경우가 5건,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한 경우가 10건이었고, alcohol이 검출된 경우는 3건이었다. 함께 복용한 약물은 tramadol이 4건, acetaminophen이 3건, trazodone과 chlorpheniramine이 각각 2건, alprazolam, clozapine, diphenhydramine, quetiapine이 각각 1건이었다. Zolpidem 농도는 80대 환자에게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약물농도와 GCS score, mental change와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고, 복용량과 복용 후 시료채취 경과시간과도 일치하지 않아 혈중농도와 임상증상이 연계가 되지 않았다. 이는 추정 복용량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다른 약물과의 병용 투여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15명의 환자는 높은 혈중농도를 보인 경우에도 수일 내 경과가 호전되어 퇴원한 것으로 보아, zolpidem 과량 복용으로 인한 중독은 경과가 양호하여 중독으로 인한 커다란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차후 응급실 환자의 시료에서 더 신속하게 약물을 검출하는 시스템, 정확한 복용량 정보, toxicokinetics 연구를 보강하여 응급실 환자들의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것이며, 법독성학 분야에서 zolpidem과 관련된 약물 중독사 판단을 위한 post-mortem 평가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매년 약독물에 의한 중독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독물 관련 급성 중독사고는 응급의학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약독물 중독으로 응...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매년 약독물에 의한 중독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독물 관련 급성 중독사고는 응급의학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약독물 중독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많은 환자들의 효과적인 처치를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독성물질의 확인이 필요하지만, 현재 응급실에서 약독물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및 스크리닝 분석법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독물의 빠르고 정확한 분석법을 확립하고, 불면증 치료를 목적으로 다빈도로 처방되는 zolpidem의 혈중농도를 측정하여 임상학적 증상과 비교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위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해, 2015년 2월에서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80명의 환자의 혈액샘플을 수집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zolpidem이 15건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어 이에 대한 method 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측정한 환자들의 zolpidem 혈중농도는 19.63 ~ 3605.85 ng/mL이었다. 15명의 zolpidem 중독환자 중 5명 (33 %)이 자살의 목적으로 zolpidem을 복용하였으며, 환자 전체 나이는 20 ~ 88세 범위였으며, zolpidem을 단독 투여한 경우가 5건,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한 경우가 10건이었고, alcohol이 검출된 경우는 3건이었다. 함께 복용한 약물은 tramadol이 4건, acetaminophen이 3건, trazodone과 chlorpheniramine이 각각 2건, alprazolam, clozapine, diphenhydramine, quetiapine이 각각 1건이었다. Zolpidem 농도는 80대 환자에게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약물농도와 GCS score, mental change와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고, 복용량과 복용 후 시료채취 경과시간과도 일치하지 않아 혈중농도와 임상증상이 연계가 되지 않았다. 이는 추정 복용량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다른 약물과의 병용 투여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15명의 환자는 높은 혈중농도를 보인 경우에도 수일 내 경과가 호전되어 퇴원한 것으로 보아, zolpidem 과량 복용으로 인한 중독은 경과가 양호하여 중독으로 인한 커다란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차후 응급실 환자의 시료에서 더 신속하게 약물을 검출하는 시스템, 정확한 복용량 정보, toxicokinetics 연구를 보강하여 응급실 환자들의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것이며, 법독성학 분야에서 zolpidem과 관련된 약물 중독사 판단을 위한 post-mortem 평가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 2. Case reports 4
      • 3. Experiments 8
      • 3.1. Patients samples 8
      • 3.2. Standards and reagents 8
      • 1. Introduction 1
      • 2. Case reports 4
      • 3. Experiments 8
      • 3.1. Patients samples 8
      • 3.2. Standards and reagents 8
      • 3.3. Sample preparation 9
      • 3.3.1. Sample preparation for screening of patients samples 9
      • 3.3.2. Sample preparation for quantification of patients samples 11
      • 3.4. GC-MS condition 13
      • 3.4.1. GC-MS condition for screening of patients samples 13
      • 3.4.2. GC-MS condition for quantification of patients samples 13
      • 3.5.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15
      • 4. Results and Discussion 16
      • 4.1. Demographics 16
      • 4.2. Status of detected drugs through screening method 19
      • 4.3.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21
      • 4.4. Blood concentration of zolpidem 23
      • 4.5. Clinical features with the blood concentration 26
      • 4.6. Estimated dose with the blood concentration 30
      • 4.7. Effects of alcohol and other drugs 32
      • 5. Conclusion 35
      • Reference 37
      • Abstract 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