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사후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67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학업 성취도와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실험 참가자는 인출연습 여부에 따라 재학...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학업 성취도와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실험 참가자는 인출연습 여부에 따라 재학습을 하는 통제집단과 인출연습을 하는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인출연습에 제공되는 피드백 정보의 양(실험집단 1: 정오 제공형 피드백, 실험집단 2: 정답 제공형 피드백, 실험집단 3: 정교화 피드백)에 따라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4개 분절로 이루어진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주어진 학습 조건에 따라 학습했다. 메타인지적 판단은 분절된 4번째 학습이 완료된 후 설문조사를 통해 판단하게 하였으며, 학업 성취도는 학습 종료 후 1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20개 문항(기제출 문항 9개 문항, 전이 문항 11개 문항)을 포함하는 최종시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시험에서 학업성취를 분석한 결과, 기제출 문항, 총 문항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제출 문항과 총 문항에서 실험집단의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는 기제출 문항과 총 문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았으며, 피드백 유형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trieval practice and various types of feedback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curacy of metacognitive judgment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trieval practice and various types of feedback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curacy of metacognitive judgment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which engaged in standard relearning,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that participated in retrieval practice. These group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type and amount of feedback provided: Group 1 received knowledge of results feedback, Group 2 received knowledge of correct response feedback, and Group 3 received elaborate feedback, each designed to test different aspects of learning reinforcement. Participants studied online learning content divided into four segments under these conditions. Metacognitive judgments were assessed through a survey after completing the fourth seg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by a final test consisting of 20 items (9 previously studied items and 11 transfer items), administered one week after the end of the learning period.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both the previously studied and total items.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more accurate metacognitive judgments in both item categor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feedback 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