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심리치료에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의 치유적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8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의의 목적은 예술심리치료에서 체화된 인지의 치유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예술심리치료에서 왜 체화된 인지가 중요한가? 체화된 ...

      본 논의의 목적은 예술심리치료에서 체화된 인지의 치유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예술심리치료에서 왜 체화된 인지가 중요한가? 체화된 인지와 예술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예술의 치유적 효과에 대한 체화된 인지의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체화된 인지는 몸을 매개로 한 마음의 무의식적 측면을 강조함으로서 심리적 문제에 대한 기 존의 논의에서 많은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둘째로, 예술은 몸을 매개로 한 체화된 마 음을 표현하고 확장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여 주요한 인지적 기능을 수행한다. 셋째로, 예술은 체화된 마음을 표출하고 확장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우리 를 활성화시키고, 이완시키고, 세계와 관계를 맺도록 하고, 마음을 변화시켜 의미를 새 롭게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치유적으로 기능한다. 이와 같은 체화된 인지의 치유적 함 의에 대한 본 논의는 이론적 체계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는 예술심리치료에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여 예술심리치료의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예술심리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healing implications of embodied cognition in arts psychotherapy.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Why is the embodied cognition important in arts psychotherapy? How specifically is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healing implications of embodied cognition in arts psychotherapy.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Why is the embodied cognition important in arts psychotherapy? How specifically is the embodied cognition related with arts?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embodied cognition with respect to the healing implications of the art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embodied cognition emphasizes the unconscious aspect of the mind which takes the body as the medium, requesting many changes in the existing argument on psychological issues. Second, the arts provide effective methods that express and expand the embodied mind which takes the body as the medium to engage in major cognitive functions. Third, the arts provide effective means of expressing and expanding embodied cognition to activate and relax us, and enable us build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and change our minds to construct a new meaning to facilitate healing. This paper on such healing implications of embodied cognition is expected to make an enormous contribution to intensifying the academic identity of arts psychotherapy and improving social consciousness toward arts psychotherapy by providing a crucial theoretical basis for arts psychotherapy which is lacking a theoretical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문제
      • Ⅱ. 예술심리치료에서 왜 체화된 인지인가?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문제
      • Ⅱ. 예술심리치료에서 왜 체화된 인지인가?
      • Ⅲ. 체화된 인지는 예술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 Ⅳ. 체화된 인지의 치유적 함의는 무엇인가?
      • 1. 왜 예술심리치료가 필요한가?
      • 2. 예술은 어떻게 치유적으로 기능하는가?
      • 3. 예술을 통한 마음의 변형과정은 어떠한가?
      • 4. 내담자의 마음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 V.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희선, "체화된 인지의 유아교육적 함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425-449, 2018

      2 강병직,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이론이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 (14): 73-94, 2013

      3 이진이, "체화된 인지 개념에 근거한 무용에서의 경험과 공감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4 Winner, E., "예술심리학" 학지사 2004

      5 이모영, "예술심리치료에서 미적체험의 치료적 차원에 대한 고찰 - 치료미학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81-104, 2010

      6 Maturana, H., "앎의 나무.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갈무리 2013

      7 Arnheim, R.,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8 Damagio, A., "스피노자의 뇌" 사이언스 북스 2007

      9 권석만,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학지사 5-6, 2000

      10 Malchiodi, C. A., "미술치료" 서울하우스 2008

      1 제희선, "체화된 인지의 유아교육적 함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425-449, 2018

      2 강병직,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이론이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 (14): 73-94, 2013

      3 이진이, "체화된 인지 개념에 근거한 무용에서의 경험과 공감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4 Winner, E., "예술심리학" 학지사 2004

      5 이모영, "예술심리치료에서 미적체험의 치료적 차원에 대한 고찰 - 치료미학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81-104, 2010

      6 Maturana, H., "앎의 나무.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갈무리 2013

      7 Arnheim, R.,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8 Damagio, A., "스피노자의 뇌" 사이언스 북스 2007

      9 권석만,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학지사 5-6, 2000

      10 Malchiodi, C. A., "미술치료" 서울하우스 2008

      11 Lakoff, G., "몸의 철학" 박이정 2002

      12 Varela, J., "몸의 인지과학" 김영사 2013

      13 이인식, "몸의 인지과학" 김영사 7-15, 2013

      14 Johnson, M., "몸의 의미" 동문선 2012

      15 이정모, "마음, 어떻게 움직이는가?" 은주사 290-344, 2009

      16 이정모, "뇌과학의 함정" 갤리온 8-14, 2009

      17 Noe, A., "뇌과학의 함정" 갤리온 2009

      18 Zhong, C. B., "Washing Away Your Sins: Threatened Morality and Physical Cleansing" 313 (313): 1451-1452, 2006

      19 Arnheim, R, "Thoughts on art education" The J. Paul Getty Trust 1989

      20 Clark, A., "The extended Mind" 58 : 10-23, 1998

      21 Levine, S. K., "Principles and practice of expressive arts therapy"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5-74, 2005

      22 Eckardt, N., "Lebensfaden Licht" 2 : 7-16, 1988

      23 Brugger, B., "Handbuch der Psychologie für die Seelsorge" Patmos-Verlag 45-79, 1992

      24 Petersen, P., "Forschungsmethoden Künsterischer Therapien" Mayer 13-29, 2002

      25 McNiff, S., "Educating the creative arts therapist: A profile of the profession" Paul Getty Trust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9 1.73 1.733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