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동체주택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과 실태 분석: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의 공급주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 of Community Space for Community Housing:Focused on Supply Houses of Housing Cooper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0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이 공급한 공동체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로 공동체주택 내 커뮤니티 공간의 위치와 공간계획적 특성, 운영현황 파악 및 이용자에 대한 현황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동체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은 건축법상 근린생활시설이나 주민공동시설로 공급되어 입주자들의 교류의 장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었으며, 접근성이 높은 출입구나 1층에 위치한 커뮤니티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주택에서의 입주자 만족도가 높은 반면 공동체 활동이 적은 주택에서는 입주자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공간의 용도가 명확한 작은 도서관에서 지역주민도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으며, 복합용도인 경우에는 충분한 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주택에서 커뮤니티 공간의 활용 및 만족도도 낮게 나타났다. 공동체주택에서 커뮤니티 공간은 접근성이 좋은 1층이나 주택단지의 입구에 위치하고 입주자들이 모두 모일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며, 공간의 용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복합용도인 경우에는 모임이외의 교육이나 강의를 위한 충분한 시설을 설치하여 커뮤니티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이 공급한 공동체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로 공동체주택 내 커뮤니티 공간의 위치와 공간계획적 특성, 운영현황 파악 및 이용자에 대한 현황과 만...

      본 연구는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이 공급한 공동체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로 공동체주택 내 커뮤니티 공간의 위치와 공간계획적 특성, 운영현황 파악 및 이용자에 대한 현황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동체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은 건축법상 근린생활시설이나 주민공동시설로 공급되어 입주자들의 교류의 장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었으며, 접근성이 높은 출입구나 1층에 위치한 커뮤니티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주택에서의 입주자 만족도가 높은 반면 공동체 활동이 적은 주택에서는 입주자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공간의 용도가 명확한 작은 도서관에서 지역주민도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으며, 복합용도인 경우에는 충분한 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주택에서 커뮤니티 공간의 활용 및 만족도도 낮게 나타났다. 공동체주택에서 커뮤니티 공간은 접근성이 좋은 1층이나 주택단지의 입구에 위치하고 입주자들이 모두 모일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며, 공간의 용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복합용도인 경우에는 모임이외의 교육이나 강의를 위한 충분한 시설을 설치하여 커뮤니티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ommunity space of community housing in which the housing management cooperative is established or in preparation and analyzes the location and spati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the status of operation and the utiliz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us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munity space was supplied to the neighborhood lining facilities or community facilities. It was enough to act as a place for exchange of residents. The use of community space was high in the entrance and the ground floor. It found that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houses which operated various programs. However,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low in the mixed-use housing where the community space was not utilized well or was inadequate. In order to activate the community, the community space should b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well-accessible first floor an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space. In the case of mixed use, sufficient facilities should be set up for meetings, training and lecture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ommunity space of community housing in which the housing management cooperative is established or in preparation and analyzes the location and spati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the status of operation a...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ommunity space of community housing in which the housing management cooperative is established or in preparation and analyzes the location and spati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the status of operation and the utiliz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us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munity space was supplied to the neighborhood lining facilities or community facilities. It was enough to act as a place for exchange of residents. The use of community space was high in the entrance and the ground floor. It found that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houses which operated various programs. However,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low in the mixed-use housing where the community space was not utilized well or was inadequate. In order to activate the community, the community space should b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well-accessible first floor an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space. In the case of mixed use, sufficient facilities should be set up for meetings, training and lect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근석, "코디네이터를 활용한 임대주택단지 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2 이하연,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컬렉티브하우스 공간특성 사례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3-12, 2016

      3 이윤서, "추진주체와 공동체주택" 61 (61): 37-40, 2017

      4 "자치법규정보시스템"

      5 강순주, "아파트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 제고를 위한 관리 참여 방안" 대한건축학회 28 (28): 99-106, 2012

      6 손세관,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의 이용실태 및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 (20): 145-155, 2009

      7 하성규, "아파트 공동체 운동과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7 (7): 271-299, 2000

      8 이원형, "아파트 거주자와 비아파트 거주자의 지역공동체의식 비교 연구" 27 (27): 329-334, 2015

      9 남원석, "서울시 공동체주택 정책의 현황과 과제" 60 (60): 11-14, 2016

      10 최보희, "로컬거버넌스를 통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5

      1 박근석, "코디네이터를 활용한 임대주택단지 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2 이하연,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컬렉티브하우스 공간특성 사례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3-12, 2016

      3 이윤서, "추진주체와 공동체주택" 61 (61): 37-40, 2017

      4 "자치법규정보시스템"

      5 강순주, "아파트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 제고를 위한 관리 참여 방안" 대한건축학회 28 (28): 99-106, 2012

      6 손세관,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의 이용실태 및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 (20): 145-155, 2009

      7 하성규, "아파트 공동체 운동과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7 (7): 271-299, 2000

      8 이원형, "아파트 거주자와 비아파트 거주자의 지역공동체의식 비교 연구" 27 (27): 329-334, 2015

      9 남원석, "서울시 공동체주택 정책의 현황과 과제" 60 (60): 11-14, 2016

      10 최보희, "로컬거버넌스를 통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5

      11 심연근, "도시형 코하우징의 커뮤니티공간 구성현황에 관한 연구" 19 (19): 265-268, 2017

      12 정지인, "농촌 지역공동체 활성화지역 주민의 공동체특성 - 충남 홍동지역 사례연구 -" 한국주거학회 26 (26): 105-118, 2015

      13 윤갑식, "공동주택단지내 공동체의식 활성화 프로그램의 중요도 분석과 함의"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25-138, 2014

      14 권태규,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의 선호도 및 만족도 연구 : 거주자 설문 및 관리자 면담을 중심으로" 11 (11): 38-43, 2009

      15 송진석, "공동주택 커뮤니티 계획이 주거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16 황지영, "공동주택 부대시설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선호도조사 연구 : 인천 송도신도시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17 박은철, "공동주택 단지의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1

      18 장용준, "공공주도형 공동체주택의 주거만족도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3 (33): 67-76,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75 1.10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