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실천되고 있는 학교 현장에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 교사 역량모델을 구안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39683
인천 :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학위논문(박사) --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공학 , 2017. 2
2017
한국어
인천
; 26 cm
지도교수: 임정훈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실천되고 있는 학교 현장에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 교사 역량모델을 구안하고, ...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실천되고 있는 학교 현장에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 교사 역량모델을 구안하고, 역량 수준 분석을 통해 현장 실천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역량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과 플립러닝에서의 교수자 역할, 개념 및 특성, 교수‧학습 방법과 역량모델 개발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을 우수하게 수행하고 있는 초등 교사 8명을 대상으로 행동사건면접과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잠정적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또한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이전 단계에서 구안한 잠정적 역량모델의 내용 타당성을 관련 전문가 10명을 통해 2회 검증하고 수정‧보완하여 최종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어서 최종 완성된 역량모델의 행동지표를 바탕으로 역량 측정 평가지를 제작하고, 현장 초등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현재의 보유수준과 필요수준 간에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역량에 따른 교육요구도 조사를 위해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적용하여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도출된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현장 실천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최우선 역량을 제안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 교사 역량모델은 크게 2개 영역, 4가지 역량군과 15개 역량, 56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첫째, 기반영역의 기초 소양 역량군에는 스마트 소양 촉진 능력, 교육변화에 대한 적응력, 스마트 역량, 온라인 상호작용 능력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으며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환경 조성 역량군에는 물리적 환경구성, 인적 네트워크 형성, 플립러닝 실천의지, 관계형성력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둘째, 실행영역의 교육계획 및 실행준비 역량군에는 내용선정‧구조화, 플립러닝 수업설계 능력, 디딤영상 제작능력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으며 플립러닝 수업실천 역량군에는 온‧오프라인 활동 연계 능력, 학습자 중심 수업운영 능력, 맞춤형 피드백 능력, 자기수업성찰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 교사의 역량에 관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보유수준과 향후 중요하게 인식하는 필요수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Borich 요구도 결과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 결과를 접목하여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해 초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최우선 역량을 도출하였다.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해서 초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15개 역량 중에서 최우선 순위로 갖추어야 할 역량은 ‘①인적 네트워크 형성, ②플립러닝 실천의지, ③온‧오프라인 활동 연계 능력, ④디딤영상 제작능력, ⑤자기수업성찰 역량’등으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과 종합한 결과 이 중에서 초등 교사가 가장 필요로 하는 역량으로 온‧오프라인 활동 연계 능력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들이 먼저 개발된다면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 및 자신감이 높아 질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배경 변인별 요구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 경험 유·무, 성별, 경력별, 학력별 특성에 따라 15개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 경험 유·무에 따라 매우 다른 요구도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학교 현장에서 실천을 해본 집단이 현재 보유수준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에서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며,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 운영과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을 실천하는 교사들에 대한 역량 평가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천세영, "스마트교육 혁명", 북이십일 21세기북스, 서울: 21세기 북스, 2012
2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여재대학교, 2004
3 김병찬, "교사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17(3), 113-141, 2000
4 박경선, "보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5 곽덕훈, "스마트 교육의 의미와 전망", 스마트교육 코리아 세미나 발표자료, 2010
6 박영숙, "& Jerome, C. 유엔미래보고서 2045", 파주: 교보문구(주), 2015
7 정승희, "수업컨설턴트의 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 배현경, 이해정, 조대연, 박용호,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 연구, 29(2), 299-320, 2012
9 고영민, 김한일, 김대영, "중등 정보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4), 33-43, 2016
10 최진영, 이경진, 김경자, 장신호, "초등학교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안암교육학회, 안암교육학회, 15(3), 103-130, 2009
1 천세영, "스마트교육 혁명", 북이십일 21세기북스, 서울: 21세기 북스, 2012
2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여재대학교, 2004
3 김병찬, "교사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17(3), 113-141, 2000
4 박경선, "보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5 곽덕훈, "스마트 교육의 의미와 전망", 스마트교육 코리아 세미나 발표자료, 2010
6 박영숙, "& Jerome, C. 유엔미래보고서 2045", 파주: 교보문구(주), 2015
7 정승희, "수업컨설턴트의 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 배현경, 이해정, 조대연, 박용호,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 연구, 29(2), 299-320, 2012
9 고영민, 김한일, 김대영, "중등 정보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4), 33-43, 2016
10 최진영, 이경진, 김경자, 장신호, "초등학교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안암교육학회, 안암교육학회, 15(3), 103-130, 2009
11 주현준, "우수 학교장의 지도성 역량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2 방재현,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129-147, 2012
13 나승일 ( Seung Il Na ), 백아롱(Ah-Rong Baek), 임재원(Jae-Won Lim), 이찬(Chan Lee), 김진모(Jin-Mo Kim), 정철영 ( Chyul Young Jyung ), "차세대 영재기업인 역량모델개발", 한국농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1), 155-176, 2010
14 채석용, "플립러닝 철학수업에서의 글쓰기", 대학작문연구, 10, 205-240, 2015
15 교육부,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보도 자료", 교육부, 2015
16 맹준희, 천세영, 전미애,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 공업교육연구, 39(1), 102-127, 2014
17 김강문, "부장교사의 리더십에 대한 자기평가",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8 류희수, 이성근, "스마트교육의 핵심요소에 대한 제안", 한국정보교육학회, 한국정보교육학회, 17(2), 102-113, 2013
19 노규성, 변종봉, 김귀곤, "스마트워커의 역량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6지털정책연 구, 9(5), 215-224, 2011
20 이홍민, "인적자본 역량모델 개발과 역량평가", 서울: 리드리드출판(주), 2009
21 서명희, 김민정, "중등학교 학생부 교사의 역량모델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구, 14(9), 391-409, 2014
22 박남기, "초등교직의 전문성 문제와 확보방안", 초등교육연구, 13(2), 239-254, 2000
23 이정선, 최영순,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학교경험 연구", 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학연구, 14(1), 135-163, 2007
24 김영배, "플립러닝 지원시스템 설계 원리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5 박소연, "사회적 기업가의 역량 모델 개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HRD연구, 12(2), 67-87, 2010
26 구영일, 박충식, "스마트교육을 위한 오픈 디지털교과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지능정보연구, 19(2), 177-189, 2013
27 조은순, "교육공학 관점에서 보는 미래 교육환경",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31(3), 687-708, 2015
28 서유경, "스마트교육 시대의 국어교육 연구 방향", 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63-82, 2013
29 길대환, 주대진, 정철영, 송민철, 박종선, 김진모, "농업인의 농업생산 역량 진 단도구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4), 55-77, 2011
30 김상홍,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수업모형 개발", 인천대학교 대학원,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5
31 연은경, "사례기반학습을 위한 설계 원리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2013
32 전은화, 정효정, "플립러닝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교재 개발", 2014 KSET 춘계 학술대회자료집, 407-420, 2014
33 교육부,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성과보고회 자료집", 교육부, 2016
34 이상기(Lee, Sang-Khee), 권민화(Kwon, Min-Hwa), "스마트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4(2), 258-294, 2014
35 김장호, "인본주의 기업패러다임과 총체적 학습 사회", 직업능력개발연구, 6(2), 95-123, 2003
36 이진구, 변정현, 박용호, "특성화고 취업지원관의 직무역량 요구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능력 개발연구, 15(3), 27-51, 2012
37 길형석, "학습자중심의 교과교육을 위한 철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 1-27, 2001
38 허희옥, 이현우, 임규연, 김현진,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원역량 진단 도구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2), 151-173, 2013
39 강정화,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활용 방안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9(5), 265-274, 2011
40 천세영, "한국의 스마트교육추진전략과 교육학적 의미",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34(2), 1-16, 2013
41 장은주, "국어수업에서 ‘거꾸로 교실’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199-217, 2015
42 이선연, "독서토론을 위한 플립러닝 교수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3 조동섭,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인사제도의 발전방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3(1), 75-92, 2013
44 이진구, 이현우, 유기웅, 박용호, "국내 대기업 사내강사의 역량 및 교육 요구 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 연구, 16(1), 279-299, 2014
45 이은상, 최유현, "기술 교사의 공학 교수 역량 모델 개발 및 타당화", 한국기술교육학회, 한국기술교육학회, 15(3), 1-25, 2015
46 이상수, 이유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 연구, 23(2), 135-159, 2007
47 장미,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역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8 한선관, 이정인, "스마트 러닝(Smart-Learning)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 논총연구, 34(3), 127-140, 2014
49 엄성원,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스기 교육의 모형 연구", 대학작문, (15), 73-97, 2016
50 김진모, 전영욱,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 개발", 농업 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37(2), 111-137, 2005
51 이지현, 김현수, 한형종, 임철일, 김선영, "대학에서의 역전학습 설계 및 적용 사례 비교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014KSET춘계학술대회자료집, 396-406, 2014
52 이희숙, "플립러닝의 효과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15
53 김정랑, 김수환, 김용신, 계보경, 한선관,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 효과성 검 증 도구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한국정보교육학회, 18(2), 357-370, 2014
54 피수영, Pi, Su-Young, "융복합 교육 시대에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6), 29-37, 2015
55 김영주 ( Young Ju Kim ), 박용호(Yong Ho Park), "자연친화교육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 역량모델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 교육학회, 17(4), 297-321, 2013
56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83-92, 2013
57 류지춘, 이신동,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핵심역량 모형 개발 및 타당화", 한국영재교육학회, 영재와 영재교육, 13(2), 63-95, 2014
58 이종연, 박상훈, 박성열, 강혜진,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컨버전스학회, 12(9), 313-323, 2014
59 정진택, 주성환, 노규성,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9(2), 79-88, 2011
60 김양희,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 47, 323-352, 2015
61 남현주, "기업 내 상담자의 역량 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HRD연구, 16(1), 169-206, 2014
62 김현진, 정순원, 윤소희, 김인희, 권순형, 계보경, 강성주, "스마트교육 구현을 위 한 학교 관리자 역량 요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교원교육연구, 29(2), 67-94, 2013
63 김인근, "역량기반 교육모델 관점의 플립수업 성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64 한형종, 임철일, 박진우, 한송이, "대학 역전학습 온 오프라인 연계 설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31(1), 1-38, 2015
65 김인근, 이종욱, "역량기반 교육모델 관점의 플립 수업 성과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중등 교육연구, 63(4). 505-538, 2015
66 김진모, 박석영, "한국농수산대학 장기현장실습 현장교수 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농업교 육과 인적자원개발, 46(3), 53-81, 2014
67 조대연(Cho, Dae-Yeon),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 구, 35, 165-187, 2009
68 강완, 송은아, 백석윤, "초등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 나타난 의사소통 특성 분 석",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18(2), 35-50, 2008
69 김영환, 이지연, 김영배,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30(2), 169-191, 2014
70 임병노, 임정훈, 성은모,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9(3), 459-489, 2013
71 김영학, "대학 <사고와 표현> 교과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한 민족어문학. 72 , 149-181, 2016
72 정주영, "블렌디드 액션러닝(Blended Action Learning) 지원시스템의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73 김창석, 허서정, 이희숙,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1), 113-126, 2015
74 조혜진, "사립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5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효과와 의미에 대한 사례연 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연구, 41(1), 87-116, 2014
76 손창익, 설문규, "초등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인식 조사", 한국정보교육학회, 한국정보교육학회, 16(3), 309-318, 2012
77 이용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에 의한 브랜드 교수학습모형 사례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4(3), 151-160, 2016
78 김성일, "플립러닝 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경 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79 박지민,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학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0 박정혜, 홍석우, 임인철, 임용, 손은주, "대학수업에 적용된 플립러닝이 대학생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2), 97-117, 2015
81 이경윤,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접근의 효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 민교육연구, 47(4), 171-216, 2015
82 김은영, 김현진, 허희옥,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사례: 스마트 교육 교원연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교원교육연구, 29(3), 279-299, 2013
83 이종연, 박상훈, 임걸 ( Keol Lim ), "IPA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와 일반교사의 직무인식 차이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2), 201-227, 2013
84 임정훈, "모바일 기반 스마트 러닝: 개념 탐색과 대학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0, 2011
85 곽영순, "미래 학교교육 변화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 연구, 19(1), 93-111, 2015
86 임희석, 조재춘,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4), 41-49, 2012
87 강신천, 이희숙, 김창석,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2), 47-57, 2015
88 정명기, "초등 영어 스마트교육을 위한 플립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 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89 임정훈,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 전략의 초․중등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 42(2), 399-431, 2004
90 임걸, 박성열, "스마트 패드 활용수업 사례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캠퍼스 구축 발전방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10(3), 1-12, 2012
91 남순란, "대학 행정직원의 역량모델 개발과 역량수준 분석: A국립대학을 중심 으로",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92 이수현, 최욱, "초등교원의 교육정보화 인식과 활용 실태: 성별, 경력별 차이를 중심 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293-315, 2003
93 이기복,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성취수준 학습활동 제시 특징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 초등사회과교육, 19(2), 39-61, 2006
94 김주은, "플립러닝에서 메타인지 수준과 스캐폴딩 유형이 문제해결력에 미치 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95 권오남, 윤정은, 김도연,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색(국내 수학 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 45-68, 2013
96 김성중, 최영미,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을 위한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피어튜 터링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한국게임학회, 15(1), 125-134, 2015
97 안순선, 임정훈, "초등학교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의 교육적 유용성과 문제점에 과 한 질적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1), 75-87, 2014
98 유제순, "‘스마트교육을 위한 초등 통합교과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한 토론", 2012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67-70, 2012
99 박정영, 강인애, 임병노,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 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4(2), 282-303, 2012
100 김현재, 홍광표, 이용희, 박수홍, "메타포 분석을 활용한 현재교육체제와 미래교 육체제의 이미지 차이 분석 연구",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54(1), 31-45, 2015
101 신효식 ( Hyo Shik Shin ), ""학습자 중심의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독어교육 모형-""독어교육론"" 실습 사례-"", 한국독일언어문학회, 독일언어문학, 67(1), 87-107, 2015
102 김상홍, 손성호, "초등교육에서 플립러닝 성공전략 탐색: 교사 및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1287-1310, 2016
103 강인애 ( In Ae Kang ), 주현재 ( Hyun Jae Choo ),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현직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34, 2009
104 강혜영, "리커트척도(Likert Scale) 응답 형식 검사의 조건에 따른 기준 점설정 방법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몬, 2015
105 윤수정, 이용운, 이영미, "「학교중심 블렌디드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22(4), 195-217, 2010
106 이수희, "스마트 러닝, 어떻게 할 것인가?. 2010 제2차 스마트러닝 리더스 세 미나 발표자료집", 한국이러닝산업협회, 2010
107 윤영배, "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공군대학 SOC과정 학생집단의 역 량변화 실증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108 김대영 ( Dae Young Kim ), 홍후조 ( Hoo Jo Hong ), ""교육과정 연구 패러다임 비교,분석: Jurgen Habermas의 사회지식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32(1), 1-23, 2014
109 이현주,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 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1-24, 2012
110 이진영, "교장의 도덕적 리더십,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헌신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11 김경신 ( Kyung Shin Kim ), 김미경 ( Mi Kyong Kim ),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특수교사들의 활용실태 및 요구조사: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16(3), 153-174, 2014
112 이지현, 전미연, 송해덕,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고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모델 탐색”", 한국직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33(4), 51-76, 2014
113 이규리,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FLC 수업 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4 이상수, 이인자, 이유나, "문제해결학습에서 또래학습 유형이 인지양식에 따라 문제해결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19(2), 205-222, 2007
115 허희옥, 서정희, 임규연, "미래학교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 시리즈1: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 2011-2, 2011
116 고진복, 전병운, 양지현,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교수매체 활용실태와 스마 트러닝 교수매체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17(3), 205-233, 2013
117 임정훈 ( Junghoon Leem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32(1), 165-199, 2016
118 성은모, 임정훈, "스마트기기의 속성 및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스 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의 인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1), 1-27, 2015
119 송영수, "ASTD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한 국내 대기업 HRD 담당자의 필요역량 인식 및 수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11(1), 97-124, 2009
120 김태양, 신재은, 신동희, 박세영,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모 달리티가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508-519, 2014
121 조명희, "미경험학습자의 교육요구분석을 위한 수정모델에 대한 연구: 스 마트교육 교원 역량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122 강희경, 최수형, 안나, "동료에 대한 신롸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집단지성의 매 개효과와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1), 147-169, 2015
123 임지영, "플립러닝을 활용한 중국어 어법 수업모형 설계 연구(“가능보어, 정태보 어, 정도보어”를 실례로)", 중국어 교육과 연구, 22, 151-174, 2015
124 이재경,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에 대한 고찰: 마케팅 역량 강화 교육과정 체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18(1), 25-56, 2002
125 조성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성찰적 사고 수준과 스캐폴딩 유형이 인지적 실재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26 권유경, "플립러닝으로 인한 학습자 변화와 상호작용 변화에 관한 연구: 공과 대학 실험실습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127 김성렬, "초,중등교원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태도, 스마트교육의 속성, 활용의지 및 지각된 유용성, 용이성에 관한 인식",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128 고민석, "Flipped Learning을 위해 제작한 과학 학습 동영상에서 초등예비교사 들이 사용한 시각화 구성 전략 탐색(지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 학회논문지, 35(2), 231-245, 2015
129 Lepsinger, R., Lucia, A.,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California: Jossey-Bass. 정재창 외 (역). (2011) 알기 쉬운 역량모델링", 서울: PSI 컨설팅, 1999
130 Bergmann, J., Sams, A., "Flipped Learning: Cateway to student engagement,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정찬필, 임성희 (역). (2015) 거꾸로 교실:진짜 배움으로 가는길", 서울: ㈜에듀니티,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