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深層面接을 위한 效率的인 敎授-學習 方向 探索 : 數學敎科를 中心으로 = Research for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direction for the depth interview : focused on mathematics sub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851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입학전형의 형태는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수시 모집 비율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심층면접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혼란을 겪고 있으며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 것인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이에 수학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한 사람으로서 부담감과 함께 본인이 담당하고 있는 학생들이 좀 더 효율적으로 대학입학전형에 대비하기를 바라면서 심층면접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무엇인가를 생각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교수-학습에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대학입학전형 자료 중 다른 것들은 교사나 학생 모두 잘 알고 대비하고 있지만 심층면접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에 있는 것이 매우 안타까운 일이며 먼저 내 자신부터 심층면접이 무엇인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심층면접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모든 과목의 가장 기초가 되는 수학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수학과 내용이 심층면접의 내용에 많이 포함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수학에 대한 내용 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심층면접문항이 즉흥적으로 구성되어져서는 안 된다는 판단 하에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되는 문항을 구성하였고, 이것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을 도입하였다. 시간이 날 때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심층면접의 문항으로 교수-학습 을 진행하였으며 수업 후 느낌을 발표해 봄으로써, 수학과목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이하고 소중하게 여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또한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심층면접 이 교육과정 목표에 충실한 교수 -학습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대학에서 출제자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교육과정의 목표에 충실한 문항으로 심층면접 문제를 제시하기를 바라면서 학생과 교사가 같이 해결해 보았던 문제들을 예로 제시하였고, 이를 부록에 수록하였다.
      번역하기

      대학입학전형의 형태는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수시 모집 비율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심층면접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혼란을 겪...

      대학입학전형의 형태는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수시 모집 비율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심층면접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혼란을 겪고 있으며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 것인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이에 수학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한 사람으로서 부담감과 함께 본인이 담당하고 있는 학생들이 좀 더 효율적으로 대학입학전형에 대비하기를 바라면서 심층면접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무엇인가를 생각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교수-학습에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대학입학전형 자료 중 다른 것들은 교사나 학생 모두 잘 알고 대비하고 있지만 심층면접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에 있는 것이 매우 안타까운 일이며 먼저 내 자신부터 심층면접이 무엇인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심층면접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모든 과목의 가장 기초가 되는 수학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수학과 내용이 심층면접의 내용에 많이 포함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수학에 대한 내용 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심층면접문항이 즉흥적으로 구성되어져서는 안 된다는 판단 하에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되는 문항을 구성하였고, 이것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을 도입하였다. 시간이 날 때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심층면접의 문항으로 교수-학습 을 진행하였으며 수업 후 느낌을 발표해 봄으로써, 수학과목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이하고 소중하게 여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또한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심층면접 이 교육과정 목표에 충실한 교수 -학습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대학에서 출제자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교육과정의 목표에 충실한 문항으로 심층면접 문제를 제시하기를 바라면서 학생과 교사가 같이 해결해 보았던 문제들을 예로 제시하였고, 이를 부록에 수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form of entrance selection for universities has been greatly changed by various situ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depth-interview has been emphasized as the ratio of any-time registr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ll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have been confused about it and also tried to find out how to cope with the current situation. As one of mathematics teachers, I have got some stress on this matter and really hoped that my universities. To make some contribution on finding out an efficient way of the depth-interview, I have developed several problems and applied those to teaching-learning in class.
      The direct motivation for being conducted this research was that firstly, I felt impatient for the fact that there was no useful guideline for the depth-interview, whereas the other data about entrance selection for universities are well prepared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secondly, I also felt that I should clearly understand what the depth-interview might be.
      In this thesis, I have reviewed the overall meaning of the depth-interview focused on the subject of mathematics and also reviewed several topics of mathematics, in the hope that problem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mathematics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l subjects of study as the key basis would be utilized in the depth-interview as many as possible.
      Based on my own judgment that it should be avoided that problem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also introduced a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suited to those problems. I have often used problems developed in this research for the progress of teaching-learning and had such a wonderful experience that the understanding for mathematics could be deepened through letting students present their feelings. Moreover I have understood that the depth-interview considered as an ambiguous stuff so far could be well prepar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based on the objectives of mathematics curriculum.
      Finally, I strongly hope that whenever each university takes the depth-interview, problems based on the objectives of mathematics curriculum as well as developed by experts would be chosen. I have presented several problems developed in this thesis in the appendix.
      번역하기

      A form of entrance selection for universities has been greatly changed by various situ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depth-interview has been emphasized as the ratio of any-time registr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ll of teachers, students, an...

      A form of entrance selection for universities has been greatly changed by various situ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depth-interview has been emphasized as the ratio of any-time registr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ll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have been confused about it and also tried to find out how to cope with the current situation. As one of mathematics teachers, I have got some stress on this matter and really hoped that my universities. To make some contribution on finding out an efficient way of the depth-interview, I have developed several problems and applied those to teaching-learning in class.
      The direct motivation for being conducted this research was that firstly, I felt impatient for the fact that there was no useful guideline for the depth-interview, whereas the other data about entrance selection for universities are well prepared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secondly, I also felt that I should clearly understand what the depth-interview might be.
      In this thesis, I have reviewed the overall meaning of the depth-interview focused on the subject of mathematics and also reviewed several topics of mathematics, in the hope that problem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mathematics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l subjects of study as the key basis would be utilized in the depth-interview as many as possible.
      Based on my own judgment that it should be avoided that problem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also introduced a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suited to those problems. I have often used problems developed in this research for the progress of teaching-learning and had such a wonderful experience that the understanding for mathematics could be deepened through letting students present their feelings. Moreover I have understood that the depth-interview considered as an ambiguous stuff so far could be well prepar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based on the objectives of mathematics curriculum.
      Finally, I strongly hope that whenever each university takes the depth-interview, problems based on the objectives of mathematics curriculum as well as developed by experts would be chosen. I have presented several problems developed in this thesis in the appendi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의 방향 = 3
      • 목차
      • (국문초록) = 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의 방향 = 3
      • II. 심층면접에 대한 분석 = 4
      • 1. 심층면접의 도입배경 = 4
      • 2. 심층면접의 개념과 특징 = 7
      • 3. 수학 과목과 관련된 심층면접 = 10
      • 4. 심층면접에서의 문제점과 대비책 = 14
      • III. 수학과목에 대한 분석 = 16
      • 1. 수학의 본질 및 특성 = 16
      • 2. 수학의 필요성 = 19
      • 3. 수학교육의 목표 = 20
      • 4. 새로운 수학교육의 방향 = 22
      • 5. 새로운 수학과 평가방향과 평가규준 = 25
      • IV. 심층면접을 위한 문항 개발과 교수-학습 = 30
      • V. 요약 및 결론 = 56
      • 참고문헌 = 61
      • (영문초록) = 62
      • 부록. 심층면접을 위한 교수-학습 문항 개발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