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여성-노동소설’의 일 계보 - 김인숙의 경우 = A Genealogy of Woman-Labor Narratives - focused on Kim, Insook's narratives in 8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9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Insook was a female laborer as college student(Hakchul).
      The woman-labor narratives were affiliated to a 'historical form', phenomenons of 1980's and had a distinctiveness.
      For the first time, Kim Insook showed the class characteristics of female laborer through the frame of family. Her work communicated the voices of various members of a family, which were mobilized to access the voices of contemporary political subjects. It was presented as petit bourgeois-ness.
      The family frame was also peeled off the schematicism.
      Schematicism had been pointed out as the greatest limitation of narratives in the 1980s. Kim Insook's woman-labor narratives, which portrayed both the class characteristics of female laborer and the concept of petit bourgeois-ness, revealed these realistic aspects 'from the perspectives of feminism. Second, Kim Insook presented woman laborers as anti - American. This is the inner form of the woman-labor narratives in the works of Kim Insook.
      번역하기

      Kim Insook was a female laborer as college student(Hakchul). The woman-labor narratives were affiliated to a 'historical form', phenomenons of 1980's and had a distinctiveness. For the first time, Kim Insook showed the class characteristics of female ...

      Kim Insook was a female laborer as college student(Hakchul).
      The woman-labor narratives were affiliated to a 'historical form', phenomenons of 1980's and had a distinctiveness.
      For the first time, Kim Insook showed the class characteristics of female laborer through the frame of family. Her work communicated the voices of various members of a family, which were mobilized to access the voices of contemporary political subjects. It was presented as petit bourgeois-ness.
      The family frame was also peeled off the schematicism.
      Schematicism had been pointed out as the greatest limitation of narratives in the 1980s. Kim Insook's woman-labor narratives, which portrayed both the class characteristics of female laborer and the concept of petit bourgeois-ness, revealed these realistic aspects 'from the perspectives of feminism. Second, Kim Insook presented woman laborers as anti - American. This is the inner form of the woman-labor narratives in the works of Kim Insoo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역사적 형식으로서의 여성-노동소설’의 내적 형식에서 발견되는 ‘차이’ 및 특징을 김인숙의 80년대 노동소설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80년대에는 ‘새로운 여성’들이 등장하였는데, ‘차이’를 인식하여 ‘여성노동자들의 당사자 인식’을 도출한 자발적 능동적 주체로서의 여성노동자가 그 하나이고, 또 다른 하나는 ‘여성 학출’이었다. 여성 학출은 현장과 소설의 양 측면에서 ‘80년대적 현상’이자 ‘80년대적 특수성’이었다. 그런 점에서 여성 학출에 의해 생산된 80년대 여성노동소설은 ‘역사적 형식’에 해당한다.
      여성 학출은 존재론적으로나 인식론적으로, 더 이상 ‘엄마 이야기’에 머물거나 엄마의 기획의 ‘대상’이 아니었다. 즉 ‘엄마 서사’와 결별한다. 또 이들은 이전 시대 여성 이야기의 중요한 축이었던 ‘여성수난사’와도 결별한다. 이들은 수난보다 희망을, 도식적 전형보다 소시민성의 비판을 통해 획득되는 노동계급성을 보여 주었다. 그로 인해 남성 노동소설 작가와 다른 ‘고유한 글쓰기’가 도출되었다.
      80년대의 대표적 여성 학출인 김인숙은 ‘역사적 형식’으로서의 여성-노동소설‘의 다양한 ‘방법’을 보여주었다. 우선 가족 프레임을 발명해, 우회․확장되는 여성의 노동계급성을 제시하였다. 「함께 걷는 길」 등에 제시된 가족 프레임은 ‘가정’을 ‘또 다른’ ‘정치적 공간’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현장’에 대한 인식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었다. 가족 프레임은 노동운동의 계급성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리얼리즘의 위기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의 다양성을 포착케 하는 유용한 서사장치였다. 김인숙에게 있어 가족 프레임과 그것이 선사하는 소시민성(비판 포함), 섬세한 심리묘사로 드러나는 내면성 등은 노동소설의 결함인 도식성, 비변증법적 기계론을 거둬내는 장치로 기능하였다.
      『79-80:겨울과 봄 사이』와 「성조기 앞에 다시 서다」는 민중해방문학으로서의 ‘여성-노동소설’의 ‘방법’을 보여 주었다. 이 두 소설에서는 여성노동자가 노동과 반미의 주체로 성장해 가고 있었으며, 민중주의와 여성주의의 결합이 확인되었다. 여성노동자-대학생-어머니, 여성노동자-중간관리자 간의 역사적 합창이 각각 연출되었다. ‘90년대의 후일담’을 일부 선취하는 「부정」과 「구경꾼」 「가까운 불빛」에서도 아직 ‘구역질’ ‘가슴 속에 이는 떨림’ 등 소시민성에 대한 일종의 거부감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김인숙의 소설은 단지 중산층의 소시민성을 비판만 하는 소설은 아니었다. 이는 변혁주체가 되지 못하지만, 동시에 변혁주제가 될 수 ‘없는’ 것도 아닌, 운동권의 계급성에 포섭될 수 있는 ‘소시민의 잉여’를 ‘역설’하는 것이었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김인숙의 여성-노동소설은 일반적인 ‘민중 프로젝트’와 크게 차이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역사적 형식으로서의 여성-노동소설’의 내적 형식에서 발견되는 ‘차이’ 및 특징을 김인숙의 80년대 노동소설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80년대에는 ‘새로운 여성’들...

      본고에서는 ‘역사적 형식으로서의 여성-노동소설’의 내적 형식에서 발견되는 ‘차이’ 및 특징을 김인숙의 80년대 노동소설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80년대에는 ‘새로운 여성’들이 등장하였는데, ‘차이’를 인식하여 ‘여성노동자들의 당사자 인식’을 도출한 자발적 능동적 주체로서의 여성노동자가 그 하나이고, 또 다른 하나는 ‘여성 학출’이었다. 여성 학출은 현장과 소설의 양 측면에서 ‘80년대적 현상’이자 ‘80년대적 특수성’이었다. 그런 점에서 여성 학출에 의해 생산된 80년대 여성노동소설은 ‘역사적 형식’에 해당한다.
      여성 학출은 존재론적으로나 인식론적으로, 더 이상 ‘엄마 이야기’에 머물거나 엄마의 기획의 ‘대상’이 아니었다. 즉 ‘엄마 서사’와 결별한다. 또 이들은 이전 시대 여성 이야기의 중요한 축이었던 ‘여성수난사’와도 결별한다. 이들은 수난보다 희망을, 도식적 전형보다 소시민성의 비판을 통해 획득되는 노동계급성을 보여 주었다. 그로 인해 남성 노동소설 작가와 다른 ‘고유한 글쓰기’가 도출되었다.
      80년대의 대표적 여성 학출인 김인숙은 ‘역사적 형식’으로서의 여성-노동소설‘의 다양한 ‘방법’을 보여주었다. 우선 가족 프레임을 발명해, 우회․확장되는 여성의 노동계급성을 제시하였다. 「함께 걷는 길」 등에 제시된 가족 프레임은 ‘가정’을 ‘또 다른’ ‘정치적 공간’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현장’에 대한 인식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었다. 가족 프레임은 노동운동의 계급성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리얼리즘의 위기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의 다양성을 포착케 하는 유용한 서사장치였다. 김인숙에게 있어 가족 프레임과 그것이 선사하는 소시민성(비판 포함), 섬세한 심리묘사로 드러나는 내면성 등은 노동소설의 결함인 도식성, 비변증법적 기계론을 거둬내는 장치로 기능하였다.
      『79-80:겨울과 봄 사이』와 「성조기 앞에 다시 서다」는 민중해방문학으로서의 ‘여성-노동소설’의 ‘방법’을 보여 주었다. 이 두 소설에서는 여성노동자가 노동과 반미의 주체로 성장해 가고 있었으며, 민중주의와 여성주의의 결합이 확인되었다. 여성노동자-대학생-어머니, 여성노동자-중간관리자 간의 역사적 합창이 각각 연출되었다. ‘90년대의 후일담’을 일부 선취하는 「부정」과 「구경꾼」 「가까운 불빛」에서도 아직 ‘구역질’ ‘가슴 속에 이는 떨림’ 등 소시민성에 대한 일종의 거부감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김인숙의 소설은 단지 중산층의 소시민성을 비판만 하는 소설은 아니었다. 이는 변혁주체가 되지 못하지만, 동시에 변혁주제가 될 수 ‘없는’ 것도 아닌, 운동권의 계급성에 포섭될 수 있는 ‘소시민의 잉여’를 ‘역설’하는 것이었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김인숙의 여성-노동소설은 일반적인 ‘민중 프로젝트’와 크게 차이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인, "희망의 문학" 풀빛 11-364, 1990

      2 류보선, "희망을 향한, 멀고도 먼 길" (가을) : 156-165, 1996

      3 김인숙, "함께 걷는 길" 세계 1989

      4 강인순,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2" 한울아카데미 19-340, 2001

      5 이옥지,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1" 한울아카데미 120-314, 2001

      6 황광수, "한국문학의 현단계 4" 창작과비평사 81-107, 1985

      7 구해근, "한국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비평사 110-152, 2002

      8 루스 배러클러프, "한국 여성노동자들이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127) : 289-312, 2005

      9 오하나, "학출" 이매진 1-246, 2010

      10 권인숙, "하나의 벽을 넘어서" 거름 271-273, 1989

      1 김명인, "희망의 문학" 풀빛 11-364, 1990

      2 류보선, "희망을 향한, 멀고도 먼 길" (가을) : 156-165, 1996

      3 김인숙, "함께 걷는 길" 세계 1989

      4 강인순,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2" 한울아카데미 19-340, 2001

      5 이옥지,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1" 한울아카데미 120-314, 2001

      6 황광수, "한국문학의 현단계 4" 창작과비평사 81-107, 1985

      7 구해근, "한국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비평사 110-152, 2002

      8 루스 배러클러프, "한국 여성노동자들이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127) : 289-312, 2005

      9 오하나, "학출" 이매진 1-246, 2010

      10 권인숙, "하나의 벽을 넘어서" 거름 271-273, 1989

      11 김인숙, "핏줄" 문학예술사 1983

      12 최인철, "프레임" 21세기북스 1-308, 2016

      13 이혜령, "포스트 80년대, 비범한 날들의 기억 - 신경숙과 김인숙 소설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9) : 515-544, 2015

      14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 15-388, 2005

      15 백낙청, "통일운동과 문학" 74-, 1989

      16 김인숙, "칼날과 사랑" 창작과비평사 1993

      17 조정환, "체험의 기록과 주체적 현실파악" 420-435, 1988

      18 함인희, "중산층의 정체성과 소비문화" 집문당 26-28, 2001

      19 오자은, "중산층 가정의 데모하는 딸들-1980년대 김향숙 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45) : 413-449, 2015

      20 조돈문, "중간계급의 계급적 성격과 계급적 이질성" 30 : 30-276,

      21 김양선, "주변부에서 읽기의 산문성과 비극성-김인숙과 김형경" 41 : 217-232, 1996

      22 고정희, "좌담-또 하나의 문화를 펴내며" (창간) : 1984

      23 여성평우회, "제3세계 여성노동" 창작과비평사 121-201, 1985

      24 오자은, "전환기의 내면, 진정성의 분화-김인숙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62) : 285-318, 2017

      25 김원, "잊혀진 것들에 대한 기억" 이매진 82-170, 1999

      26 이명호, "여성해방문학론에서 본 80년대의 문학" (67) : 48-74, 1990

      27 채호석, "여성문제의 자립화와 리얼리즘의 위기" (32) : 394-414, 1993

      28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12 (12): 138-179, 1996

      29 루스 배러클러프, "여공문학" 후마니타스 1-356, 2017

      30 김원, "여공, 그녀들의 반 역사" 1-860, 2005

      31 김복순, "신식민지 시기 반미소설의 계보와 서사원리로서의 젠더 - 해방 직후~197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287-332, 2013

      32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반교어문학회 (46) : 127-170, 2017

      33 신승엽, "성찰의 깊이와 기억의 섬세함" 21 (21): 92-109, 1993

      34 천정환, "서발턴은 쓸 수 있는가 :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과 ‘민중문학’의 재평가를 위한 일고" 민족문학사학회 (47) : 224-254, 2011

      35 오태호, "상실의 사랑에서 기억의 회복으로-김인숙론" 59-79, 2012

      36 김인숙, "상실의 계절"

      37 장숙경, "산업 선교, 그리고 70년대 노동운동" 선인 1-440, 2013

      38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 -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회 47 : 409-454, 2016

      39 구중서, "불행과 패기의 역사" 창작과비평사 17 (17): 382-, 1989

      40 김인숙, "불꽃" 문학예술사 1985

      41 이남희, "민중 만들기: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재현의 정치학" 후마니타스 1-490, 2015

      42 이재현, "문학의 노동화와 노동의 문학화" 4 : 19-36, 1983

      43 김명인, "먼저 ‘전형’에 대해 고민하자" 172-190, 1989

      44 이택광, "마녀 프레임" 자음과 모음 1-168, 2013

      45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1970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1) : 154-181, 2005

      46 김경원, "당신" 해설 281-300, 1996

      47 김인숙, "당신" 솔 1996

      48 조정환, "노동해방문학의 논리" 노동문학사 1-253, 1990

      49 이혜령,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 - 1980년대 노동문학론 소고" 국학연구원 (175) : 295-320, 2016

      50 서동진, "노동자 없는 노동의 세계" (겨울) : 99-118, 2012

      51 이정희, "노동문학 속의 여성상-정화진과 방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9) : 80-108, 2003

      52 김재용, "낡은 것과 새로운 것" 18 (18): 383-392, 1990

      53 김복순, "나혜석, 한국 근대사를 거닐다" 푸른사상 240-269, 2011

      54 서은하, "김인숙 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 : 「당신」,「무너지는 세월」,「칼날과 사랑」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55 김복순, "국가비상사태선언 전후 ‘불평등 정당화/해소’의 방법적 전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 (20): 191-223, 2016

      56 최원식, "광주항쟁의 소설화" 60 (60): 286-293, 1988

      57 김복순, "新植民地 시기 反美小說의 系譜와 敍事原理로서의 젠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173-210, 2013

      58 김남옥, "‘386’세대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 김인숙, 공지영을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6) : 271-303, 2010

      59 Rancière, Jacques, "Proletarian Nights: The Workers Dream in Nineteenth-Century France" Random House 2012

      60 심산, "79∼80:겨울과 봄 사이: 3" 세계 335-341, 1987

      61 김인숙, "79-80 : 겨울과 봄 사이" 세계 1987

      62 진정, "386세대, 그 빛과 그늘" 문학사상사 1-303, 2003

      63 김은하, "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속의 통과제의 —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3 (23): 43-78, 2010

      64 김남일, "30대 문인기행 7/김인숙" 193-, 1995

      65 양규현, "1987 노동자 대투쟁" 한내 1-280, 2017

      66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 상허학회 51 : 15-49, 2017

      67 박인혜, "1980년대 한국의 '새로운' 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여성의 인간화' 담론과 '여성사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5 (25): 141-174, 2009

      68 손유경, "1980년대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交錯/膠着): 박현채와 조한혜정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45 : 117-159, 2015

      69 유경순,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학출 활동가와 변혁운동 1" 봄날의박씨 1-705, 2015

      70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고정희 시를 읽기 위한 시론(試論)-" 우리말글학회 71 : 241-273, 2016

      71 천정환, "1980년대 문학ㆍ문화사 연구를 위한 시론 (1) ― 시대와 문학론의 ‘토픽’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56) : 389-416, 2014

      72 박수빈, "1980년대 노동문학(연구)의 정치성 - 연구자의 무의식과 노동자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37 : 163-198, 2013

      73 장수익, "1980~90년대 노동소설 연구" 한국문학회 (75) : 5-31, 2017

      74 김복순, "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사 117-150,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