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명인, "희망의 문학" 풀빛 11-364, 1990
2 류보선, "희망을 향한, 멀고도 먼 길" (가을) : 156-165, 1996
3 김인숙, "함께 걷는 길" 세계 1989
4 강인순,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2" 한울아카데미 19-340, 2001
5 이옥지,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1" 한울아카데미 120-314, 2001
6 황광수, "한국문학의 현단계 4" 창작과비평사 81-107, 1985
7 구해근, "한국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비평사 110-152, 2002
8 루스 배러클러프, "한국 여성노동자들이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127) : 289-312, 2005
9 오하나, "학출" 이매진 1-246, 2010
10 권인숙, "하나의 벽을 넘어서" 거름 271-273, 1989
1 김명인, "희망의 문학" 풀빛 11-364, 1990
2 류보선, "희망을 향한, 멀고도 먼 길" (가을) : 156-165, 1996
3 김인숙, "함께 걷는 길" 세계 1989
4 강인순,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2" 한울아카데미 19-340, 2001
5 이옥지,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1" 한울아카데미 120-314, 2001
6 황광수, "한국문학의 현단계 4" 창작과비평사 81-107, 1985
7 구해근, "한국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비평사 110-152, 2002
8 루스 배러클러프, "한국 여성노동자들이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127) : 289-312, 2005
9 오하나, "학출" 이매진 1-246, 2010
10 권인숙, "하나의 벽을 넘어서" 거름 271-273, 1989
11 김인숙, "핏줄" 문학예술사 1983
12 최인철, "프레임" 21세기북스 1-308, 2016
13 이혜령, "포스트 80년대, 비범한 날들의 기억 - 신경숙과 김인숙 소설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9) : 515-544, 2015
14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 15-388, 2005
15 백낙청, "통일운동과 문학" 74-, 1989
16 김인숙, "칼날과 사랑" 창작과비평사 1993
17 조정환, "체험의 기록과 주체적 현실파악" 420-435, 1988
18 함인희, "중산층의 정체성과 소비문화" 집문당 26-28, 2001
19 오자은, "중산층 가정의 데모하는 딸들-1980년대 김향숙 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45) : 413-449, 2015
20 조돈문, "중간계급의 계급적 성격과 계급적 이질성" 30 : 30-276,
21 김양선, "주변부에서 읽기의 산문성과 비극성-김인숙과 김형경" 41 : 217-232, 1996
22 고정희, "좌담-또 하나의 문화를 펴내며" (창간) : 1984
23 여성평우회, "제3세계 여성노동" 창작과비평사 121-201, 1985
24 오자은, "전환기의 내면, 진정성의 분화-김인숙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62) : 285-318, 2017
25 김원, "잊혀진 것들에 대한 기억" 이매진 82-170, 1999
26 이명호, "여성해방문학론에서 본 80년대의 문학" (67) : 48-74, 1990
27 채호석, "여성문제의 자립화와 리얼리즘의 위기" (32) : 394-414, 1993
28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12 (12): 138-179, 1996
29 루스 배러클러프, "여공문학" 후마니타스 1-356, 2017
30 김원, "여공, 그녀들의 반 역사" 1-860, 2005
31 김복순, "신식민지 시기 반미소설의 계보와 서사원리로서의 젠더 - 해방 직후~197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287-332, 2013
32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반교어문학회 (46) : 127-170, 2017
33 신승엽, "성찰의 깊이와 기억의 섬세함" 21 (21): 92-109, 1993
34 천정환, "서발턴은 쓸 수 있는가 :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과 ‘민중문학’의 재평가를 위한 일고" 민족문학사학회 (47) : 224-254, 2011
35 오태호, "상실의 사랑에서 기억의 회복으로-김인숙론" 59-79, 2012
36 김인숙, "상실의 계절"
37 장숙경, "산업 선교, 그리고 70년대 노동운동" 선인 1-440, 2013
38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 -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회 47 : 409-454, 2016
39 구중서, "불행과 패기의 역사" 창작과비평사 17 (17): 382-, 1989
40 김인숙, "불꽃" 문학예술사 1985
41 이남희, "민중 만들기: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재현의 정치학" 후마니타스 1-490, 2015
42 이재현, "문학의 노동화와 노동의 문학화" 4 : 19-36, 1983
43 김명인, "먼저 ‘전형’에 대해 고민하자" 172-190, 1989
44 이택광, "마녀 프레임" 자음과 모음 1-168, 2013
45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1970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1) : 154-181, 2005
46 김경원, "당신" 해설 281-300, 1996
47 김인숙, "당신" 솔 1996
48 조정환, "노동해방문학의 논리" 노동문학사 1-253, 1990
49 이혜령,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 - 1980년대 노동문학론 소고" 국학연구원 (175) : 295-320, 2016
50 서동진, "노동자 없는 노동의 세계" (겨울) : 99-118, 2012
51 이정희, "노동문학 속의 여성상-정화진과 방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9) : 80-108, 2003
52 김재용, "낡은 것과 새로운 것" 18 (18): 383-392, 1990
53 김복순, "나혜석, 한국 근대사를 거닐다" 푸른사상 240-269, 2011
54 서은하, "김인숙 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 : 「당신」,「무너지는 세월」,「칼날과 사랑」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55 김복순, "국가비상사태선언 전후 ‘불평등 정당화/해소’의 방법적 전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 (20): 191-223, 2016
56 최원식, "광주항쟁의 소설화" 60 (60): 286-293, 1988
57 김복순, "新植民地 시기 反美小說의 系譜와 敍事原理로서의 젠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173-210, 2013
58 김남옥, "‘386’세대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 김인숙, 공지영을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6) : 271-303, 2010
59 Rancière, Jacques, "Proletarian Nights: The Workers Dream in Nineteenth-Century France" Random House 2012
60 심산, "79∼80:겨울과 봄 사이: 3" 세계 335-341, 1987
61 김인숙, "79-80 : 겨울과 봄 사이" 세계 1987
62 진정, "386세대, 그 빛과 그늘" 문학사상사 1-303, 2003
63 김은하, "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속의 통과제의 —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3 (23): 43-78, 2010
64 김남일, "30대 문인기행 7/김인숙" 193-, 1995
65 양규현, "1987 노동자 대투쟁" 한내 1-280, 2017
66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 상허학회 51 : 15-49, 2017
67 박인혜, "1980년대 한국의 '새로운' 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여성의 인간화' 담론과 '여성사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5 (25): 141-174, 2009
68 손유경, "1980년대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交錯/膠着): 박현채와 조한혜정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45 : 117-159, 2015
69 유경순,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학출 활동가와 변혁운동 1" 봄날의박씨 1-705, 2015
70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고정희 시를 읽기 위한 시론(試論)-" 우리말글학회 71 : 241-273, 2016
71 천정환, "1980년대 문학ㆍ문화사 연구를 위한 시론 (1) ― 시대와 문학론의 ‘토픽’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56) : 389-416, 2014
72 박수빈, "1980년대 노동문학(연구)의 정치성 - 연구자의 무의식과 노동자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37 : 163-198, 2013
73 장수익, "1980~90년대 노동소설 연구" 한국문학회 (75) : 5-31, 2017
74 김복순, "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사 117-15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