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102253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전

      • 기타서명

        Reflection o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 형태사항

        iii, 168 p.: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손은령
        참고문헌 : p. 155-164

      • UCI식별코드

        I804:25009-00000007917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Education conferred in February 2019.





      Reflection o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Yu-Seon Choi



      Education Psychology and Curriculum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Eun-Young Son)


      Teachers have seen and influenced their students almost as long as their parents. Therefore, teach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students solve difficulties and form valu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bilities and skills, students gets to learn or gets hurt.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competence of the teachers, the training institutes are carrying out the pre-teaching experience as a prior education along with the theoretical basis. The pre-service teachers will experience th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aught in college through the pre-teaching experience with the students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field experience is being more emphasized because it can improve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ability, and preparing for teaching.
      However, the reality of education at education universities is still too theoretical, and pre-service teachers are demanding for better education courses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capabiliti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is field experience,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since 2009 as a way to strengthen the link with the site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Therefore, school field practice and education volunteer activities are actually helpful by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actual schools. Such emphasis on the field of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drives the pursuit of pract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s meaningful in that it overcomes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is a case study of five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ing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which was provided by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 proceeded hermeneutic analysis based on the improvemen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de during the class in order to know the meaning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So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eaching? Second, how did the researcher attached meaning to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hird, how did I reflected on the content?
      Conclusions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reflec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a way to cultivate practical knowledge.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the time and place that pre-teachers can incorporate what they have learned into their own. Thir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able to change the viewpoint of students. Fourth,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diverse systems to help reflection. In this regar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meet and teach students directly in the educational field so that they can reflect on themselves and change.
      Teachers' reflection on teacher education is not only recognized as a method but is useful for teaching and is more valuable when practiced in various ways.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methods such as writing reflection, sharing class experiences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 support are required.
      Through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e pre - service teachers observed by the researchers was the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ir learning, to understand the students, and to know the school site. In addition, there was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 and field adaptability by improving class through reflection and self -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actice experiences in various field experiences in the pre - service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process to help the pre - service teachers to reflect themselves.
        
      Key words: pre-service teacher, teaching experience, reflection, case study
      번역하기

      ABSTRACT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Education conferred in February 2019. Reflection on Pre-Se...

      ABSTRACT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Education conferred in February 2019.





      Reflection o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Yu-Seon Choi



      Education Psychology and Curriculum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Eun-Young Son)


      Teachers have seen and influenced their students almost as long as their parents. Therefore, teach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students solve difficulties and form valu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bilities and skills, students gets to learn or gets hurt.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competence of the teachers, the training institutes are carrying out the pre-teaching experience as a prior education along with the theoretical basis. The pre-service teachers will experience th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aught in college through the pre-teaching experience with the students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field experience is being more emphasized because it can improve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ability, and preparing for teaching.
      However, the reality of education at education universities is still too theoretical, and pre-service teachers are demanding for better education courses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capabiliti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is field experience,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since 2009 as a way to strengthen the link with the site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Therefore, school field practice and education volunteer activities are actually helpful by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actual schools. Such emphasis on the field of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drives the pursuit of pract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s meaningful in that it overcomes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is a case study of five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ing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which was provided by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 proceeded hermeneutic analysis based on the improvemen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de during the class in order to know the meaning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So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eaching? Second, how did the researcher attached meaning to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hird, how did I reflected on the content?
      Conclusions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reflec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a way to cultivate practical knowledge.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the time and place that pre-teachers can incorporate what they have learned into their own. Thir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able to change the viewpoint of students. Fourth,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diverse systems to help reflection. In this regar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meet and teach students directly in the educational field so that they can reflect on themselves and change.
      Teachers' reflection on teacher education is not only recognized as a method but is useful for teaching and is more valuable when practiced in various ways.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methods such as writing reflection, sharing class experiences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 support are required.
      Through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e pre - service teachers observed by the researchers was the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ir learning, to understand the students, and to know the school site. In addition, there was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 and field adaptability by improving class through reflection and self -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actice experiences in various field experiences in the pre - service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process to help the pre - service teachers to reflect themselves.
        
      Key words: pre-service teacher, teaching experience, reflection, cas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 유 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교사는 부모만큼이나 학생들을 많은 시간동안 가까이서 보아왔고,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람으로, 학생들이 어려움을 해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량과 소양에 따라 학생들은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하고,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한다. 이에 교육양성기관에서는 교사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이론적 기틀마련과 더불어 직전교육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은 대학에서 이론으로 배운 다양한 교육내용들을 교육실습을 통해 학교환경에서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해 보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는 교직실무 경험, 교수역량 증진, 교직준비도 등을 증진시킬 수 있기에 교육현장 경험은 더욱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사범대학의 교육 현실은 아직 지나치게 이론 중심적이며, 예비교사들은 교육역량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현장 경험의 중요성에 따라 정부는 교사양성 과정의 개선방향으로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9년부터 교육봉사활동을 구축하였다. 이에 학교현장실습과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학교현장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이처럼 교사교육에 있어 교육현장에 대한 강조는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추구하게 한다. 실천적 지식은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극복하게 하기에 이를 위한 수업에 대한 성찰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봉사활동의 하나로 사범대학과 교육청이 연계해 실시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들과 수업경험을 한 다섯 예비교사들의 사례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의 학교현장에서의 수업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자 해석학적 의미 분석을 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경험하는가? 둘째,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어떻게 의미화 하였는가? 셋째, 연구자는 그 내용을 어떻게 성찰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과 이에 대한 의미를 통해 연구자는 예비교사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찰을 하였다. 첫째, 예비교사교육은 실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이 배운 것을 자신의 것으로 체화시킬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예비교사들이 학생에 대한 이해 및 관점 변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성찰을 돕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볼 때 예비교사교육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고 가르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교육에서 중요시하는 교사의 성찰은 방법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되었을 때 수업에 도움이 되고 더욱 그 가치가 드러난다. 이에 성찰문 쓰기, 동료교사들과 수업경험 나누기, 수퍼바이저의 지원 등 다양한 방법의 제안과 그 효과를 살펴본 것이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본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은 교사되기 과정으로 자신의 배움을 견고히 하고, 학생들을 이해하며, 학교현장을 알게 되는 계기였다. 또한 성찰을 통한 수업개선과 자기효능감을 갖게 함으로써 교직전문성과 현장적응력의 향상이 있었다. 이에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다양한 현장경험에서의 실천경험의 중요성과 예비교사의 내면 성찰을 돕는 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제어: 예비교사, 수업경험, 성찰, 자기주도학습, 사례연구
      번역하기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 유 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교사는 부모만큼이나 학생들을 많은 시간동안 가까이서 보아왔�...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 유 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교사는 부모만큼이나 학생들을 많은 시간동안 가까이서 보아왔고,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람으로, 학생들이 어려움을 해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량과 소양에 따라 학생들은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하고,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한다. 이에 교육양성기관에서는 교사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이론적 기틀마련과 더불어 직전교육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은 대학에서 이론으로 배운 다양한 교육내용들을 교육실습을 통해 학교환경에서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해 보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는 교직실무 경험, 교수역량 증진, 교직준비도 등을 증진시킬 수 있기에 교육현장 경험은 더욱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사범대학의 교육 현실은 아직 지나치게 이론 중심적이며, 예비교사들은 교육역량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현장 경험의 중요성에 따라 정부는 교사양성 과정의 개선방향으로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9년부터 교육봉사활동을 구축하였다. 이에 학교현장실습과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학교현장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이처럼 교사교육에 있어 교육현장에 대한 강조는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추구하게 한다. 실천적 지식은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극복하게 하기에 이를 위한 수업에 대한 성찰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봉사활동의 하나로 사범대학과 교육청이 연계해 실시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들과 수업경험을 한 다섯 예비교사들의 사례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의 학교현장에서의 수업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자 해석학적 의미 분석을 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경험하는가? 둘째,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어떻게 의미화 하였는가? 셋째, 연구자는 그 내용을 어떻게 성찰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과 이에 대한 의미를 통해 연구자는 예비교사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찰을 하였다. 첫째, 예비교사교육은 실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이 배운 것을 자신의 것으로 체화시킬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예비교사들이 학생에 대한 이해 및 관점 변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성찰을 돕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볼 때 예비교사교육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고 가르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교육에서 중요시하는 교사의 성찰은 방법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되었을 때 수업에 도움이 되고 더욱 그 가치가 드러난다. 이에 성찰문 쓰기, 동료교사들과 수업경험 나누기, 수퍼바이저의 지원 등 다양한 방법의 제안과 그 효과를 살펴본 것이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본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은 교사되기 과정으로 자신의 배움을 견고히 하고, 학생들을 이해하며, 학교현장을 알게 되는 계기였다. 또한 성찰을 통한 수업개선과 자기효능감을 갖게 함으로써 교직전문성과 현장적응력의 향상이 있었다. 이에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다양한 현장경험에서의 실천경험의 중요성과 예비교사의 내면 성찰을 돕는 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제어: 예비교사, 수업경험, 성찰, 자기주도학습, 사례연구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 유 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교사는 부모만큼이나 학생들을 많은 시간동안 가까이서 보아왔고,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람으로, 학생들이 어려움을 해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량과 소양에 따라 학생들은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하고,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한다. 이에 교육양성기관에서는 교사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이론적 기틀마련과 더불어 직전교육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은 대학에서 이론으로 배운 다양한 교육내용들을 교육실습을 통해 학교환경에서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해 보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는 교직실무 경험, 교수역량 증진, 교직준비도 등을 증진시킬 수 있기에 교육현장 경험은 더욱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사범대학의 교육 현실은 아직 지나치게 이론 중심적이며, 예비교사들은 교육역량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현장 경험의 중요성에 따라 정부는 교사양성 과정의 개선방향으로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9년부터 교육봉사활동을 구축하였다. 이에 학교현장실습과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학교현장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이처럼 교사교육에 있어 교육현장에 대한 강조는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추구하게 한다. 실천적 지식은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극복하게 하기에 이를 위한 수업에 대한 성찰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봉사활동의 하나로 사범대학과 교육청이 연계해 실시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들과 수업경험을 한 다섯 예비교사들의 사례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의 학교현장에서의 수업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자 해석학적 의미 분석을 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경험하는가? 둘째,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어떻게 의미화 하였는가? 셋째, 연구자는 그 내용을 어떻게 성찰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과 이에 대한 의미를 통해 연구자는 예비교사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찰을 하였다. 첫째, 예비교사교육은 실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이 배운 것을 자신의 것으로 체화시킬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예비교사들이 학생에 대한 이해 및 관점 변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성찰을 돕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볼 때 예비교사교육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고 가르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교육에서 중요시하는 교사의 성찰은 방법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되었을 때 수업에 도움이 되고 더욱 그 가치가 드러난다. 이에 성찰문 쓰기, 동료교사들과 수업경험 나누기, 수퍼바이저의 지원 등 다양한 방법의 제안과 그 효과를 살펴본 것이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본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은 교사되기 과정으로 자신의 배움을 견고히 하고, 학생들을 이해하며, 학교현장을 알게 되는 계기였다. 또한 성찰을 통한 수업개선과 자기효능감을 갖게 함으로써 교직전문성과 현장적응력의 향상이 있었다. 이에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다양한 현장경험에서의 실천경험의 중요성과 예비교사의 내면 성찰을 돕는 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제어: 예비교사, 수업경험, 성찰, 자기주도학습, 사례연구
      번역하기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 유 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교사는 부모만큼이나 학생들을 많은 시간동안 가까이서 보아왔�...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 유 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교사는 부모만큼이나 학생들을 많은 시간동안 가까이서 보아왔고,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람으로, 학생들이 어려움을 해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량과 소양에 따라 학생들은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하고,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한다. 이에 교육양성기관에서는 교사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이론적 기틀마련과 더불어 직전교육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은 대학에서 이론으로 배운 다양한 교육내용들을 교육실습을 통해 학교환경에서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해 보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는 교직실무 경험, 교수역량 증진, 교직준비도 등을 증진시킬 수 있기에 교육현장 경험은 더욱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사범대학의 교육 현실은 아직 지나치게 이론 중심적이며, 예비교사들은 교육역량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현장 경험의 중요성에 따라 정부는 교사양성 과정의 개선방향으로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9년부터 교육봉사활동을 구축하였다. 이에 학교현장실습과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학교현장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이처럼 교사교육에 있어 교육현장에 대한 강조는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추구하게 한다. 실천적 지식은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극복하게 하기에 이를 위한 수업에 대한 성찰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봉사활동의 하나로 사범대학과 교육청이 연계해 실시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들과 수업경험을 한 다섯 예비교사들의 사례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의 학교현장에서의 수업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자 해석학적 의미 분석을 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경험하는가? 둘째,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어떻게 의미화 하였는가? 셋째, 연구자는 그 내용을 어떻게 성찰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과 이에 대한 의미를 통해 연구자는 예비교사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찰을 하였다. 첫째, 예비교사교육은 실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이 배운 것을 자신의 것으로 체화시킬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예비교사들이 학생에 대한 이해 및 관점 변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성찰을 돕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볼 때 예비교사교육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고 가르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교육에서 중요시하는 교사의 성찰은 방법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되었을 때 수업에 도움이 되고 더욱 그 가치가 드러난다. 이에 성찰문 쓰기, 동료교사들과 수업경험 나누기, 수퍼바이저의 지원 등 다양한 방법의 제안과 그 효과를 살펴본 것이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본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은 교사되기 과정으로 자신의 배움을 견고히 하고, 학생들을 이해하며, 학교현장을 알게 되는 계기였다. 또한 성찰을 통한 수업개선과 자기효능감을 갖게 함으로써 교직전문성과 현장적응력의 향상이 있었다. 이에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다양한 현장경험에서의 실천경험의 중요성과 예비교사의 내면 성찰을 돕는 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제어: 예비교사, 수업경험, 성찰, 자기주도학습, 사례연구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문제 5
      • Ⅱ. 연구 배경 6
      • 1. 성찰 6
      • Ⅰ. 문제제기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문제 5
      • Ⅱ. 연구 배경 6
      • 1. 성찰 6
      • 2. 수업 14
      • 3. 예비교사교육 20
      • Ⅲ. 연구방법 28
      • 1. 사례연구 28
      • 2. 연구절차 30
      • 3. 연구 타당성 53
      • Ⅳ.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 57
      • 1.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 내용 57
      • 2.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 이야기 78
      • Ⅴ. 연구자가 본 수업경험의 의미 109
      • 1. 딜레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 110
      • 2. 조력자: 함께 나누고 이해하다 113
      • 3. 학시습: 배우고 익히면 기쁘다 116
      • 4. 교수법: 다양한 방법으로 가르치다 120
      • 5. 반성적 모방: 보고 생각하고 행하다 124
      • 6. 자기효능감: 믿는 마음이 이끌다 127
      • 7. 교육봉사: 가르치고 나누며 배우다 129
      • 8. 교학상장: 가르치고 배우니 성장하다 131
      • Ⅵ. 연구자의 성찰 143
      • 1. 알게 되고 실천하다 143
      • 2. 함께하며 반성하고 살피다 146
      • 3. 함께한 후 살피고 알다 151
      • 참고문헌 155
      • ABSTRACT 165
      • 부 록 16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칭찬, 주상덕, "교직실무이론", 서울: 동문사, 2009

      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2000

      3 강대중, 홍후조, 이윤식, 이윤미, 유채봉, 성태제, 봉미미, 김혜숙, 김천기, 김계현, 곽덕주, 강이철, "최신 교육학개론", 서울: 학지 사, 2007

      4 엄태동, "하이데거와 교육", 경기: 교육과학사, 2016

      5 정윤경, "대안적 교사교육 탐색", 서울: 학지사, 2016

      6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경기도: 교육과학사, 1999

      7 손승남, "(역) 교육은 자기교육이다", 서울: 동문선, 2004

      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2012

      9 민용성, "한국 교사의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10 정혜영, "교사 관련 은유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5(1), 59-71, 2004

      1 이칭찬, 주상덕, "교직실무이론", 서울: 동문사, 2009

      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2000

      3 강대중, 홍후조, 이윤식, 이윤미, 유채봉, 성태제, 봉미미, 김혜숙, 김천기, 김계현, 곽덕주, 강이철, "최신 교육학개론", 서울: 학지 사, 2007

      4 엄태동, "하이데거와 교육", 경기: 교육과학사, 2016

      5 정윤경, "대안적 교사교육 탐색", 서울: 학지사, 2016

      6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경기도: 교육과학사, 1999

      7 손승남, "(역) 교육은 자기교육이다", 서울: 동문선, 2004

      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2012

      9 민용성, "한국 교사의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10 정혜영, "교사 관련 은유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5(1), 59-71, 2004

      11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http://moe.go.kr/boardCnts/view.do?boardID=141&boardSeq=6074 7&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20&s=moe&m=0404 01&opType=N, 2015

      12 이명진, "자기조절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제연구, 39, 161-193, 2011

      13 김아영,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10

      14 김영천, 정상원, "질적연구방법론 Ⅴ: Date Analysis", 경기: 아카데 미프레스, 2017

      15 정혜영, "학교공간의 교육적 의미와 과제", 교육논총, 51(2), 151-161, 2014

      16 권경인, 김창대,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특성 분석", 상담학연구, 8(3), 979-1010, 2007

      17 진영은 (역),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 서울: 학지사, 2008

      18 김아영, "미래 교육의 핵심역량: 자기주도성", 교육심리연구, 28(4), 593-617, 2014

      19 서경혜,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 한국교원교육연구, 22(3), 307-332, 2005

      20 김인곤, 황영덕, 한홍진, 임호권, 이명훈, 박미화, 나승일, "예비교사 를 위한 교육실습 가이드", 경기: 교육과학사, 2012

      21 이화진, 임찬빈, "수업 전문성 일반 기준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6

      22 김혜림, 이미자, "초임교사의 자기 수업성찰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7(5), 333-358, 2017

      23 손은령, "예비교사 대상 상담 교육의 실천사례",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2(2), 27-41, 2017

      24 강태훈, 정제영, 윤흥주, 선미숙, 류성창, 김갑성, "중등 신임교사의 직 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373-396, 2014

      25 조한익, 하유경, "학업적 흥미의 역할과 향후 과제 탐색", 한국교육문 제연구, 36(1), 45-70, 2018

      26 김용식, "Heidegger 철학에서 가르침의 예술적 의미",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 28(2), 341-353, 1994

      27 임현정, "성찰과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수업보기", 초등교육학연구, 17(1), 105-128, 2010

      28 김계현, "인간과 공간에 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교육철학, 12, 1-16, 1994

      29 양애경, 조호제,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 논단, 8(3), 61-82, 2010

      30 이용숙, 조덕주, 이혁규, 김영천, 김영미, 조재식,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하는 실행연구 방법", 서울: 학지사, 2005

      31 정성수, 허은정, "예비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교육학 연구, 51(4), 1-25, 2013

      32 노태희, 한재영, 윤지현, "예비교사교육 방안으로서 코티칭의 유용성",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17-136, 2008

      33 주호수, "자기주도적 학습의 개념화와 교육적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21(1), 203-221, 2003

      34 한재영,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삶과 정체성 변화 연구", 교사교육연 구, 51(1), 75-89, 2012

      35 이새암, "사범대학 학생들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인류학연 구, 13(1), 95-129, 2010

      36 배영주, "성인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7 이진욱, 진영은,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한국 교원교육연구, 24(1), 221-249, 2007

      38 권회림, 이예다나, 유현옥, 손승현, 문은경, "국내 중등 예비교사 학 교현장실습 연구 동향", 한국교육학연구, 21(4), 63-88, 2015

      39 김진희, 도재우,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플래너 활용 사례 연구", 교육 문화연구, 18(1), 111-131, 2012

      40 손은령, "우연과 계획의 조우: 진로상담의 새로운 담론", 서울: 학 지사, 2017

      41 손은령, "예비교사를 위한 상담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학생생활연 구, 31. 53-72, 2005

      42 소경희, "학교 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학습’의 의미", 교육과정연구, 16(2), 329-351, 1998

      43 한국교육개발원,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012

      44 박성미, "전문대학생을 위한 학습전략 진단 도구의 개발", 수해양교육 연구, 21(1), 16-27, 2009

      45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 수업",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6 손은령, "상담자 교육 관점에서 본 예비교사 교육의 과제", 상담학연 구, 11(4), 1469-1482, 2010

      47 김경은, 조부경, "교사들의 자기성찰을 위한 교육문화 만들어가기", 구 성주의유아교육연구, 4(1), 25-44, 2017

      48 박소리, 최유선, 손은령, "사범대학 예비교사들의 자기주도학습 코칭 경험", 인간발달연구, 23(3), 243-259, 2016

      49 권선미, 조철기,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셀프내러티브 탐구", 교 사교육연구, 52(1), 63-78, 2013

      50 방선욱,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 연구의 교육적 함의", 교육사상 연구, 23(2), 103-123, 2009

      51 오영범, "교사전문성과 수업: 질적연구를 통한 실천적 접근", 경기: 교육과학사, 2017

      52 구원회, "교육적 성장의 관점에서 본 교사 수업 경험의 의미", 열린교 육연구, 19(1), 35-56, 2011

      53 박수정, 이주욱, 손은령, "사범대학의 교육실습 체제 개선 사례 및 성 과분석", 교육연구논총, 37(1), 1-25, 2016

      54 곽영순, "중등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실태 분석", 한국 지구과학교육학회지, 30(3), 354-365, 2009

      55 문은경, 신원석, 박인우, "중등예비교사들의 교원 핵심역량에 대한 인 식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2(1), 183-209, 2016

      56 최의창,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연구자, 그리고 현장개선연구", 교육과 정연구, 16(2), 373-399, 1998

      57 김진숙, 이근무,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109-134, 2010

      58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교 육과정연구, 22(4), 165-187, 2004

      59 정미재, 정제영,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 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63-83, 2012

      60 정하나, "예비교사의 수업관 중심 반성적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교 육학연구, 55(3), 229-286, 2017

      61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5th ed.), Sage. 신경식 외 (역)", 서울: 한경사, 2009

      62 장지선, "수업 전문성과 교수성찰 : 쇤의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연구, 30(2), 91-108, 2018

      63 성열관, "교육과정 실행연구의 성장과 주요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과정연구. 24(2), 87-109, 2006

      64 신동일, 김나희, "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교육적 성장과정", 한국교원교육연구, 23(1), 27-49, 2006

      65 김병찬, "예비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 37(1), 113-145, 2010

      66 곽덕주, 진석언, 조덕주,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교육학연구, 45(4), 195-223, 2007

      67 백순근, 함은혜,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0(4), 1-29, 2007

      68 서울사대부설여중 교육실습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사범대학 과 부설학교의 협력방안", 교육연구와 실천, 78, 15-60, 2012

      69 배영주,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 연구", 교육과정연구, 26(3), 97-119, 2008

      70 김무영, 손민호,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체육 수업 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0(3), 21-49, 2012

      71 김찬종, 이선경, 이경호, 오필석, 김희백, 김혜리, "과학교사의 교수내 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2009

      72 박인심, "협력학교 기반 교육봉사활동의 성과 분석: S여대 사례를 중 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1-27, 2014

      73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 외(역)", 서울: 학지사, 2007

      74 강정찬, "반성적 성찰기법 활용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능력 향 상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231-261, 2016

      75 조규락, 조은진, "EBS 인터넷 수능강의와 사설 인터넷 수능 강의의 실태 및 만족도 비교 분석", 중등교육연구, 58(3), 133-154, 2010

      76 김서현, 정익중, 임혜림, "“학습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 이외에 대 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청소년복지연구, 17(1), 305-332, 2015

      77 허창수, "교육지식을 재구성하는 장으로서 교육실습: 다섯 교육실습생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5(1), 95-127, 2007

      78 Gadamer, H., "-G. Erziehung ist sich erziehen. Kurpfalzischer Verlag, Heidelberg. 손승남 역(2004). 교육은 자기교육이다", 서울: 동 문선, 2000

      79 김수진, 최진영, 이지영, 서경혜, "예비교사 교직인성 분석: 재학기간, 교육실습, 교육봉사 및 진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 연구, 30(2), 305-328, 2013

      80 이수미,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영어 자기주도학 습 코칭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81 허창수, 조재식, 김영천,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 려해야 하는 타당도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 교육과정 연구, 24(1), 61-95, 2006

      82 백경숙,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 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 논총. 32(1), 77-95, 2011

      83 구병두, 최종진, 양애경,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농업교육 과 인적자원개발, 45(4), 1-22, 2013

      84 엄미리, 엄준용,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실습 전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7(1), 127-149, 2010

      85 이화진, "자기주도학습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탐색: 구성주의적 시사. 황정규(편). 현대심리학의 쟁점과 전망", 교육과학사, 247-284, 2000

      86 유솔아, "반성을 통한 교사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 예비교사의 수업관 중심 반성적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PDS", 한국교원교육연 구, 22(3), 97-121, 2005

      87 허은영, "방과후학교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중등교육연구, 57(2), 209-234, 2009

      88 양성관, 주미경, "사범대학 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 례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 교육연구, 24(2), 363-384, 2007

      89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연구의 방법과 과정. 이용 숙 김영천(편)(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 육과학사. 73-106, 1998

      90 윤소정, "전보라, 정상훈, 김회용 중고등학생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에 따른 시간관리 능력과 시간관 차이 및 학습 플래너 활용 방안", 열린 교육연구, 21(3), 101-127,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