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NCS기반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program of NCS-based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37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es presen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66 students from D University (2/3 years) in H-gu, B city. SPSS 21.0 (ver.)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one-way batch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 val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ability level of NCS-based college students was 3.12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Second,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program for NCS-based college students. Third, there was a high demand for gamification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communication program for NCS-based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es presen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66 students from D 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es presen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66 students from D University (2/3 years) in H-gu, B city. SPSS 21.0 (ver.)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one-way batch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 val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ability level of NCS-based college students was 3.12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Second,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program for NCS-based college students. Third, there was a high demand for gamification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communication program for NCS-based College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인주, "호텔종사원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을 조절효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윤하, "헬스케어 게이미피케이션 융합적 전략 및 효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5 : 175-188, 2016

      3 "한국콘텐츠진흥원"

      4 권종산, "한국어 교육을 위한 게임화 방법론 연구" 한국게임학회 13 (13): 61-74, 2013

      5 조일현, "학습과 수행을 위한 동기 설계 : ARCS 모형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013

      6 Keller, J, M., "학습과 수학을 위한 동기설계 ARCS 모형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013

      7 김지성,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5 (5): 25-35, 2012

      8 이민지,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페임랩 활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9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직업기초능력 의사소통 교수자용 매뉴얼"

      10 정의준, "정부공공분야 게임화(Gamification)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1 여인주, "호텔종사원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을 조절효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윤하, "헬스케어 게이미피케이션 융합적 전략 및 효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5 : 175-188, 2016

      3 "한국콘텐츠진흥원"

      4 권종산, "한국어 교육을 위한 게임화 방법론 연구" 한국게임학회 13 (13): 61-74, 2013

      5 조일현, "학습과 수행을 위한 동기 설계 : ARCS 모형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013

      6 Keller, J, M., "학습과 수학을 위한 동기설계 ARCS 모형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013

      7 김지성,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5 (5): 25-35, 2012

      8 이민지,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페임랩 활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9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직업기초능력 의사소통 교수자용 매뉴얼"

      10 정의준, "정부공공분야 게임화(Gamification)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11 전영옥, "의사소통의 기법" 박이정 2005

      12 박미희,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 -가천대학교 의사소통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1) : 391-416, 2018

      13 이영애,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정-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4 문하나, "소셜미디어를 통한 게이미피케이션 마케팅의 변화 방향에 대한 연구" 212-, 2015

      15 유시정, "서비스기업의 의사소통 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173-196, 2006

      16 조대연, "미래의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17 이현영,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18 박수정,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신선임,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이직고민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503-525, 2016

      20 Mcgonogal, J., "누구나 게임을 한다" 알에치코리아 2012

      21 채창균,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2 박희정,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활용된 게이미피케이션 시각표현요소의 수용의도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23 "고용노동부"

      24 신재철, "고등교육의 생애역량 모형 탐색과 개선 방안: 사회적 자본 형성의 관점에서" 교육종합연구원 9 (9): 80-102, 2011

      25 박성진, "게이미피케이션, 어디가지 진화했나?" 12 (12): 42-54, 2015

      26 홍수봉,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적용한 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NCS기반 직업기초능력(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16) : 119-136, 2019

      27 문준식,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웹사이트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코드카데미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141-151, 2014

      28 전용수, "게이미피케이션 요소 적용 수업이 학업적 흥미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고등학교 기술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29 고대훈, "게이미피케이션 메카니즘을 적용한 양자역학 원리를 배우는 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507-518, 2016

      30 김형택, "게이미피케이션 마케팅" 영진닷컴 2013

      31 Bochner, A, P., "Interpersonal competence : Rationale, Philosophy, and implementa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21 : 179-201, 1974

      32 Lee, M. N., "Globalization through community-based projects: Enhancing civic attitudes and competence skills in undergraduates" 5 (5): 1003-1008, 2015

      33 김정태, "Gamification & Game ArtShow" 홍릉과학출판사 2015

      34 김정태, "Dynamical model for gamification of learning(DMGL) : simulation of the four primary factors improv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learning games"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종합연구소 -> 교육종합연구원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71 2.408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