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영학의 인사조직 분야를 비롯한 제반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연구방법론인 설문조사에서, 참여자 개개인에게 자신의 응답에 따른 개인별 맞춤 분석 결과, 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2034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1-145(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영학의 인사조직 분야를 비롯한 제반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연구방법론인 설문조사에서, 참여자 개개인에게 자신의 응답에 따른 개인별 맞춤 분석 결과, 즉,...
본 연구는 경영학의 인사조직 분야를 비롯한 제반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연구방법론인 설문조사에서, 참여자 개개인에게 자신의 응답에 따른 개인별 맞춤 분석 결과, 즉, 개인화된피드백(personalized feedback)을 제공하는 것의 역할과 효과, 그리고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한다.
주로 의학 분야에서 참여자들의 건강 추적관리와 행동 개선을 위해 활용되어 온 개인화된 피드백을연구방법론적 시각에서 분석하여 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주요 목적으로 한다.
자기 자신(self)에 대한 정량적 측정과 이해에 대한 미디어와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개인화된 피드백의 제공이 설문조사 참여자들의 성실한 응답에 대한 동기를 높이는 유용한 인센티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살피기 위하여, 먼저, 개인화된 피드백의 효과에 관한 이론 및 기존 연구 결과들을 고찰한다. 또한, 실제 인사조직 분야의 연구 맥락에서 개인화된 피드백의 제공이 응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맥락 및 기업 현장의 HR 맥락에서개인화된 피드백을 효과적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 실제 작성에 도움이 되는 엑셀 활용법을공유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효용을 얻는만큼, 설문조사 참여자들 또한 자기 이해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생적 패러다임에 대한학계와 실무자들의 관심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in surveys, a research methodology widely used in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busines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behavior. The major g...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in surveys, a research methodology widely used in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busines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behavior. The major goal is to evaluate the utility of individualized feedback from a methodological standpoint, as opposed to typical monitoring and improvement goals in medical and educational settings, and to present theoretical findings and applications. Given the growing public and media interest in quantitative self-assessment and knowledge, providing individualized feedback in surveys could be a significant incentive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reply honestly and with care.
To investigate this possibilit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ories, including general motivation, specific survey response theories, and past research findings. It then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ersonalized feedback on response quality (i.e., the degree of careless responding)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Finally, this study shares methods for utilizing personalized feedback within the research context and practical HR settings, including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using Excel.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pique academic and practitioner interest in a synergistic paradigm that not only confirms research hypotheses through surveys but also increases participants’ interest and selfunderstanding, taking into account the benefits to participants as well.
평가제도와 보상제도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제도 간 결합효과와 연령의 조절효과
주의 기반 관점(Attention-Based View) 조직 연구의 동향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전환사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제도적 디커플링 관점에서 본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과정
긍정심리자본의 팀원-팀장 간 일치성과 불일치가 종업원의 이직의도와 역할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