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1960년대 문학의 정치성을 ‘다시’ 생각한다 = Rethinking th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n the 196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65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examine the base and characteristic of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n the 1960's. For that, I investigate critic Kim Chuyeon's conceptions of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and 'trivialism'. According to his view, trivialism let the events and things being itself through return to things and sensibility its own weight. This politics of trivialism refuse the existing orders which had been divided things and sensibility, and then reorganize that in the new orders. In that sense, trivialism was another name for the politics of literature as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n the 1960's summarized as the politics of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was a politics of de-politics which works only by separating literature from actual politics at last. And for the 4·19 generation, cynical subjective attitude work as a condition of possibility which make possible to invent the literature's own share as distinct from politics by making a break with real politics and constructing the interiority. That was a rout of founding the autonomy of literature as a form of modern liberty in the situation of underdeveloped modern in which freedoms are suppressed. Then literature in the 1960's was securing its own share by cynicism which construct isolated interiority and by a certain passive counter-identification. And we can't overlook the fact that it was related with intervention in the system of the sensible through sensibility and interiority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nature of de-politics which showed literature of 4·19 generation in the 1960's was working in the overlap interaction of that two levels.
      번역하기

      In this study, I examine the base and characteristic of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n the 1960's. For that, I investigate critic Kim Chuyeon's conceptions of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and 'trivialism'. According to his view, trivialism let t...

      In this study, I examine the base and characteristic of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n the 1960's. For that, I investigate critic Kim Chuyeon's conceptions of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and 'trivialism'. According to his view, trivialism let the events and things being itself through return to things and sensibility its own weight. This politics of trivialism refuse the existing orders which had been divided things and sensibility, and then reorganize that in the new orders. In that sense, trivialism was another name for the politics of literature as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n the 1960's summarized as the politics of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was a politics of de-politics which works only by separating literature from actual politics at last. And for the 4·19 generation, cynical subjective attitude work as a condition of possibility which make possible to invent the literature's own share as distinct from politics by making a break with real politics and constructing the interiority. That was a rout of founding the autonomy of literature as a form of modern liberty in the situation of underdeveloped modern in which freedoms are suppressed. Then literature in the 1960's was securing its own share by cynicism which construct isolated interiority and by a certain passive counter-identification. And we can't overlook the fact that it was related with intervention in the system of the sensible through sensibility and interiority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nature of de-politics which showed literature of 4·19 generation in the 1960's was working in the overlap interaction of that two le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1960년대 문학이 갖는 정치성의 기반과 성격을 살핀다. 그것을 위해 우선 김주연의 ‘소시민의식’ 및 ‘트리비얼리즘’이라는 개념과 문학 인식을 경유한다. 김주연에 따르면 트리비얼리즘이란 기성의 모든 관습과 통념을 벗어나 모든 사물과 감각에 제 무게를 돌려주는 일이다. 그럼으로써 트리비얼리즘은 사건을 혹은 사물을 비로소 그것 자체로서 존재하게 한다. 이 트리비얼리즘의 정치학이란 사물과 감각을 구획했던 기존 질서를 거부하고 그 사물과 감각을 방(放)해 새로운 질서 속에 재편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트리비얼리즘이란 감성의 재분배로서 ‘문학의 정치’의 다른 이름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감성분할의 정치로 요약되는 1960년대 문학의 정치성은 탈정치를 통해서 비로소 작동하는, 즉 정치로부터 문학의 분리를 통해서만 비로소 작동하는 비정치성의 정치성이었다. 그리고 4·19세대 문학의 주체에게 냉소주의적 주체 태도는 현실 정치(혹은 자유를 위한 싸움)과 결별하고 내면성의 구축을 통해 정치와 구별되는 그러한 문학 고유의 몫을 창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것은 자유가 억압된 후진 저개발 근대의 상황에서 근대적 자유의 한 형태로서 ‘문학’의 자율성을 정립하는 하나의 경로였다고 할 수 있다. 1960년대 문학은 그렇게 고립된 내면을 구성하는 한편의 냉소주의와 다른 한편의 소심(小心)과 불안이 작동시키는 소극적 반동일시를 통해 그 자신의 몫을 확보해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다른 한편으로는 감수성과 내면을 통한 감성체계에 대한 개입과 연결되고 있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1960년대 4·19세대 문학이 보여주었던 비정치성의 정치성은 그 두 차원의 상호중첩 속에서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1960년대 문학이 갖는 정치성의 기반과 성격을 살핀다. 그것을 위해 우선 김주연의 ‘소시민의식’ 및 ‘트리비얼리즘’이라는 개념과 문학 인식을 경유한다. 김주연에 따르...

      이 연구에서는 1960년대 문학이 갖는 정치성의 기반과 성격을 살핀다. 그것을 위해 우선 김주연의 ‘소시민의식’ 및 ‘트리비얼리즘’이라는 개념과 문학 인식을 경유한다. 김주연에 따르면 트리비얼리즘이란 기성의 모든 관습과 통념을 벗어나 모든 사물과 감각에 제 무게를 돌려주는 일이다. 그럼으로써 트리비얼리즘은 사건을 혹은 사물을 비로소 그것 자체로서 존재하게 한다. 이 트리비얼리즘의 정치학이란 사물과 감각을 구획했던 기존 질서를 거부하고 그 사물과 감각을 방(放)해 새로운 질서 속에 재편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트리비얼리즘이란 감성의 재분배로서 ‘문학의 정치’의 다른 이름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감성분할의 정치로 요약되는 1960년대 문학의 정치성은 탈정치를 통해서 비로소 작동하는, 즉 정치로부터 문학의 분리를 통해서만 비로소 작동하는 비정치성의 정치성이었다. 그리고 4·19세대 문학의 주체에게 냉소주의적 주체 태도는 현실 정치(혹은 자유를 위한 싸움)과 결별하고 내면성의 구축을 통해 정치와 구별되는 그러한 문학 고유의 몫을 창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것은 자유가 억압된 후진 저개발 근대의 상황에서 근대적 자유의 한 형태로서 ‘문학’의 자율성을 정립하는 하나의 경로였다고 할 수 있다. 1960년대 문학은 그렇게 고립된 내면을 구성하는 한편의 냉소주의와 다른 한편의 소심(小心)과 불안이 작동시키는 소극적 반동일시를 통해 그 자신의 몫을 확보해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다른 한편으로는 감수성과 내면을 통한 감성체계에 대한 개입과 연결되고 있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1960년대 4·19세대 문학이 보여주었던 비정치성의 정치성은 그 두 차원의 상호중첩 속에서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찬, "혁명, 언어, 젊음: 4·19의 불가능성과 4·19세대 문학" 한국학연구원 (51) : 7-36, 2013

      2 슬라보예 지젝, "헤겔 레스토랑-Less than Nothing 1" 새물결 2013

      3 김항, "정치신학" 그린비출판사 2010

      4 박유하,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5 김영찬, "이청준 격자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한국근대문학회 12 (12): 329-353, 2005

      6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의)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

      7 테리 이글턴, "우리시대의 비극론" 경성대 출판부 2006

      8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85

      9 성은애, "세상의 이치: 유럽 문화 속의 교양소설" 문학동네 2005

      10 김현, "세대교체의 진정한 의미" 1969

      1 김영찬, "혁명, 언어, 젊음: 4·19의 불가능성과 4·19세대 문학" 한국학연구원 (51) : 7-36, 2013

      2 슬라보예 지젝, "헤겔 레스토랑-Less than Nothing 1" 새물결 2013

      3 김항, "정치신학" 그린비출판사 2010

      4 박유하,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5 김영찬, "이청준 격자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한국근대문학회 12 (12): 329-353, 2005

      6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의)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

      7 테리 이글턴, "우리시대의 비극론" 경성대 출판부 2006

      8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85

      9 성은애, "세상의 이치: 유럽 문화 속의 교양소설" 문학동네 2005

      10 김현, "세대교체의 진정한 의미" 1969

      11 김주연, "새시대 문학의 성립-인식의 출발로서 60년대" 1969

      12 유종호, "비순수의 선언" 민음사 1995

      13 전상기, "문화적 -주체의 구성과 소시민 의식-" 상허학회 13 : 477-506, 2004

      14 자크 랑시에르, "문학의 정치" 인간사랑 2009

      15 김형중, "문학, 사건, 혁명 : 4․19와 한국문학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9) : 137-162, 2010

      16 서기원, "대변인들이 준 약간의 실망-『김현 씨의 분화 안 된 사고의 흔적』에 답한다"

      17 페터 슬로터다이크, "냉소적 이성 비판" 에코리브르 2005

      18 김주연, "계승의 문학적 인식-‘소시민의식’ 파악이 갖는 방법론적 의미" 1969

      19 김미란, "‘시민-소시민 논쟁’의 정치학"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255-286, 2006

      20 Franco Moretti, "Signs Taken for Wonders" Verso 1983

      21 김치수, "60년대 한국소설의 성과-反俗主義로서의 소시민의식" (여름) : 1969

      22 구중서, "4․19와 한국문학" 1970

      23 이광호, "4․19와 모더니티" 문학과지성사 2010

      24 홍사중, "30대의 좌표" 1971

      25 김현, "1968년의 작가상황" 1968

      26 오창은, "1960년대 소설의 小市民的 性格 고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293-317,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