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고생의 신체에 대한 수치심과 섭식행동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 The Mediate Effects of Self-forgiveness in Relations Between Body Sham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Eating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1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figuring out relations with factors influencing on eating behavior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mediation effects of self-forgiveness on eating behaviors by body shame.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1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Deaje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eating behaviors and body shame mediated by self-forg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self-forgiveness has meaningfully meditation effects in relations between body sham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eating behaviors. This means that high body shame directly influences on abnormal eating behaviors and indirectly as lowering the self forgivene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esent directions of counseling intervention on eating disorde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 the age of people suffered from eating disorder is on the gradual decreas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approach to enhance the self-forgiveness and counseling implication for the eating disorde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ed at figuring out relations with factors influencing on eating behavior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mediation effects of self-forgiveness on eating behaviors by body shame.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

      This research aimed at figuring out relations with factors influencing on eating behavior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mediation effects of self-forgiveness on eating behaviors by body shame.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1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Deaje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eating behaviors and body shame mediated by self-forg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self-forgiveness has meaningfully meditation effects in relations between body sham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eating behaviors. This means that high body shame directly influences on abnormal eating behaviors and indirectly as lowering the self forgivene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esent directions of counseling intervention on eating disorde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 the age of people suffered from eating disorder is on the gradual decreas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approach to enhance the self-forgiveness and counseling implication for the eating disorde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용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지역의 여고생들 410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섭식행동, 신체수치심, 자기용서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상정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고생들의 신체수치심과 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용서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고생들에게 있어 높은 신체 수치심이 직접적으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신체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용서를 낮춤으로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점차 저연령화되고 있는 섭식문제에 대한 상담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섭식문제에 대한 요인으로 신체 수치심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개입과 더불어 자기용서를 증진시키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의의와 여고생들의 섭식문제에 대한 상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용서가 매개효과를 ...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용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지역의 여고생들 410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섭식행동, 신체수치심, 자기용서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상정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고생들의 신체수치심과 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용서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고생들에게 있어 높은 신체 수치심이 직접적으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신체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용서를 낮춤으로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점차 저연령화되고 있는 섭식문제에 대한 상담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섭식문제에 대한 요인으로 신체 수치심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개입과 더불어 자기용서를 증진시키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의의와 여고생들의 섭식문제에 대한 상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소현, "한국판 자기용서 상태 척도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이민규, "한국판 식이장애검사(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KEDE)의 타당화" 11 (11): 407-418, 1996

      3 김완석,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26 (26): 329-349, 2007

      4 한오수, "한국인의 식이장애의 역학 및 성격특성"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270-287, 1990

      5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6 김은경,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수치심, 죄책감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성의 중재효과 :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6 (16): 45-74, 2009

      7 선안남, "자기 대상화, 신체 수치심이 여대생의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박임마누엘, "완벽주의와 사회문화적 외모가치 기준의 내면화 및 수치심과 신체존중감 그리고 섭식태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손은정, "완벽주의, 자기비난, 자기의식, 신체불만족 및 신경성 폭식증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30 (30): 165-183, 2011

      10 가인숙, "역기능적 가정, 수치심, 사회적 지지와 폭식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209-223, 2006

      1 배소현, "한국판 자기용서 상태 척도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이민규, "한국판 식이장애검사(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KEDE)의 타당화" 11 (11): 407-418, 1996

      3 김완석,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26 (26): 329-349, 2007

      4 한오수, "한국인의 식이장애의 역학 및 성격특성"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270-287, 1990

      5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6 김은경,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수치심, 죄책감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성의 중재효과 :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6 (16): 45-74, 2009

      7 선안남, "자기 대상화, 신체 수치심이 여대생의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박임마누엘, "완벽주의와 사회문화적 외모가치 기준의 내면화 및 수치심과 신체존중감 그리고 섭식태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손은정, "완벽주의, 자기비난, 자기의식, 신체불만족 및 신경성 폭식증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30 (30): 165-183, 2011

      10 가인숙, "역기능적 가정, 수치심, 사회적 지지와 폭식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209-223, 2006

      11 이정윤, "여대생의 이상식사 행동 수준에 따른 심리적, 정서적 특성"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111-124, 2003

      12 성미혜, "여대생의 섭식장애, 신체증상 및 자아존중감의 관련성" 한국모자보건학회 9 (9): 155-166, 2005

      13 김지연, "수치심, 죄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4 오미영, "섭식태도와 완벽주의 성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5 우마리아, "섭식태도검사(EAT)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37, 1996

      16 박선희, "서울시내 여중생의 다이어트 행위 실태와 관련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17 홍세희, "부정문항이 포함된 검사의 요인구조: 자아존중감 검사의 예"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713-732, 2011

      18 박지연, "내현적자기애 성향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신체에 대한 수치심 매개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9

      19 박지연,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신체에 대한 수치심 매개효과 검증"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663-679, 2011

      20 박혜영, "극저체중을 희망하는 여고생의 생활습관, 식습관, 체중조절행위, 감량에 대한 집착, 비만스트레스 및 우울증상"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1 손은정, "공적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감시,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735-750, 2007

      22 Backer, M., "Women's reflections on the complexities of forgiveness" Routledge 2008

      23 Stein, R. I., "What’s driving the binge in binge eating disorder? : A prospective examination of precursors and consequences" 40 : 195-203, 2007

      24 Zechmeister, J. S., "Victim and accounts of interpersonal confict : Autobiographical narratives of forgiveness and unforgiveness" 82 (82): 675-686, 2002

      25 Kishton, J.,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aire items : An empirical example" 54 : 757-765, 1994

      26 Streigel-Moore, R. H., "Toward an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for bulimia" 41 : 246-263, 1986

      27 Garner, D. M., "The eating attitudes test" 12 : 871-878, 1982

      28 McKinley, N. M.,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 Development and validation" 20 : 181-215, 1996

      29 Anderson, James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 : 93-, 1989

      30 Dillion, R. S., "Self-forgiveness and self-respect" 122 : 53-83, 2001

      31 Hall, J. H., "Self-forgiveness : The stepchild of forgiveness research" 24 (24): 621-637, 2005

      32 Smolck, L., "Saperation-individuation difficultie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Bulimia Nervosa and Anorexia Nervosa in college women" 14 : 33-41, 1993

      33 Maloney, M. J., "Reliability testing of the children’s version of the Eating Attitudes Test" 5 : 541-543, 1998

      34 Turnage, B. F., "Reality, therapy, domestic violence survivors, and self-forgiveness" 22 (22): 24-26, 2003

      35 Kline, R. B.,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36 Rangganadhan, A. R., "Personality and self-forgiveness: The measurement of forgiveness: Preliminary research" 29 (29): 1-22, 2010

      37 Leon, G. R., "Personality and behavioral vulnerabilities associated with risk status for eating disorders in adolescent girls" 120 : 438-444, 1993

      38 Taranis, L., "Perfectionism and compulsive exercise among female exerciers: High personal standards or self-criticism?" 49 (49): 3-7, 2010

      39 Fredrickson, B. L., "Objectification theory :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21 : 173-206, 1997

      40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 422-445, 2002

      41 Wohl, M. J. A., "Looking within : Measuring state self-forgiveness and its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40 (40): 1-10, 2008

      4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Handbook of psychiatric measure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43 Bartky, S. L., "Foucault, faminity, and the modemization of patriardhal power, In Feminism and Foucault: Reflections on resistance" Northeasten University Press 61-86, 1988

      44 Tangney, J. P., "Forgiving the self: conceptual issues and empirical findings, In Handbook of forgiveness" Routledge 2005

      45 Holmgren, M. R., "Forgiveness and self- forgiveness in psychotherapy, In Before forgiving: Cautionary views of forgiveness in psychotherapy" Oxford University Press 112-135, 2002

      46 Eisele, J., "Factors relatied to Eating Disorders in young girls" 21 : 283-290, 1986

      47 Watson, M. J. L., "Eating Disorders" 20 (20): 31-41, 2012

      4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49 Lobera, I.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20 (20): 181-215, 2009

      50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 1-55, 1999

      51 Enright, R. D., "Counseling within the forgiveness triad : On forgiving, receiving forgiveness, and self-forgiveness" 40 (40): 107-127, 1996

      52 Fairburn, C.,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eating disorders : a"transdiagnostic"theory and treatment" 41 (41): 509-528, 2003

      53 Dunkley, D. M., "Childhood maltreatment, depressive symptoms, and body dis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binge eating disorder: The mediating role of self-criticism" 43 (43): 274-281, 2010

      54 Fabian, L, J., "Body image disturbance in young females" 8 (8): 63-74, 1989

      55 Schlomer, G. L., "Best practices for missing data management in counseling psychology" 57 : 1-10, 2010

      56 Bagozzi, R. P., "A general approach for representing construc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1 : 45-87,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