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태웅, "해방 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1894년 농민전쟁 서술의 변천" 역사교육연구회 (133) : 223-256, 2015
2 김민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평가체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191-215, 2011
3 이미미,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한국역사교육학회 (29) : 87-132, 2017
4 이미미, "예비교사에게 사료란 무엇인가?: 객관성, 사실, 그리고 증거" 역사교육연구회 (144) : 145-187, 2017
5 강선주, "역사 수업에서 문자 사료 읽으며 역사적으로 사고하기 방안" 31 (31): 2011
6 강선주, "소통으로 만드는 역사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7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연구회 (125) : 183-226, 2013
8 김한종,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구성과 서술" 역사문제연구소 17 (17): 87-117, 2013
9 김수미, "국가수준 대학입시 선다형 국사 문항이 교수·학습에 끼친 영향" 역사교육학회 (57) : 19-68, 2015
10 김정호, "교과서 편찬의 실제" 동아출판 2014
1 김태웅, "해방 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1894년 농민전쟁 서술의 변천" 역사교육연구회 (133) : 223-256, 2015
2 김민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평가체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191-215, 2011
3 이미미,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한국역사교육학회 (29) : 87-132, 2017
4 이미미, "예비교사에게 사료란 무엇인가?: 객관성, 사실, 그리고 증거" 역사교육연구회 (144) : 145-187, 2017
5 강선주, "역사 수업에서 문자 사료 읽으며 역사적으로 사고하기 방안" 31 (31): 2011
6 강선주, "소통으로 만드는 역사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7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연구회 (125) : 183-226, 2013
8 김한종,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구성과 서술" 역사문제연구소 17 (17): 87-117, 2013
9 김수미, "국가수준 대학입시 선다형 국사 문항이 교수·학습에 끼친 영향" 역사교육학회 (57) : 19-68, 2015
10 김정호, "교과서 편찬의 실제" 동아출판 2014
11 이종국, "교과서 출판의 진실" 일진사 2011
12 최상훈, "고등학생의 사료이해 양상" 한국역사교육학회 (3) : 145-208, 2006
13 강선주, "고등학생과 역사가의 역사 텍스트 독해 양상과 텍스트 독해 교수학습 전략" 역사교육연구회 (125) : 129-182, 2013
14 방지원, "고등학교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내용 구성 방식의 비교 - ‘사료’와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6) : 91-132, 2007
15 김병인,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읽기자료』의 특징과 문제점" 역사교육연구회 (86) : 2003
16 김성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사료 활용 방식의 특징과 문제점" 역사교육연구회 (136) : 1-40, 2015
17 박진동,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 실린 사료의 비교 분석과 제시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08) : 217-254, 2008
18 Bradley Fogo, "Core Practices for Teaching History: The Results of a Delphi Panel Survey" 42 (42): 2014
19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Common Core State Standards"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