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지역의 정치의식 변화에 관한 소고(小考) - 지역주의적 투표행태와 집권정당에 대한 지지의 전형성 평가를 중심으로 - = Political propensities in the RussianFar East and Siber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4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political atmosphere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on the basis of votings and survey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voting patterns in the regions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Russian Federation as a whole: the grassroots of the regions appeared to accept policies of the center. Second, increasing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has recorded in elections, particularly in large cities. Third, as a result of increasing role of the ruling party, conservative left wing seems to be marginalized. Political factions are merged with dominating ruling party in the regions, as well as at the center. Fourth, a high level of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are also apparent in the national administrative units, particularly under Putin. Such tendencies shows growing authoritarianism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Fifth, survey results, however, are in contradiction to the voting patterns: the grassroots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often withdraw their supports for the center.
      These findings lead us to a conclusion that the political tendencies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has formed a rather complicated feature: support authoritarian center with their emphasis of reform policies. Such feature seems to be unchanged at least in the near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political atmosphere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on the basis of votings and survey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voting patterns in the regions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Russian Federation as a whole: the grassr...

      This study focuses on political atmosphere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on the basis of votings and survey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voting patterns in the regions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Russian Federation as a whole: the grassroots of the regions appeared to accept policies of the center. Second, increasing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has recorded in elections, particularly in large cities. Third, as a result of increasing role of the ruling party, conservative left wing seems to be marginalized. Political factions are merged with dominating ruling party in the regions, as well as at the center. Fourth, a high level of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are also apparent in the national administrative units, particularly under Putin. Such tendencies shows growing authoritarianism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Fifth, survey results, however, are in contradiction to the voting patterns: the grassroots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often withdraw their supports for the center.
      These findings lead us to a conclusion that the political tendencies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has formed a rather complicated feature: support authoritarian center with their emphasis of reform policies. Such feature seems to be unchanged at least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러시아의 극동, 동시베리아지역 주민들의 정치의식 변화를 주로 연방 및 지방수준 투표결과와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지역주의적 투표행태와 집권세력에 대한 지지의 전형성 평가가 초점이었다. 전체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방수준 선거에서 보여준 투표경향은 연방 전체의 변화에 근접하고 있다. 지역의 정치적 세(勢)가 약하고 지역주민들이 연방중앙의 의사에 비교적 추종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여당적 집권세력에 대한 지지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민족원칙 연방주체들 외에도 대규모 도시가 있는 연방주체들에서도 그 상승세는 상당한 정도에 이르고 있다.
      셋째, 보수적 좌파성향의 정치세력은 위축속에서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집권세력으로의 흡수라는 전반적인 흐름은 이제 지방에도 관통되고 있는 것이다. 넷째, 민족원칙 연방주체들에서 일관되게 집권세력, 여당적 정치세력에 대한 지지가 높다. 지지율 상승은 대도시에서도 적지 않은데, 이는 푸친 집권하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지방의회 선거결과와 결합하면 현재까지 이어짐을 알 수 있다. 극동, 시베리아지역의 차별적 특성, 푸친 집권 이래 권위주의적 색채의 강화 등을 보여주는 현상들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여론조사결과에서 나타나는 것은, 지방수준 정치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은 종종 중앙권력에 대한 전반적 승인과 대비되는 흐름을 보인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보수성과 개혁성의 측면에서 극동과 동시베리아지역은 이전의 보수성이 강했던 색채에서 이제는 외견상 개혁성을 강조하는, 권위주의적 정치세력에 대한 지지가 계속 강화되는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일정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이 글은 러시아의 극동, 동시베리아지역 주민들의 정치의식 변화를 주로 연방 및 지방수준 투표결과와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지역주의적 투표행태와 집권세력에 대한 지지의...

      이 글은 러시아의 극동, 동시베리아지역 주민들의 정치의식 변화를 주로 연방 및 지방수준 투표결과와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지역주의적 투표행태와 집권세력에 대한 지지의 전형성 평가가 초점이었다. 전체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방수준 선거에서 보여준 투표경향은 연방 전체의 변화에 근접하고 있다. 지역의 정치적 세(勢)가 약하고 지역주민들이 연방중앙의 의사에 비교적 추종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여당적 집권세력에 대한 지지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민족원칙 연방주체들 외에도 대규모 도시가 있는 연방주체들에서도 그 상승세는 상당한 정도에 이르고 있다.
      셋째, 보수적 좌파성향의 정치세력은 위축속에서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집권세력으로의 흡수라는 전반적인 흐름은 이제 지방에도 관통되고 있는 것이다. 넷째, 민족원칙 연방주체들에서 일관되게 집권세력, 여당적 정치세력에 대한 지지가 높다. 지지율 상승은 대도시에서도 적지 않은데, 이는 푸친 집권하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지방의회 선거결과와 결합하면 현재까지 이어짐을 알 수 있다. 극동, 시베리아지역의 차별적 특성, 푸친 집권 이래 권위주의적 색채의 강화 등을 보여주는 현상들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여론조사결과에서 나타나는 것은, 지방수준 정치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은 종종 중앙권력에 대한 전반적 승인과 대비되는 흐름을 보인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보수성과 개혁성의 측면에서 극동과 동시베리아지역은 이전의 보수성이 강했던 색채에서 이제는 외견상 개혁성을 강조하는, 권위주의적 정치세력에 대한 지지가 계속 강화되는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일정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혜련, "러시아지방의 정치적 특성과 유형화" 도서출판 오름 2005

      2 Ментальность Россиян, "Специфика сознания больших групп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и / Под общ.ред" 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образования, Псих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1997

      3 "Социологически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Институт социально-полит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РАН, Институт социологии РАН 1998

      4 "Сибирь и дальний восток: россияне готовы к новому баму? / ВЦИОМ: Пресс-выпуск № 596"

      5 "Сводная таблица результатов выборов. Выборы депутато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Думы Федерального Собра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ятого созыва. Дата голосования"

      6 "Сводная таблица результатов выборов. Выборы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Дата голосования"

      7 "Сводная таблица об итогах голосования по выборам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8 "Сводная таблица о результатах выборов по федеральному избирательному округу"

      9 "Рукавишников В.О., Халман Л., Эстер П. Политические культуры и социальные изменения" 282-286, 1998

      10 Россия:душой-в европе,телом-в азии / ВЦИОМ:Пресс-выпуск № 652.16.03.2007.http://wciom.ru/arkhiv/tematicheskii-arkhiv/item/single/, "Россия: душой - в европе, телом - в азии / ВЦИОМ: Пресс-выпуск № 652"

      1 강혜련, "러시아지방의 정치적 특성과 유형화" 도서출판 오름 2005

      2 Ментальность Россиян, "Специфика сознания больших групп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и / Под общ.ред" 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образования, Псих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1997

      3 "Социологически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Институт социально-полит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РАН, Институт социологии РАН 1998

      4 "Сибирь и дальний восток: россияне готовы к новому баму? / ВЦИОМ: Пресс-выпуск № 596"

      5 "Сводная таблица результатов выборов. Выборы депутато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Думы Федерального Собра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ятого созыва. Дата голосования"

      6 "Сводная таблица результатов выборов. Выборы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Дата голосования"

      7 "Сводная таблица об итогах голосования по выборам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8 "Сводная таблица о результатах выборов по федеральному избирательному округу"

      9 "Рукавишников В.О., Халман Л., Эстер П. Политические культуры и социальные изменения" 282-286, 1998

      10 Россия:душой-в европе,телом-в азии / ВЦИОМ:Пресс-выпуск № 652.16.03.2007.http://wciom.ru/arkhiv/tematicheskii-arkhiv/item/single/, "Россия: душой - в европе, телом - в азии / ВЦИОМ: Пресс-выпуск № 652"

      11 М. Макклола и А, "Российское общество: становление демократических ценностей? / Под ред" Московский центр Карнеги 1999

      12 "Рейтинги российских губернаторов: лужков шагает впереди! / ВЦИОМ: Пресс-выпуск № 1012"

      13 Кынев А, "Региональные избирательные кампании как индикатор развития гражданского общества // Отечественные записки. Журнал для медленного чтения"

      14 "Полномочия губернаторов: расширять, сокращать или оставить как есть? / ВЦИОМ: Пресс-выпуск"

      15 "Политические индикаторы. (30.10.2008.) Фонд “Общественное мнение”"

      16 "Оценка работы органов власти и их влияния на экономику. (06.11.2008.) Фонд “Общественное мнение”"

      17 "Оценка работы новых губернаторов / ВЦИОМ: Пресс-Выпуск No. 1037"

      18 "Законодательная Дума Хабаровского края. Центральная избирательная комисс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19 ВЦИОМ:Каждый пятый россиянин готов лично принять участие в акциях протеста / REGNUM.http://www.regnum.ru/news/110, "ВЦИОМ: Каждый пятый россиянин готов лично принять участие в акциях протеста / REGNUM"

      20 "Авторитетные лица: кого уважают в российской глубинке? / ВЦИОМ: Пресс-выпуск"

      21 Kaspin, Deborah,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Malawi's Democratic Transition" 33 (33): 559-620, 1995

      22 Jalali, Rita, "Recial and Ethnic Conflicts: A Global Perspectives" 107 (107): 585-606, 1992

      23 Lijphart, Arendt, "Political Parties: Ideologies and Programs. Washington: Butler, Penniman, Ranney. eds" Democracy at Polls 1981

      24 Rudolph, Joseph R., "Ethnoterritotial Movements and the Policy Process" 1985 : 291-311, 1985

      25 Newman, Saul, "Ethnoregional Parties: A Comparative Perspective" 4 (4): 28-66, 1994

      26 Newman, Saul, "Does Modernization Breed Ethnic Political Conflict?" 43 : 451-478, 1991

      27 Ragin, Charles, "Class, Status, and Reactive Ethnic Cleavages: The Social Bases of Political Regionalism" 42 : 438-450,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0-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 태평양지역연구원 -> 국제지역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Asia-Pacific Studies -> Institute of Global Affair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3 1.093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