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다문화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 중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관하여 논해보고자 한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620949
2018
Korean
학술저널
56-72(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다문화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 중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관하여 논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다문화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 중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관하여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다문화 여성에 대하여 2015년 3월 17일부터 2015년 3월 30일에 걸쳐 약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220부의 설문이 수거되고, 불성실 응답본 및 누락본을 제외하여 총 187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구조모형의 경로 추정치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건강성은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가족건강성은 다문화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는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다문화여성에 대한 상담에 있어서 이들을 임파워먼트하고 궁극적으로 이들의 심리적안녕감을 구현하는 것에 있어서, 문화적응의 스트레스를 점검하고 가족건강성을 점검하는 것이 우리나라 다문화여성을 임파워먼트하고 심리적 안녕감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of cultural stress and family health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ulticultural women and discusses the effect of importers on i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of cultural stress and family health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ulticultural women and discusses the effect of importers on i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multicultural women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for about two weeks from March 17, 2015 to March 30, 2015, excluding the total of 220 surveys collected and the missing ver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s path estimation showed that cultural stress is high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importers of multicultural women.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family healt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orters of multicultural women. Cultural stress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family healt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ulticultural women.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importers of multicultural wome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is process, in counseling on multicultural women in Korea,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at checking their cultural adaptation and checking their family health could help Korean multicultural women through import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Table of Contents)
대통령 정치이념에 따른 언론사의 정파성과 정부정책 보도 방향간의 관계 - 대통령 연설문과 언론 사설 분석을 중심으로 -
창조인재의 주거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혁신도시에 대한 어메니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