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慶州 崔震立神道碑 龜趺 考察 : 慶州地域의 統一新羅時代 龜趺 特性을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Tortoise-Shaped Base of Choi-Jin Rib Sindobi : Based on The Charcteristics of Tortoise-Shaped Base of United Silla Period in Gyeongju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074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國 文 抄 錄 통일신라시대의 조각 중에는 그 數가 적어 여타 조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한 귀부(龜趺)가 있는데, 이것은 석비(碑石)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도 제...

      國 文 抄 錄

      통일신라시대의 조각 중에는 그 數가 적어 여타 조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한 귀부(龜趺)가 있는데, 이것은 석비(碑石)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귀부 中 경주 내남면 이조리에 위치하여 있는 정무공 최진립신도비의 귀부(貞武公 崔震立神道碑 龜趺)는 통일신라시대의 것을 조선시대에 재사용 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비록 처음 만들어진 때가 명확하지 않은 점이 없지 않지만, 그 형식이 태종무열왕릉 귀부와 무관하지 않고, 조성과정이 통일신라시대의 귀부를 재사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감안하면, 지금까지 그 가치가 너무 평가절하 되어왔다. 특히 태종무열왕릉 귀부 및 서악리 귀부의 형식을 따르면서도 後代에 재사용 과정을 거치며 변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부분은 두 시대(통일신라시대와 조선시대)간의 美感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자료라는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경주지역 귀부의 특성을 선행적으로 살펴보고, 그 특징들을 바탕으로 정무공 최진립신도비 귀부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먼저 경주지역에 남아 있는 13基의 통일신라시대 귀부의 특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통일신라시대 초기에 조성된 5개소 귀부(태종무열왕릉 귀부, 서악리 귀부, 사천왕사지 귀부 2기, 황복사지 귀부, 고선사지 귀부)의 머리는 모두 거북머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龜甲은 六角形의 龜甲紋을 두어 한국 토종거북인 남생이의 선명한 龜甲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고선사지 및 황복사지의 귀부처럼 後代로 갈수록 龜甲紋은 점차 도식화된다. 그리고 碑座는 蓮花와 蓮葉을 받침으로 하여 풍부한 量感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성덕왕릉 귀부로부터 시작된 통일신라 후기의 귀부는 초기의 양식과는 달리 변화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龜趺의 머리가 龍頭(용머리)로 바뀌고, 목[頸]은 보다 역동성을 띤다. 몸체로부터 나온 목은 ‘乙(S)’字 모양으로 휘어 前方으로 향한다. 그 때문에 목을 덮고 있는 龜甲이 영향을 받아 목이 휜 만큼 뒤로 밀려 젖혀지는 특성을 보인다.
      다음으로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이 바로 碑座 부분이다. 비좌는 보다 넓어졌으며, 숭복사지 귀부처럼 별도의 돌(石)을 두기도 한다.
      이와 함께 보다 특징적인 것은 쌍신두 귀부(雙身頭 龜趺, 2개의 몸과 머리로 된 귀부)가 출현한다는 점이다. 2마리의 龍頭(용머리) 귀부가 하나의 돌에 조각되어 비좌를 받치고 있는 것으로, 발모양은 2마리의 거북이 서로 밀치는 듯한 것과 여의주를 쫓는 듯한 모습 등이 나타난다.
      이처럼 統一新羅時代 初期의 龜趺는 우리나라 토종 거북인 남생이를 묘사한 듯 단순하고, 사실적이며, 후기의 龜趺는 龍의 특징이 가미되어 역동적이고, 보다 장식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본 정무공 최진립신도비 귀부는 거북머리에 뒤로 말리지 않은 귀갑을 갖춘 龜頭形 귀부이며, 몸체와 머리의 길이 比가 3 : 1인 통일신라시대 초기에 제작된 태종무열왕릉 귀부 및 서악리 귀부와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그리고 그 모습은 한국 토종 거북인 남생이와 유사하다.
      龜甲은 여러 겹의 六角形으로 통일신라시대 초기 귀부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비좌의 후면부는 귀갑문 사이에 마름모를 둔 형식으로 線刻에 가깝다.
      碑座(비좌)는 우주와 탱주 사이에 안상을 둔 형식으로 우주와 탱주의 너비가 일정하지 않고, 안상도 조선시대 건물의 난간부 風穴과 가까운 것으로 볼 때, 조선시대에 새로 조각한 것으로 보인다.
      龜足은 添刻(첨각, 덧대어 조각)을 하였을 것이라는 가장 강한 증거가 된다. 특히 앞발은 짧고 두터우며, 발가락이 지대석의 앞쪽 아래까지 이어져 있어서 발부분이 훼손된 통일신라시대 귀부를 개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뒷발과 꼬리 및 지대석도 훼손된 부분을 개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경주지역의 통일신라시대 귀부를 살펴보고, 그를 통해 정리된 특징을 분석틀로 하여 정무공 최진립신도비 귀부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정무공 최진립신도비 귀부는 백운대 일원에 있었던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귀부를 가져다가 조선시대에 添刻하여 새롭게 꾸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 次
      • 目 次
      • Ⅰ. 序論 1
      • 1. 硏究 背景 및 目的 1
      • 2. 硏究 範圍 2
      • 2-1. 時間的 範圍 2
      • 2-2. 空間的 範圍 2
      • Ⅱ. 石碑의 形式과 展開 3
      • 1. 石碑의 形式과 種類 3
      • 2. 石碑의 展開 6
      • 2-1. 中國 石碑의 變遷 6
      • 2-2. 三國~統一新羅時代 石碑의 展開 8
      • Ⅲ. 慶州地域 統一新羅時代 龜趺의 特徵 10
      • 1. 龜趺의 槪觀 10
      • 1-1. 龜趺의 各部 名稱과 槪觀 10
      • 1-2. 龜趺의 龜頭와 龍頭 比較 12
      • 2. 慶州地域 統一新羅 龜趺 16
      • 2-1. 太宗武烈王陵 龜趺 16
      • 2-2. 西岳里 龜趺 18
      • 2-3. 四天王寺址 龜趺 19
      • 2-4. 高仙寺址 龜趺 21
      • 2-5. 聖德王陵 龜趺 22
      • 2-6. 興德王陵 龜趺 24
      • 2-7. 鍪藏寺 阿彌陀佛造像事蹟碑 龜趺 26
      • 2-8. 崇福寺址 龜趺 29
      • 2-9. 皇福寺址 龜趺 31
      • 2-10. 昌林寺址 龜趺 32
      • 2-11. 天龍寺址 龜趺 34
      • 2-12. 浦項 法廣寺址 龜趺 36
      • 2-13. 蔚山 靈鷲寺址 龜趺 37
      • Ⅳ. 貞武公 崔震立神道碑 現況 40
      • 1. 崔震立의 行蹟 40
      • 2. 崔震立 神道碑 關聯 古文獻 考察 41
      • 2-1. 龍山書院 關聯 文件 41
      • 2-2. 貞武公 崔震立神道碑 竪立 關聯 文件 45
      • 3. 貞武公 崔震立神道碑의 現況 53
      • Ⅴ. 貞武公 崔震立神道碑 龜趺의 特徵 56
      • 1. 比例 56
      • 2. 細部 裝飾 58
      • 2-1. 龜頭部 58
      • 2-2. 龜甲部 60
      • 2-3. 碑座部 62
      • 2-4. 龜足部 64
      • 2-5. 其他 69
      • Ⅵ. 結論 71
      • [參考文獻] 74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