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양보호생물 바닷새의 국내 연안습지 분포 및 서식 특성 =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Coastal Birds Designated as Protected Marine Species in Coastal Wetlands of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90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해양생태계의 복잡한 구조를 이해하고 실시간 변화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보호생물 바닷새의 분포현황과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2023년까지 9년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의 일환으로 국내 주요 연안습지 35개소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해양보호생물은 13종이 관찰되었고, 우점하는 조류는 알락꼬리마도요(Numenius madagascariensis, 41.1%),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30.8%), 검은머리갈매기(Larus saundersi, 10.1%), 저어새(Platalea minor, 9.8%),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 4.7%)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종은 주로 서해안 연안습지에서 확인되었으며, 동해안 권역에서 9종으로 가장 많은 종수가, 경기 권역에서 9,462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또한 국제적 중요 지역(IIS) 기준을 충족하는 지역은 총 12개소로, 경기 권역의 6개 전 지역이 모두 해당 기준에 부합하였다. 종별 서식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갯벌은 알락꼬리마도요(97.8%), 노랑부리백로(96.1%), 검은머리갈매기(95.4%) 등 다수 종의 주요 서식지로 나타났고, 외해에 주로 서식하는 해양성 조류는 해양 환경에서만 관찰되었다. 특히, 해양보호생물 중 해양성조류가 50%를 차지함에 따라 기존 연안 중심 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선박 기반 조사의 추가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더불어 지역 및 권역 특성에 맞춘 서식지 관리, 종별 생태적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보호 전략 등 정책적으로 중장기적인 계획과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해양생태계의 복잡한 구조를 이해하고 실시간 변화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보호생물 바닷새의 분포현황과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2023년까...

      이 연구는 해양생태계의 복잡한 구조를 이해하고 실시간 변화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보호생물 바닷새의 분포현황과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2023년까지 9년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의 일환으로 국내 주요 연안습지 35개소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해양보호생물은 13종이 관찰되었고, 우점하는 조류는 알락꼬리마도요(Numenius madagascariensis, 41.1%),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30.8%), 검은머리갈매기(Larus saundersi, 10.1%), 저어새(Platalea minor, 9.8%),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 4.7%)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종은 주로 서해안 연안습지에서 확인되었으며, 동해안 권역에서 9종으로 가장 많은 종수가, 경기 권역에서 9,462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또한 국제적 중요 지역(IIS) 기준을 충족하는 지역은 총 12개소로, 경기 권역의 6개 전 지역이 모두 해당 기준에 부합하였다. 종별 서식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갯벌은 알락꼬리마도요(97.8%), 노랑부리백로(96.1%), 검은머리갈매기(95.4%) 등 다수 종의 주요 서식지로 나타났고, 외해에 주로 서식하는 해양성 조류는 해양 환경에서만 관찰되었다. 특히, 해양보호생물 중 해양성조류가 50%를 차지함에 따라 기존 연안 중심 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선박 기반 조사의 추가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더불어 지역 및 권역 특성에 맞춘 서식지 관리, 종별 생태적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보호 전략 등 정책적으로 중장기적인 계획과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birds designated as Protected Marine Species (PMS)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se species are critical for understanding marine ecosystem complexity and responding to real-time chang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Monitoring Program over nine years (2015–2023) across 35 major coastal wetlands in South Korea. A total of 13 PMS species were identified, with dominant species including the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41.1%),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30.8%), Saunders’s gull (Larus saundersi, 10.1%),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9.8%), and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4.7%). Tidal flats along the West coast were confirmed as key habitats for these species. The East coast region exhibite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with nine species, while the Gyeonggi region recorded the highest individual count (9,462). Additionally, 12 sites met the criteria for internationally important sites (IIS), with all six sites in the Gyeonggi region qualifying. Habitat preference analysis revealed that tidal flats were the primary habitats for many species, including the Far Eastern curlew (97.8%), Chinese egret (96.1%), and Saunders’s gull (95.4%). Offshore seabirds, accounting for 50% of the identified PMS, showed a marked preference for marine environments. This highlights the need to supplement traditional land-based surveys with boat surveys. To achieve this, long-term monitoring is required, alongside site- and region-specific habitat management and customized conservatio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ecological needs of each species. These effort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mid- to long-term policy planning and effective conservation initiativ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birds designated as Protected Marine Species (PMS)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se species are critical for understanding marine ecosystem complexi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birds designated as Protected Marine Species (PMS)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se species are critical for understanding marine ecosystem complexity and responding to real-time chang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Monitoring Program over nine years (2015–2023) across 35 major coastal wetlands in South Korea. A total of 13 PMS species were identified, with dominant species including the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41.1%),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30.8%), Saunders’s gull (Larus saundersi, 10.1%),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9.8%), and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4.7%). Tidal flats along the West coast were confirmed as key habitats for these species. The East coast region exhibite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with nine species, while the Gyeonggi region recorded the highest individual count (9,462). Additionally, 12 sites met the criteria for internationally important sites (IIS), with all six sites in the Gyeonggi region qualifying. Habitat preference analysis revealed that tidal flats were the primary habitats for many species, including the Far Eastern curlew (97.8%), Chinese egret (96.1%), and Saunders’s gull (95.4%). Offshore seabirds, accounting for 50% of the identified PMS, showed a marked preference for marine environments. This highlights the need to supplement traditional land-based surveys with boat surveys. To achieve this, long-term monitoring is required, alongside site- and region-specific habitat management and customized conservatio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ecological needs of each species. These effort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mid- to long-term policy planning and effective conservation initiativ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