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일본 중학교 일반사회 교과서의 개정에 따른 화보 변화를 비교하여, 교과서와 정치지형의 변화가 어떻게 화보에 투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서의 화 보는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본 중학교 일반사회 교과서의 개정에 따른 화보 변화를 비교하여, 교과서와 정치지형의 변화가 어떻게 화보에 투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서의 화 보는 교...
이 연구는 일본 중학교 일반사회 교과서의 개정에 따른 화보 변화를 비교하여, 교과서와 정치지형의 변화가 어떻게 화보에 투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서의 화 보는 교과서의 성격 변화를 반영하고, 권력 작용이 숨어있다. 이를 통해 일본 중학교 사회교 과서의 화보에서 나타나는 시각의 정치를 검토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 연구 는 2012년, 2018년, 2021년에 개정되어 발행된 일본 도쿄서적(東京書籍) 중학교 공민(일반 사회) 교과서(新しい社会公民)의 「제 3장 현대의 민주정치와 사회」단원에 게재되어 있는 화 보의 변화를 분석하고 있는 바, 그 내용은 각각 (민주주의적) 참여에서 제도와 전통을 강조하 고, 토론보다는 엘리트를 우위에 놓고, 직책보다는 개인, 특히 아베 전(前)수상을 부각시키며, 동시에 일본의 국토, 역사, 애국심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었다. 이를 통해서 이 연구 는 교과서를 통해 권력의 표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교과서의 내용을 의도적으로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교과서 화보를 통해 국가의 다양한 개입을 확인하는 바, 교과서와 교과서의 화보는 단순한 교육의 매개물이 아니라 권력의 표현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제기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illustrations in Japanes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have changed with each revision, and how these changes reflect the political landscape within the textbooks. The illustrations in textbooks refle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illustrations in Japanes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have changed with each revision, and how these changes reflect the political landscape within the textbooks. The illustrations in textbooks reflect shifts in the textbooks’ nature and suggest the presence of political influenc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visual politics manifested in the illustrations of Japanes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illustrations featured in the ‘Chapter 3: Contemporary Democratic Politics and Society’ section of the Japanes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新しい社会公民) published by Tokyo Shoseki, revised in 2012, 2018, and 2021. The content has evolved to emphasize institutions and traditions over democratic participation, prioritize elites over discussions, highlight individuals, particularly former Prime Minister Abe, over positions, and underscore Japan’s territory, history, and patriotism. Through this, the study emphasizes that power is expressed through textbooks,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state can deliberately control and manipulate textbook content. It confirms that, in the aspect of textbooks and their illustrations intervening in social discourse through various national pathways, textbooks are not merely educational tools but can also be expressions of power.
1960년대 인도네시아의 스포츠 이벤트와 정치 : 가네포(GANEFO)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팬데믹과 경제적 불평등: 디지털 격차와 직업별 영향에 대한 유럽 사례의 실증분석
지중해 지역의 자연 메타포가 카뮈의 『이방인』 내러티브에 끼친 영향: ‘태양’, ‘바다’, ‘빛’, ‘열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