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도시재생을 위한 근대산업유산의 특화 공간 디자인에 대한 연구 = Specialized Area Desig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for Cultural City Re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0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 at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 site to culturally regenerate the city.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the specialized area of Jagalchi Fish market which is famous for a urban tourist att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 at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 site to culturally regenerate the city.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the specialized area of Jagalchi Fish market which is famous for a urban tourist attraction in Busan. The area owned both a sense of place and a sense of history, since the city became an open port to foreign vessels in 1876. The area was developed around the coastal landscape harmonized with the South Port, historic resources, and centralized business district the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ree design elements such as physical, regional and sociocultural elements and then physical elements at the site were badly manifested as those of the others. Because the stores at the street were getting deteriorated from aging. Second, specifically, more emphasis must be placed on the Japanese-styled stores with dwelling. Third, detailed alternatives with the creative design would be prepared for roof, sign board, and paved pattern to enhance the image of the area. Then, the area would host more tourists and citiz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배경 및 목적
      • Ⅱ. 문헌연구
      • Ⅲ. 연구대상지 분석
      • Ⅳ. 특화가로 디자인 계획
      • Ⅳ. 결론
      • Ⅰ. 연구배경 및 목적
      • Ⅱ. 문헌연구
      • Ⅲ. 연구대상지 분석
      • Ⅳ. 특화가로 디자인 계획
      • Ⅳ. 결론
      • 참고문헌
      • 논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현우정, "특화가로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환경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5 (3) : 139 ~ 148, 2010

      2 이진숙, "특화가로 조성을 위한 환경디자인 요소의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 (02) : 257 ~ 264, 2009

      3 이용성, "참여주체 관점에서 특화거리의 활성화 요인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 509 ~ 519, 2008

      4 남형우, "전통가로경관의 건축적 특성과 보존적 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 춘천시 약사천 복원길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1 (1) : 87 ~ 106, 2010

      5 이광국, "유휴산업시설의 문화공간 재활용계획방향 연구" 부산연구 : 83 ~ 95, 2014

      6 곽수정,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 대학원, 2007

      7 신선화, "서점을 주제로 한 특화거리조성 사례분석 -부산시‘보수동 책방골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 (12) : 447 ~ 458, 2012

      8 이광국,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학회 추계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집 : 553 ~ 557, 2014

      9 강동진,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 - 산업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11 (1) : 157 ~ 178, 2010

      10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근대건조물 보호 기본계획" 2012

      1 현우정, "특화가로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환경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5 (3) : 139 ~ 148, 2010

      2 이진숙, "특화가로 조성을 위한 환경디자인 요소의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 (02) : 257 ~ 264, 2009

      3 이용성, "참여주체 관점에서 특화거리의 활성화 요인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 509 ~ 519, 2008

      4 남형우, "전통가로경관의 건축적 특성과 보존적 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 춘천시 약사천 복원길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1 (1) : 87 ~ 106, 2010

      5 이광국, "유휴산업시설의 문화공간 재활용계획방향 연구" 부산연구 : 83 ~ 95, 2014

      6 곽수정,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 대학원, 2007

      7 신선화, "서점을 주제로 한 특화거리조성 사례분석 -부산시‘보수동 책방골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 (12) : 447 ~ 458, 2012

      8 이광국,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학회 추계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집 : 553 ~ 557, 2014

      9 강동진,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 - 산업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11 (1) : 157 ~ 178, 2010

      10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근대건조물 보호 기본계획" 2012

      11 박천보, "물리환경적 도심재생 관점의 특화거리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 (08) : 285 ~ 292, 2009

      12 박현규, "도심재생을 위한 특화거리의 조성과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 (1) : 479 ~ 482, 2003

      13 신우화, "도심 내 특화거리 활성화 방향 설정을 위한 관련집단간 인식차이 분석 - 대구약령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13 (2) : 73 ~ 83, 2012

      14 김현주, "도시재생 맥락에서의 유휴 산업시설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연세대 대학원, 2013

      15 이순자, "근대산업유산의 창의적 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안" 국토 : 52 ~ 6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