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 한화가 국내최초로 도입한 양도제한조건부주식을 이용한 경영자보상이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 알아보고, 기존의 제도와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한다. 또한 국내기업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 한화가 국내최초로 도입한 양도제한조건부주식을 이용한 경영자보상이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 알아보고, 기존의 제도와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한다. 또한 국내기업이...
본 연구는 ㈜ 한화가 국내최초로 도입한 양도제한조건부주식을 이용한 경영자보상이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 알아보고, 기존의 제도와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한다. 또한 국내기업이 양도제한조건부주식을 도입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양도제한조건부주식은 구성원에게 시가 또는 법률상 허용되는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주식을 발행하고 해당 주식의 처분을 일정 기간 동안 제한하고 제한기간이 경과된 이후에 처분할 수 있게하는 주식을 의미한다. 장기 주식기준 보상제도 도입 시 기업의 환경과 조직 문화 등을 검토하여 이에 맞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식 기준 보상 제도를 도입할 때 다양한 형태로 유연하게 설계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성과 연동형이나 지수 연동형 등 다양한 방법의 주식기준보상제도를 운영함으로써 무임승차(Free-riding)등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있다. 한 가지 주식기준보상제도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직급 및 성과에 따라 주식매수선택권, 양도제한조건부주식, 장기 성과 목표 달성 실적에 따른 현금보상 등 다양한 장기 보상 제도를 혼합하여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