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국가치매관리사업과 관련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치매안심센터에서 시행되는 작업치료 의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미래의 국가치매관리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41906
2018
Korean
공공데이터 ; 비용편익 ; 작업치료 ; 치매 ; Cost-Benefit ; Dementia ; Occupational Therapy ; Public Data
KCI등재
학술저널
99-112(14쪽)
3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국가치매관리사업과 관련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치매안심센터에서 시행되는 작업치료 의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미래의 국가치매관리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
목적 : 본 연구는 국가치매관리사업과 관련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치매안심센터에서 시행되는 작업치료 의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미래의 국가치매관리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국가치매관리사업 관련 공공데이터를 정보공개 창구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작업치료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각종 변수를 정의하고, 빈도분석 및 산술계산으로 변수의 값을 산출했다. 결과 : 우리나라에서 서울은 모든 자치구에서 치매관리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사업수행인원 전원이 전담인 력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작업치료 전담인력을 치매안심센터의 96.0%에 배치하여 치매안심센터 서비 스에서 작업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시행되는 작업치료의 순 편익은 작업치료 전담인력 이 배치된 경우 서울에서 약 73억 원으로 산출되었다. 결론 : 서울과 같은 형태로 국가치매관리사업 사업을 확대하고, 작업치료 전담인력을 통한 프로그램 시행으 로 치매관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으로 치매관리사업이 국가 단위의 보건사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지금 한정된 보건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has collected public data on National Dementia Plans and performed a cost-benefit analysis on occupational therapy(OT) in Center for Dementia to contribute in the determination of future dementia-related health policies. Methods:...
Objective: This study has collected public data on National Dementia Plans and performed a cost-benefit analysis on occupational therapy(OT) in Center for Dementia to contribute in the determination of future dementia-related health policies. Methods: The status of National Dementia Plans were gathered through public data portal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6. Based on the gathered data, various variables were defined for OT cost-benefit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mathematical calculations were utilized to calculate the variables. Results: Seoul engaged in Dementia Management Projects in all autonomous regions, and all project personnel were full-time. Particularly, full-time OT personnel were placed in 96.0% of centers for dementia, providing OT within the Dementia Management Projects. The net benefit of OT in Center for Dementia, where full-time OT personnel were placed, was KRW 7.3 billion for Seoul.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expanding the Dementia Management Projects similar to Seoul and engaging in programs through full-time OT personnel would lower the costs of care for dementia. Given the presence of the National Dementia Responsibility Plan, the Dementia Management Projects have seen expansion into a healthcare project at a national level. To effectively utilize the limited healthcare resources,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the occupational therap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수민, "치매환자의 인지재활 치료접근법에 관한 연구동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5 (5): 59-67, 2013
2 중앙치매센터, "치매환자 관리 누락 방지를 위한 국가치매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중앙치매센터 2017
3 보건복지부, "치매안심센터 운영지침(안)" 보건복지부 2017
4 보건복지부, "치매상담센터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2015
5 김상우, "치매관리사업의 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4
6 보건복지부,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 보건복지부 2017
7 청와대, "치매 국가책임제"
8 고영, "취약계층 고혈압 대상자를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비용편익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438-450, 2011
9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10 보건복지부, "제 3차 치매관리종합계획 수립 연구" 보건복지부 2015
1 차수민, "치매환자의 인지재활 치료접근법에 관한 연구동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5 (5): 59-67, 2013
2 중앙치매센터, "치매환자 관리 누락 방지를 위한 국가치매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중앙치매센터 2017
3 보건복지부, "치매안심센터 운영지침(안)" 보건복지부 2017
4 보건복지부, "치매상담센터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2015
5 김상우, "치매관리사업의 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4
6 보건복지부,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 보건복지부 2017
7 청와대, "치매 국가책임제"
8 고영, "취약계층 고혈압 대상자를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비용편익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438-450, 2011
9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10 보건복지부, "제 3차 치매관리종합계획 수립 연구" 보건복지부 2015
11 보건복지부, "제 3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보건복지부 2015
12 서울특별시, "정보소통광장"
13 조승현, "작업치료 중심의 복합 인지재활이 경도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71-86, 2017
14 김철민, "일차의료에서 보건경제학과 성과분석" 대한가정의학회 30 (30): 577-587, 2009
15 임지영,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한 일 재가노인간호센터의 고혈압 및 당뇨관리 효과평가" 간호행정학회 16 (16): 295-305, 2010
16 김진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비용-편익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362-373, 2010
17 행정안전부, "대한민국정보공개"
18 남기민, "노인장기요양등급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비용편익분석 : 충북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73-94, 2013
19 정영호, "노인건강운동사업 비용편익분석 및 만족도 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2013
20 유찬욱, "국내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작업치료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7 (7): 39-46, 2013
21 양영애, "고령친화 산업의 이해" 도서출판 동주 2015
22 정봉은과 이선주, "경증치매자 보호를 위한 보험사의 치매신탁 도입방안" 보험연구원 2015
23 조승현, "건강보험급여 기반의 작업치료 진료행위 현황에 관한 연구 : 2011~2015년" 대한작업치료학회 24 (24): 135-147, 2016
24 Lautenschlager, N. T.,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at risk for Alzheimer disease: A randomized trial" 300 : 1027-1037, 2008
25 Son, S. H.,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ween Alzheimer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those without depression" 38 : 278-288, 1999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Dementia: A public health priority" 2012
27 Kang, Y. S., "Cost-benefit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aged" 8 (8): 121-144, 1988
28 Kim, C. Y., "Cost-benefit analsys of massive screening for inborn errors of metabolism in Korea" 32 : 317-324, 1999
29 Kielhofner, G., "Conceptual foundations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 A. Davis Company 2009
30 Graff, M. J.,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 giver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333 : 1196-1199, 2006
3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ddressing dementia: The OECD response, OECD health policy studies" OECD Publishing 2015
32 Clarkson, P., "A systematic review of the economic evidence for home support interventions in dementia" 20 : 1198-1209, 2017
33 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 "2017년 서울특별시 치매관리사업 안내"
34 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 "2016년 서울특별시 치매관리사업 안내" 2016
35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100대 국정과제" 대한민국 정부 2017
지역사회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의 건강 관련 요인이 웰니스(Wellness)에 미치는 영향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척도의 타당화 연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6 | 0.929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