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실시간 현장측량 시스템을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61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ecent rapid developing year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s been grown as fundamental technology including geographic and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increasing its role as an decision maker in the land use, national development pro...

      In the recent rapid developing year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s been grown as fundamental technology including geographic and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increasing its role as an decision maker in the land us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management. The production of digital map that is the primary data of GI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establishment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Currently produced digital map has been widely used for GIS, Engineering projects, Military services, Environmental use and also National standard digital maps, and even further more various thematic map, underground facility map and DEM are requiring, but the method of obtaining basic data such as field surveying and data processing skills have not developed much.
      The surveying positioning devices such as GPS, Total Station have been developed remarkably, therefor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obtaining positioning information increased considerably.
      But, the advantage of using these devices not yet improved for establishing 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obtaining positioning info and property info are not synchronized yet, so to combine these two different information causes huge time and cost consumption and also increase system failures.
      In this study, not only field surveying skill, surveying accuracy improvement but also field convenience improvement are researched and compared to traditional digital mapping method. RealTime field surveying system allows to insert positioning information getting from GPS, Total tation and Property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nd connect facility photo information to the objects straight away, so can be used for property quality check and data management.
      Realtime filed surveying system has full functions for research and field surveying can be done at once, the self data construction, attaching photo information, therefore exact field surveying and post data management are available, the processing procedure become simplified, some procedures automated, In accordance with processing time and error frequency reduced remarkab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정보화 사회로 변화된 가운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지리정보와 지형정보 등을 포함한 중요한 기반기술로 인식되어 있으며,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개발계획의 수립 및 관리를 위...

      최근 정보화 사회로 변화된 가운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지리정보와 지형정보 등을 포함한 중요한 기반기술로 인식되어 있으며,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개발계획의 수립 및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수단으로서의 중요성 또한 날로 증대되고 있다. 그 중 수치지도는 GIS의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이다. 그러므로 정확한 수치지도 제작은 정확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에도 중요한 문제가 된다.
      현재 제작되고 있는 수치지도는 GIS, 토목, 군사, 환경 부문, 국가기본도의 전산화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치지도의 기초데이터를 취득하는 현지 지리조사 및 측량 방법 공정은 과거에 비하여 변화된 것이 거의 없다.
      GPS, 토털스테이션 등과 같은 위치결정 측량기기의 발전으로 지형지물의 위치정보 획득에 대한 정확성과 효율성은 과거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이들 기기를 이용한 공간정보의 구축시 기기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즉, 위치정보의 획득과 속성정보의 획득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2원화되어 있어서 두 정보의 정확한 결합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공간정보 구축 시스템의 효율성을 저해하여 오류발생 빈도가 높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지조사 및 측량에서의 정확도 향상과 작업 편의성을 위해 실시간 현지조사측량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측량장비를 이용해 위치정보가 획득된 지형지물에 속성정보 및 사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실시간 현지조사측량시스템은 작업 현장에서 측량과 조사를 동시에 실시하며 조사항목을 직접 구조화할 수 있는 기능과 사진을 촬영하여 직접 시설물에 사진정보를 부착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정확한 현지조사 및 사후관리가 가능하며,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작업단계가 줄고 일부작업의 일괄처리가 가능하여 소요시간 및 오류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 표목차 ⅲ
      • 그림목차 ⅳ
      • 감사의 글 ⅴ
      • 논문개요 ⅵ
      • 목 차 ⅰ
      • 표목차 ⅲ
      • 그림목차 ⅳ
      • 감사의 글 ⅴ
      • 논문개요 ⅵ
      • 제 1 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 범위 2
      •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
      • 제 2 장 기초이론 4
      • 제1절 지리조사 4
      • 1. 개요 4
      • 2. 지리조사의 필요성 5
      • 3. 지리조사방법 및 조사대상 6
      • 제2절 수치지도 9
      • 1. 개요 9
      • 2. 수치지도의 개념 10
      • 3. 수치지도의 구성 13
      • 4. 제작과정 16
      • 제3절 구조화 편집 20
      • 1. 개요 20
      • 2. 구조화 편집의 방법 및 내용 20
      • 제 3 장 실시간 현지조사측량시스템 23
      • 제1절 시스템 구성 및 현지조사 수행 알고리즘 23
      • 1. 실시간 현지조사측량시스템의 프로그램 흐름도 24
      • 2. 수치지도 Ver2.0의 속성테이블 및 코드정의 DB작성 25
      • 3. 선형 및 점형 시설물 테이블 표시 28
      • 4. 속성정보 입력창 실행 28
      • 5. 객체선택 및 속성정보 입력 29
      • 제2절 시스템 특징 30
      • 1. 선형시설물과 점형시설물의 분리관리 30
      • 2. 오차점검을 위한 기지점 및 이기점 정보관리 31
      • 3. 조사항목의 현지 속성 입력 32
      • 4. 현지 조사 시설물에 대한 사진정보 속성 입력 32
      • 제3절 실시간 현지조사 측량 시스템의 효과 34
      • 1. 작업과정 비교 35
      • 2. 시스템의 효과 36
      • 제 4 장 결 론 37
      • 참 고 문 헌 38
      • ABSTRACT 40
      • 표 목 차
      • 표 2-1 점, 선, 면의 표현 방법 10
      • 표 2-2 지도를 수치지도로 표현하는데 필요한 수치의 조합 14
      • 표 2-3 GIS의 도형정보 포맷의 예 15
      • 표 2-4 구조화 편집시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입력방법 21
      • 표 2-5 도형정보의 구조화편집 항목 및 작업 내용 22
      • 표 3-1 지형・지물 코드체계 26
      • 표 3-2 수치지도 Ver 2.0의 레이어코드별 속성 및 지리조사항목의 예 (교통) 27
      • 표 3-3 출력물을 이용한 경우의 구조화편집 소요인원 27
      • 표 3-4 실시간 현지조사측량시스템을 이용한 경우의 구조화 편집 소요 인원 27
      • 그림목차
      • 그림 2-1 지리조사 작업 흐름도 4
      • 그림 2-2 수치지도를 GIS데이터로 전환하는 예 11
      • 그림 2-3 수치지도 제작과정 16
      • 그림 3-1 실시간 현지조사․측량 시스템의 구성도 24
      • 그림 3-2 실시간 현지조사 측량 시스템의 프로그램 흐름도 25
      • 그림 3-3 속성테이블 및 코드정의 DB항목 28
      • 그림 3-4 선형 및 점형시설물 관리 도구 31
      • 그림 3-5 기지점 및 이기점 정보 관리 도구 31
      • 그림 3-6 조사 항목에 대한 속성 입력 도구 32
      • 그림 3-7 사진정보 속성 입력 도구 33
      • 그림 3-8 기존의 조사측량 방법 34
      • 그림 3-9 실시간 조사 측량 방법 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