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製造物責任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Tasks and Improvements of the Product Liabilit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407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ggressive innovation in economic activities, Korea has attained a society of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because consumers use and consume high-tech and complica...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ggressive innovation in economic activities, Korea has attained a society of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because consumers use and consume high-tech and complicated products daily, their safety primarily depends on product manufacturers.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principle of liability for damages in product-related accidents from 'negligence' to 'defect', and relieve the injured persons in a swift and appropriate manner, the Product Liability Law has come into force from July 1, 2002.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roduct liability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way of thinking and the approach concerning product safety of both the industry business segement and the consumer segment will change and improveConcerning introduction of the Product Liability Law, the co-operation of all divisions of a company are indispensable. Namely, not only development, design, manufacturing and quality control divisions, but also general affairs, law and consumer divisions etc. are recommend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on product safety meas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도 2002년 7월 1일부터 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되고 있다. 기업에 의하여 제조가공수입된 제조물에 결함이 있고 그 결함으로 인하여 소비자 또는 피해자가 인적물적인 손해를 입은 ...

      우리나라에서도 2002년 7월 1일부터 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되고 있다. 기업에 의하여 제조가공수입된 제조물에 결함이 있고 그 결함으로 인하여 소비자 또는 피해자가 인적물적인 손해를 입은 경우에 제조업자나 가공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자신에게 고의나 과실이 없더라도 그 손해를 배상하도록 하는 법이다. 이러한 제조물책임법의 시행은 소비자의 이익보호와 국민생활의 안전을 확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한 피해를 효율적으로 구제함으로써 이 법의 입법취지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도록 그 운용의 실효성을 도모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피해자가 제조물책임을 추궁할 때 그 결함과 손해의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의 부담을 경감함과 동시에 법령의 기준준수의 항변도 삭제하고, 제조업자 등에 대하여 제조물책임보험의 가입을 의무화하는 것이 타당하다. 제조물책임사건의 분쟁을 재판외에서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제조물책임분쟁조정기구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기업에 대해서는 제조물책임사고에 대비한 기업 내부조직의 정비와 제조물책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책임을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는 사후대책을 강구하도록 하여야 한다. 대기업에 있어서는 이러한 대책의 마련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나, 정보와 자금력이 열악한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에 있어서는 이러한 대책이 미흡하다.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관리공단 등 관계기관의 보다 더 체계적인 시책의 마련과 이를 위한 입법적 지원방안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소기업의 PL대응실태 조사결과." 중소기업청 2002

      2 "중소기업을 위한 제조물책임(PL)가이드." 중소기업청 2002

      3 "제조물책임에서의 자동차의 결함" 한국 비교사법학회. 6 (6): 1999

      4 "제조물책임보험의 현황과 활성화방안연구" 한국비교사법학회. 6 (6): 1999

      5 "제조물책임법" 법문사 2003

      6 "소프트웨어의 瑕疵와 製造物責任法" 2000.

      7 "소프트웨어와 제조물책임법" (173) : 1996.

      8 "리콜제도의 의의" (190) : 1997

      9 "국제간 제조물책임소송과 외국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 인정기 준" (237) : 1996.

      10 "가스석유기기의 제조물책임법 사례와 업계 대응방안" 10 (10): 2000

      1 "중소기업의 PL대응실태 조사결과." 중소기업청 2002

      2 "중소기업을 위한 제조물책임(PL)가이드." 중소기업청 2002

      3 "제조물책임에서의 자동차의 결함" 한국 비교사법학회. 6 (6): 1999

      4 "제조물책임보험의 현황과 활성화방안연구" 한국비교사법학회. 6 (6): 1999

      5 "제조물책임법" 법문사 2003

      6 "소프트웨어의 瑕疵와 製造物責任法" 2000.

      7 "소프트웨어와 제조물책임법" (173) : 1996.

      8 "리콜제도의 의의" (190) : 1997

      9 "국제간 제조물책임소송과 외국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 인정기 준" (237) : 1996.

      10 "가스석유기기의 제조물책임법 사례와 업계 대응방안" 10 (10): 2000

      11 "韓國의 製造物責任法" 서울대학교. 42 (42): 2001

      12 "製造物責任訴訟에서의 立證責任" 한국 비교사법학회. 6 (6): 1999

      13 "製造物責任法의 制定에 관한 硏究" 한국 소비자보호원. 1994

      14 "製造物責任法論" 대왕사 1997

      15 "英美法上 懲罰的 損害賠償의 導入에 관한 小攷" 한국비교사법학회. 2 (2): 1995

      16 "生産物責任에 있어서 立證責任輕減에 관한 比較法的 硏 究" 한국비교사법학회. 4 (4): 1997

      17 "The Quiet Revolution in Products Liability: An Empirical Study of Legal Change" 37UCLA L. Rev. 1990

      18 "Recent Developments in Products Liability in the United States" 1990

      19 "Fairness and Efficiency in the Law of Punitive Damages"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Daba) -> 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DAB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53 2.10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