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주체와 시선의 문제를 이광수, 이상,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선은 이중적으로 주체를 규정한다. 먼저 장면이 주체를 응시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55862
2016
Korean
810
KCI등재
학술저널
297-331(3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주체와 시선의 문제를 이광수, 이상,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선은 이중적으로 주체를 규정한다. 먼저 장면이 주체를 응시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주체와 시선의 문제를 이광수, 이상,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선은 이중적으로 주체를 규정한다. 먼저 장면이 주체를 응시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수동적인 주체), 그 다음으로는 그 장면을 바라보는 것으로, 자율화된 것으로(능동적인 주체) 다시 나타난다. 이광수 소설의 주체는 계몽적 주체라고 평가되는데 이 계몽에는 대부분 관음 증적 장면이 선(先)제공되어 있다. 이것은 계몽적 주체가 관음증적 장면에서 그 주체성의 동력을 얻어내고 있음을 암시한다. 주체는 부인이나 정인(情人)의 부정 (不貞)을 막는 데 실패하고 그 현장에 뒤늦게 도착한다. 이러한 후행성이야말로 관음증적 시선의 선행성(이 주체가 그러한 장면에 의해서만 계몽된다는 것)을 증 명하는 것이다. 여성의 자책은 이 주체의 매혹이 다른 모습으로 전이된 것이다. 이광수 소설에서는, 외설적 인물이 외설적 장면을 연출하는 게 아니라, 외설적 장 면을 목격하는 인물이 외설적인 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 빛을 비추는 것 이 바로 계몽이다. 그렇게 본다면, 이광수에게는 매커니즘상, 관음증자만이 계몽 적 주체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 소설의 주체는 병적 주체다. 이 주체에게 병든 몸은 `장애물`(주체의 의미 부여를 가로막는 몸)이자 `신비`(주체에게 허락되지 않은 특별한 지식을 현시하는 몸)다. 몸이 의미화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기능하는 상태가 `병적 주체`의 상태이 다. 이상의 주체가 정인의 부정에 대해 아무런 매혹도 고통도 느끼지 않는 것은 그 장면의 응시가 주체의 분열을 수습하고 주체의 몸/정신을 통일시켜 주는 큰 타자의 응시이기 때문이다. 그는 그녀(큰 타자)가 자신을 보살피고 먹여주고 재워주는 한에서, 그 자신이 어린아이가 되는 한에서만 주체가 된다. 아내가 늘 남편을 책망하고 꾸짖은 것은 바로이 때문이다. 병적 주체는 이러한 큰 타자의 시선 아래서 자신의 병적 상태를 잊는 환상을 가동시킬 수 있다. 김승옥 소설의 주체 역시 어린아이와 같지만 그에게는 큰 타자의 시선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이 주체는 세계를 의미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데 이 것은 그에게 주어진 장면이 그에게는 트라우마로 체험되기 때문이다. 강간, 화간, 해부대 위에서의 해부 등과 같은 참혹하고 끔찍한 장면들은 주체에게 어떤 식으로든 의미화되지 않는다. 주체는 이 장면 앞에서 경련, 마비, 실어증, 판단 불능, 공포 등을 느낄 뿐이다. 그가 사소한 디테일에 탐닉하는 것도 고장난 의미화 기제의 폭주를 보여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소하고 무의미한 디테일에서 의미의 고정점을 찾으려는 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the subject and the perspective in modern Korean novels focusing on the works of Gwangsu Lee, Sang Lee, and Seungok Kim. The perspective of these novels is defined as a duality. Initially, the scene exposes the subjec...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the subject and the perspective in modern Korean novels focusing on the works of Gwangsu Lee, Sang Lee, and Seungok Kim. The perspective of these novels is defined as a duality. Initially, the scene exposes the subject of the story to be observed by the world around him (passive subject), but later, the subject reappears as an autonomous entity (active subject). The subjects of Lee Gwang Su`s novels are viewed as those who need to realize the truth. Ingeneral, voyeuristic scenes are provided in advance for realization, implying that the subjects of these novels gain subjecthood from voyeuristic scenes. The subjects of Lee Gwang Su`s works fail to prevent the misconduct of their wife or lover and arrive late at the scene of infidelity (Mujeong, Heuk). These outcomes indicate that the voyeuristic perspective is a prerequisite of the realization process of the subjects of novels. The subjects of Lee Sang`s novels are unhealthy ones. The sick body of these subjects is an “obstacle” or a “mystery.” The reason why the subjects of Lee Sang`s works do not feel any fascination or pain for their lover`s infidelity is because the scene is seen by a larger third person, who unifies the body and spirit of the subject (Nalgae, Bongbyeolgi). He becomes the subject only when his lover takes care of him, that is, when he becomes a child. The subjects of Kim Seung Ok`s novels are also like children, but the perspective of a larger third person is not provided in these works. Thes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finding significance in the world because the given scenes are experienced as trauma. Dreadful incidents, such as rape or fornication, fail to be meaningful for the subjects (Life Practice, Winter 1964 in Seoul). The subjects cannot but tremble with fear and suffer from aphasia. Indulgence in trivial details also reveals the trial of finding significance from meaningless detail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수, "흙 (이광수 전집 6권)" 삼중당 1964
2 양윤의,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이형(異形)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60) : 209-242, 2016
3 이혜령, "한국 근대 소설과 섹슈얼리티의 서사학" 소명 2007
4 장-뤽 낭시, "코르푸스 몸, 가장 멀리서 오는 지금 여기" 문학과지성사 2012
5 서영채, "죄의식, 원한, 근대성 : 소세키와 이광수" 한국현대문학회 (35) : 35-67, 2011
6 권보드래, "저개발의 멜로, 저개발의 숭고-이광수, 『흙』과 『사랑』의 1960년대" 상허학회 37 : 279-320, 2013
7 김대식, "이상한 나라의 뇌과학" 문학동네 2015
8 이상, "이상전집 2" 뿔 2009
9 장현숙, "이상의 글쓰기 방식 수용 양상 연구-이상, 황순원, 김승옥, 최인호의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7) : 411-443, 2014
10 김정관, "이상과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욕망 형식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26) : 105-136, 2012
1 이광수, "흙 (이광수 전집 6권)" 삼중당 1964
2 양윤의,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이형(異形)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60) : 209-242, 2016
3 이혜령, "한국 근대 소설과 섹슈얼리티의 서사학" 소명 2007
4 장-뤽 낭시, "코르푸스 몸, 가장 멀리서 오는 지금 여기" 문학과지성사 2012
5 서영채, "죄의식, 원한, 근대성 : 소세키와 이광수" 한국현대문학회 (35) : 35-67, 2011
6 권보드래, "저개발의 멜로, 저개발의 숭고-이광수, 『흙』과 『사랑』의 1960년대" 상허학회 37 : 279-320, 2013
7 김대식, "이상한 나라의 뇌과학" 문학동네 2015
8 이상, "이상전집 2" 뿔 2009
9 장현숙, "이상의 글쓰기 방식 수용 양상 연구-이상, 황순원, 김승옥, 최인호의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7) : 411-443, 2014
10 김정관, "이상과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욕망 형식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26) : 105-136, 2012
11 동국대학교부설 한국문학연구소, "이광수연구()" 태학사 1984
12 이광호, "시선의 문학사" 문학과지성사 2016
13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3
14 자크 라캉, "세미나 11" 새물결 2008
15 이창남, "성장소설의 기호학 - 김승옥의 성장소설「乾」과 은유/ 환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307-332, 2009
16 유종호, "비순수의 선언 (유종호 전집1)" 민음사 1995
17 김승옥, "무진기행(김승옥 소설 전집 1)" 문학동네 2004
18 이광수, "무정 (이광수 전집 1권)" 삼중당 1962
19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20 슬라보예 지젝, "라캉 카페" 새물결 2013
21 모리스 메를로퐁티, "눈과 마음" 마음산책 2008
22 베르너 지퍼, "나, 마이크로 코스모스" 들녘 2007
23 양윤의, "김승옥 소설의 주체 연구-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233-256, 2014
24 최애순, "김승옥 소설의 성장소설적 의미??생명연습?, ?건?, 그리고 ?무진기행?에 나타난 ‘자기세계’와 관련하여" 민족어문학회 47 : 8-260, 2003
25 슬라보예 지젝,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인간사랑 2004
26 천정환, "관음증과 재현의 윤리: 식민지 조선에서의 ‘근대적 시각’의 성립에 관한 일 고찰" 한국사회사학회 (81) : 37-68, 2009
27 김양선,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과 몸의 서사" 한국여성문학학회 (8) : 131-153, 2002
최근 현대시 연구의 동향과 전망 -문화 연구 시대 현대시 연구 방법론의 모색과 관련하여-
『세계의 시 World Poetry』 (Norton, 1997) 소재(所在) 한국고전시(韓國古典詩)의 존재 양상 고찰
『잡기고담(雜記古談)』의 웃음과 그 이면 -<환처(宦妻)>와 <조학(嘲謔)>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6 | 1.16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2 | 1.77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