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민달, "환경에세이집 《병든 바다 병든 지구》의 생태문학적 의의" 문학과환경학회 19 (19): 37-65, 2020
2 양연정, "함민복 시의 생태의식 연구" 교원대학교 2017
3 황기남, "함민복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이형권, "한국현대시의 미국문화 수용에 관한 탈식민주의적 연구" 어문연구학회 49 : 361-394, 2005
5 H. 요나스, "책임의 원칙:기술시대의 생태학적 윤리" 서광사 3-, 1994
6 M.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341-, 1996
7 노용무, "자본주의의 약속, 그 절망과 반란의 글쓰기-함민복의 『자본주의의 약속』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7 (7): 186-207, 2003
8 김예리, "자기 배려를 통한 인간주체성의 탐색과 생태담론의 새로운 가능성 -90년대 생태문학담론과 이문재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5 (25): 9-43, 2021
9 이혜원, "이문재 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문학과환경학회 16 (16): 155-185, 2017
10 A. 쿠더트, "연금술 이야기" 민음사 168-169, 1995
1 손민달, "환경에세이집 《병든 바다 병든 지구》의 생태문학적 의의" 문학과환경학회 19 (19): 37-65, 2020
2 양연정, "함민복 시의 생태의식 연구" 교원대학교 2017
3 황기남, "함민복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이형권, "한국현대시의 미국문화 수용에 관한 탈식민주의적 연구" 어문연구학회 49 : 361-394, 2005
5 H. 요나스, "책임의 원칙:기술시대의 생태학적 윤리" 서광사 3-, 1994
6 M.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341-, 1996
7 노용무, "자본주의의 약속, 그 절망과 반란의 글쓰기-함민복의 『자본주의의 약속』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7 (7): 186-207, 2003
8 김예리, "자기 배려를 통한 인간주체성의 탐색과 생태담론의 새로운 가능성 -90년대 생태문학담론과 이문재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5 (25): 9-43, 2021
9 이혜원, "이문재 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문학과환경학회 16 (16): 155-185, 2017
10 A. 쿠더트, "연금술 이야기" 민음사 168-169, 1995
11 J. 무어, "역사적 자본주의 분석과 생태론" 공감 27-, 2006
12 노용무, "시로 보는 함민복 읽기" 수필과 비평사 90-150, 2016
13 F. 가타리, "세 가지 생태학" 동문선 25-27, 2003
14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78-79, 2011
15 박길용, "생태자본과 공생 행복" 커뮤니케이션 북스 14-, 2022
16 A. 슈왈츠, "생태 문명 선언" 다른 백년 159-, 2020
17 노용무, "뻘의 상상력과 근대성에 대한 사유- 함민복의 [뻘에 말뚝 박는 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50) : 197-216, 2003
18 정화열, "몸의 정치와 예술, 그리고 생태학" 아카넷 198-, 2005
19 함민복,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창작과 비평사 1996
20 함민복, "말랑말랑한 힘" 시인세계 2005
21 C. 머천트, "래디컬 에콜로지" 이후 143-144, 2001
22 함민복,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창작과 비평사 2013
23 문혜원,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창비 124-134, 2013
24 노용무, "길과 그림자로 이어진 뻘의 상상력 -함민복의 『말랑말랑한 힘』론" 한국언어문학회 (65) : 369-394, 2008
25 임도한, "『문학과 환경』 10년간 한국 생태시 연구의 성과와 과제 - ‘우주의 언어’ 읽기와 ‘인간의 언어’ 빚기 -" 문학과환경학회 11 (11): 59-82, 2012
26 M. Thomashow, "Ecological Identity" MIT Press 3-,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