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함민복 시의 생태의식과 정체성 연구 = A study on the ecological cocsciousness and identity of Ham Min-bok'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9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analyzed poet Ham Min-bok's advanced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after the 1990s as the main subject of his poems. The poet was creating works that could be sympathized with even in the rapid change of the earth's ecosystem by grasping the aspect of nature along with the change of reality and paying attention to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Above all, the poet can be evaluated as showing an advanced aspect of ecological poetry in that he induces readers to reflect on ecological problems as human problems while dealing with nature, humans, and social communities together. Ham Min-bok's poems show the aspects of ecological consciousness being realiz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identification of the ecological self and the desire for ecological recovery are intensely revealed. While maintaining a critical view of capitalist civilization, the poet recognized himself as a member of the ecosystem and showed a conscious awakening to protect the ecosystem.
      Second, the attitude of awakening to the heuristic of fear and‘verticality’. The discovery of this fear starts from the necessity of suppressing selfish desires at the individual level as much as possible and pursuing the benefit and goodness of the community.
      Third, it shows the commonality with nature through the circulating nature image and the reason of life egalitarianism. The poet was wary of human supremacy through various encounters with nature and emphasized that softness is an important source to break through the crisis of the present age. Poet Ham Min-bok stared at my identity as a part of the global ecosystem and criticized the dichotomous opposition such as nature/ civilization, subject / object, and was still writing meaningful poetry in the 2020s.
      번역하기

      I analyzed poet Ham Min-bok's advanced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after the 1990s as the main subject of his poems. The poet was creating works that could be sympathized with even in the rapid change of the earth's ecosystem by grasping the...

      I analyzed poet Ham Min-bok's advanced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after the 1990s as the main subject of his poems. The poet was creating works that could be sympathized with even in the rapid change of the earth's ecosystem by grasping the aspect of nature along with the change of reality and paying attention to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Above all, the poet can be evaluated as showing an advanced aspect of ecological poetry in that he induces readers to reflect on ecological problems as human problems while dealing with nature, humans, and social communities together. Ham Min-bok's poems show the aspects of ecological consciousness being realiz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identification of the ecological self and the desire for ecological recovery are intensely revealed. While maintaining a critical view of capitalist civilization, the poet recognized himself as a member of the ecosystem and showed a conscious awakening to protect the ecosystem.
      Second, the attitude of awakening to the heuristic of fear and‘verticality’. The discovery of this fear starts from the necessity of suppressing selfish desires at the individual level as much as possible and pursuing the benefit and goodness of the community.
      Third, it shows the commonality with nature through the circulating nature image and the reason of life egalitarianism. The poet was wary of human supremacy through various encounters with nature and emphasized that softness is an important source to break through the crisis of the present age. Poet Ham Min-bok stared at my identity as a part of the global ecosystem and criticized the dichotomous opposition such as nature/ civilization, subject / object, and was still writing meaningful poetry in the 2020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90년대 이후 함민복 시인의 시를 주요 대상으로 시인의 진전된 생태 의식과 정체성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시인은 현실의 변화와 함께 하는 자연의 면모를 파악하고 인간과 자연이 갖는 상호 관계성에 주목함으로써 지구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도 공감할 수 있는 작품들을 창작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시인은 자연과 인간, 사회 공동체를 함께 다루면서도 생태 문제를 인간 자신의 문제로 성찰할 수 있도록 독자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시의 진전된 양상을 보인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함민복의 시는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생태 의식이 구현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생태적 자아의 정체성 확인과 생태 회복의 열망이 강렬하게 드러난다는 점이다. 시인은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면서도 자신이 생태계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아를 인식하고 생태계를 지키려는 의식적 각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공포의 발견술과‘수직성’에 대한 각성의 태도이다. 이 공포의 발견은 개인 차원의 이기적 욕망을 최대한 억제하고 공동체의 이익과 선을 추구해야 한다는 당위성에부터 출발한다. 시인은 자연과 인간과의 도덕적 연대를 통해 생명 공동체의 건강한 윤리와 문명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었다.
      셋째, 순환하는 자연 이미지를 통한 자연과의 상통과 생명 평등주의의 사유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시인은 자연과의 다양한 만남을 통해 인간 우월주의를 경계하고 부드러움이 현 시대의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중요 원천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함민복 시인은 지구 생태계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는 나의 정체성을 응시하고 자연/문명, 주체/객체 같은 이분법적 대립 구도를 비판하면서 2020년대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시를 쓰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필자는 90년대 이후 함민복 시인의 시를 주요 대상으로 시인의 진전된 생태 의식과 정체성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시인은 현실의 변화와 함께 하는 자연의 면모를 파악하고 인간과 자연이 갖...

      필자는 90년대 이후 함민복 시인의 시를 주요 대상으로 시인의 진전된 생태 의식과 정체성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시인은 현실의 변화와 함께 하는 자연의 면모를 파악하고 인간과 자연이 갖는 상호 관계성에 주목함으로써 지구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도 공감할 수 있는 작품들을 창작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시인은 자연과 인간, 사회 공동체를 함께 다루면서도 생태 문제를 인간 자신의 문제로 성찰할 수 있도록 독자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시의 진전된 양상을 보인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함민복의 시는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생태 의식이 구현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생태적 자아의 정체성 확인과 생태 회복의 열망이 강렬하게 드러난다는 점이다. 시인은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면서도 자신이 생태계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아를 인식하고 생태계를 지키려는 의식적 각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공포의 발견술과‘수직성’에 대한 각성의 태도이다. 이 공포의 발견은 개인 차원의 이기적 욕망을 최대한 억제하고 공동체의 이익과 선을 추구해야 한다는 당위성에부터 출발한다. 시인은 자연과 인간과의 도덕적 연대를 통해 생명 공동체의 건강한 윤리와 문명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었다.
      셋째, 순환하는 자연 이미지를 통한 자연과의 상통과 생명 평등주의의 사유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시인은 자연과의 다양한 만남을 통해 인간 우월주의를 경계하고 부드러움이 현 시대의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중요 원천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함민복 시인은 지구 생태계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는 나의 정체성을 응시하고 자연/문명, 주체/객체 같은 이분법적 대립 구도를 비판하면서 2020년대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시를 쓰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민달, "환경에세이집 《병든 바다 병든 지구》의 생태문학적 의의" 문학과환경학회 19 (19): 37-65, 2020

      2 양연정, "함민복 시의 생태의식 연구" 교원대학교 2017

      3 황기남, "함민복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이형권, "한국현대시의 미국문화 수용에 관한 탈식민주의적 연구" 어문연구학회 49 : 361-394, 2005

      5 H. 요나스, "책임의 원칙:기술시대의 생태학적 윤리" 서광사 3-, 1994

      6 M.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341-, 1996

      7 노용무, "자본주의의 약속, 그 절망과 반란의 글쓰기-함민복의 『자본주의의 약속』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7 (7): 186-207, 2003

      8 김예리, "자기 배려를 통한 인간주체성의 탐색과 생태담론의 새로운 가능성 -90년대 생태문학담론과 이문재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5 (25): 9-43, 2021

      9 이혜원, "이문재 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문학과환경학회 16 (16): 155-185, 2017

      10 A. 쿠더트, "연금술 이야기" 민음사 168-169, 1995

      1 손민달, "환경에세이집 《병든 바다 병든 지구》의 생태문학적 의의" 문학과환경학회 19 (19): 37-65, 2020

      2 양연정, "함민복 시의 생태의식 연구" 교원대학교 2017

      3 황기남, "함민복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이형권, "한국현대시의 미국문화 수용에 관한 탈식민주의적 연구" 어문연구학회 49 : 361-394, 2005

      5 H. 요나스, "책임의 원칙:기술시대의 생태학적 윤리" 서광사 3-, 1994

      6 M.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341-, 1996

      7 노용무, "자본주의의 약속, 그 절망과 반란의 글쓰기-함민복의 『자본주의의 약속』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7 (7): 186-207, 2003

      8 김예리, "자기 배려를 통한 인간주체성의 탐색과 생태담론의 새로운 가능성 -90년대 생태문학담론과 이문재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5 (25): 9-43, 2021

      9 이혜원, "이문재 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문학과환경학회 16 (16): 155-185, 2017

      10 A. 쿠더트, "연금술 이야기" 민음사 168-169, 1995

      11 J. 무어, "역사적 자본주의 분석과 생태론" 공감 27-, 2006

      12 노용무, "시로 보는 함민복 읽기" 수필과 비평사 90-150, 2016

      13 F. 가타리, "세 가지 생태학" 동문선 25-27, 2003

      14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78-79, 2011

      15 박길용, "생태자본과 공생 행복" 커뮤니케이션 북스 14-, 2022

      16 A. 슈왈츠, "생태 문명 선언" 다른 백년 159-, 2020

      17 노용무, "뻘의 상상력과 근대성에 대한 사유- 함민복의 [뻘에 말뚝 박는 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50) : 197-216, 2003

      18 정화열, "몸의 정치와 예술, 그리고 생태학" 아카넷 198-, 2005

      19 함민복,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창작과 비평사 1996

      20 함민복, "말랑말랑한 힘" 시인세계 2005

      21 C. 머천트, "래디컬 에콜로지" 이후 143-144, 2001

      22 함민복,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창작과 비평사 2013

      23 문혜원,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창비 124-134, 2013

      24 노용무, "길과 그림자로 이어진 뻘의 상상력 -함민복의 『말랑말랑한 힘』론" 한국언어문학회 (65) : 369-394, 2008

      25 임도한, "『문학과 환경』 10년간 한국 생태시 연구의 성과와 과제 - ‘우주의 언어’ 읽기와 ‘인간의 언어’ 빚기 -" 문학과환경학회 11 (11): 59-82, 2012

      26 M. Thomashow, "Ecological Identity" MIT Press 3-,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