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르 개념화를 위한 문법교육적 접근 = Grammar Educational Approach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Gen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39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어교육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르’ 관련 담론을 메타적·비판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언어’ 중심의 장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학, 체계기능언어학, ESP, 수사학 전통의 ‘장르’ 개념과 그에 따른 교육 목표를 고찰하고, 이러한 전통이 국어교육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언어’ 중심의 장르 담론을 ‘전형적 텍스트 유형 vs 역동적인 사회적 실천’, ‘장르 지식 vs 언어 목록’의 관점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최근에 형성된 장르 교육 담론이 결국 ‘언어’를 드러내지 못했고 그 결과 관점과 교육 내용의 적절한 통합을 이루어 내지 못했음을 비판하였다. 국어교육에서 ‘장르’가 교육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장르성’을 드러내는 ‘언어(목록이 아닌 원리로서의 문법)’에 주목해야 하며, ‘장르-텍스트-문법’의 역동적 관계를 궁구할 때 국어교육적인 ‘가르칠 것’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국어교육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르’ 관련 담론을 메타적·비판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언어’ 중심의 장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이 ...

      이 연구는 국어교육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르’ 관련 담론을 메타적·비판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언어’ 중심의 장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학, 체계기능언어학, ESP, 수사학 전통의 ‘장르’ 개념과 그에 따른 교육 목표를 고찰하고, 이러한 전통이 국어교육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언어’ 중심의 장르 담론을 ‘전형적 텍스트 유형 vs 역동적인 사회적 실천’, ‘장르 지식 vs 언어 목록’의 관점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최근에 형성된 장르 교육 담론이 결국 ‘언어’를 드러내지 못했고 그 결과 관점과 교육 내용의 적절한 통합을 이루어 내지 못했음을 비판하였다. 국어교육에서 ‘장르’가 교육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장르성’을 드러내는 ‘언어(목록이 아닌 원리로서의 문법)’에 주목해야 하며, ‘장르-텍스트-문법’의 역동적 관계를 궁구할 때 국어교육적인 ‘가르칠 것’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cri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genre’ defined in the tradition of each study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ccording to it through exploring the discourse related to ‘genre’ in Korean Education studies, and ultimatel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genre education based on ‘languag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concepts of ‘genre’ and the objectives of education based on them in the traditions of Literature, SFL, ESP and Rhetoric, and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se tradition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I particularly aimed to focus on the genre discourse based on ‘languag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ich are ‘typical text type vs. dynamic social practice’ and ‘genre knowledge vs. language list’. Based on this new approach, I criticized that the recent genre education based on ‘language’ ultimately failed to reveal ‘language’ and as a result, failed to accomplish the proper integration of perspectives and contents of education. One has to focus on the ‘language (grammar as principles rather than mere lists)’ which reveals ‘genre characteristic’ in order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status of ‘gen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an provide ‘something to tea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n one has explored the dynamic relationship of ‘genre-text-grammar’.
      번역하기

      This research cri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genre’ defined in the tradition of each study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ccording to it through exploring the discourse related to ‘genre’ in Korean Education studies, and ultimately aims t...

      This research cri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genre’ defined in the tradition of each study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ccording to it through exploring the discourse related to ‘genre’ in Korean Education studies, and ultimatel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genre education based on ‘languag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concepts of ‘genre’ and the objectives of education based on them in the traditions of Literature, SFL, ESP and Rhetoric, and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se tradition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I particularly aimed to focus on the genre discourse based on ‘languag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ich are ‘typical text type vs. dynamic social practice’ and ‘genre knowledge vs. language list’. Based on this new approach, I criticized that the recent genre education based on ‘language’ ultimately failed to reveal ‘language’ and as a result, failed to accomplish the proper integration of perspectives and contents of education. One has to focus on the ‘language (grammar as principles rather than mere lists)’ which reveals ‘genre characteristic’ in order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status of ‘gen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an provide ‘something to tea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n one has explored the dynamic relationship of ‘genre-text-gramm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2 박은선,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적 연구 :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하승현,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취업 목적의 자기소개서 장르 분석" 언어정보연구원 32 : 173-199, 2013

      4 이미혜,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8 (18): 391-412, 2011

      5 송용회, "한국 종합일간지 기사의 사실성 입증 기제에 관한 연구: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사회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80-104, 2005

      6 김영미,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87-123, 2010

      7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8 제민경,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 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4 : 179-206, 2013

      9 이성만, "텍스트유형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6 : 1-53, 2009

      10 김정남, "텍스트유형과 담화 표지의 상관 관계-유학생의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하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4 (24): 1-26, 2008

      1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2 박은선,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적 연구 :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하승현,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취업 목적의 자기소개서 장르 분석" 언어정보연구원 32 : 173-199, 2013

      4 이미혜,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8 (18): 391-412, 2011

      5 송용회, "한국 종합일간지 기사의 사실성 입증 기제에 관한 연구: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사회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80-104, 2005

      6 김영미,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87-123, 2010

      7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8 제민경,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 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4 : 179-206, 2013

      9 이성만, "텍스트유형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6 : 1-53, 2009

      10 김정남, "텍스트유형과 담화 표지의 상관 관계-유학생의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하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4 (24): 1-26, 2008

      11 신명선, "텍스트유형 교육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신문 기사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4) : 361-384, 2005

      12 이영호,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작문교육 연구 방법" 한국작문학회 (15) : 69-97, 2012

      13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14 문영은,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 내용 연구 : 연설 텍스트의 이중 부정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5 남길임, "텍스트 장르와 접미사의 사용 양상―‘-적’과 ‘-적’ 파생어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283) : 63-91, 2009

      16 남길임, "텍스트 장르와 억양단위 통사 구조의 상관성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7 : 163-188, 2009

      17 남길임, "텍스트 장르에 따른 문장 확대 양상 연구학술개론서와 학술강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1 : 179-206, 2006

      18 조진수, "텍스트 맥락 기반의 문장 확대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9 김성진,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한국비평문학회 (39) : 60-83, 2011

      20 김중수, "전기문의 장르 관습과 교육적 적용" 우리말교육현장학회 5 (5): 249-279, 2011

      21 박태호, "장르중심 작문교육의 내용 체계와 교수·학습 원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22 김혜선, "장르의 작문 교육과정 실행 방안" 한국작문학회 (14) : 200-235, 2012

      23 최인자, "장르의 역동성과 쓰기 교육의 방향성" 한국문학교육학회 5 : 27-52, 2000

      24 서영경, "장르의 글쓰기 설명력에 대한 일고찰 ― 장르와 맥락의 관계 맺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2) : 273-296, 2013

      25 김유정, "장르-텍스트-문법 연결 모형 연구 - ‘-(으)ㅁ’, ‘-기’, ‘-(으)ㄹ 것’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5) : 59-94, 2012

      26 Knapp., "장르 텍스트 문법" 박이정 2007

      27 주재우, "장르 중심의 쓰기교육 연구 - ‘자서전 장르’를 대상으로 -" 한국작문학회 (14) : 137-158, 2012

      28 이상구, "장르 중심 국어 교육의 전망과 과제" 청람어문교육학회 (48) : 191-224, 2013

      29 나은미, "장르 기반 텍스트, 문법 통합 모형에 대한 연구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를 대상으로-" 우리어문학회 (41) : 167-195, 2011

      30 박나리, "장르 기반 교수법(Genre-based teaching approach)에 근거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방안 -학술논문 서론의 텍스트생산 목적진술담화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55-94, 2012

      31 김혜연, "작문교육 연구의 지평: 전형성과 창의성의 문제" 한국작문학회 (18) : 63-104, 2013

      32 정희모, "작문 연구의 방향과 전망-대학 작문에서 인지적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18) : 9-33, 2013

      33 김혜정,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한국독서학회 (21) : 33-79, 2009

      34 김봉순, "읽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 국어교육학회 (25) : 39-74, 2006

      35 박진희, "인용구문의 이해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6 정진석, "연극 비평에 나타난 극성 중심의 연극 읽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381-404, 2012

      37 전제응, "쓰기 맥락의 본질과 쓰기 맥락 지도의 실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7) : 285-310, 2011

      38 김봉순, "신문 기사에 반영된 필자의 주관성" 한국텍스트언어학회 (7) : 57-88, 1999

      39 김미혜, "시 그림책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교육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165) : 183-212, 2013

      40 김정남, "소설 텍스트 시제이동의 한 가지 새로운 기능 - 김훈의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8 : 1-22, 2010

      41 주재우,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의 비판적 재검토 - 작문교육의 관점에서 -" 한국작문학회 (11) : 201-225, 2010

      42 강현석, "브루너 교육의 문화" 교육과학사 2005

      43 박인기,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5) : 2002

      44 우한용, "문학교육과 장르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6 (16): 103-113, 1988

      45 남가영,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형태론 11 (11): 313-334, 2009

      46 남건우, "문법지식과 장르지식을 통합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 신문텍스트 속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47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25) : 119-161, 2010

      48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2) - 기사문에 쓰인 ‘-기로 하-’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203-239, 2012

      49 이관희,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중심 통합의 방향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37) : 173-211, 2012

      50 민현식, "문법 교육의 표준화와 다양화의 과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6 : 125-191, 2005

      51 김정은, "맥락 중심의 시간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52 신명선, "맥락 관련 문법 교육 내용의 인지적 구체화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32) : 69-103, 2013

      53 정재찬, "담화 분석을 통한 가사의 장르성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1 (21): 207-232, 1993

      54 김영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연구 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회 (36) : 43-67, 2008

      55 이성영, "국어교육에서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한국독서학회 (28) : 52-81, 2012

      56 김창원,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제’에 대한 메타적 접근-" 한국국어교육학회 (98) : 7-34, 2014

      57 김은성, "국어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처리의 문제" 국어교육학회 (33) : 333-365, 2008

      58 김남희, "文學 體驗과 장르 意識에 관한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79-500, 2005

      59 주세형,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국어교육학회 (37) : 469-497, 2010

      60 Tribble, C., "Writing 쓰기" 범문사 1997

      61 Bawarchi., "Genre: an Introduction to history, theory, research, and pedagogy" Parlor Press 2010

      62 Hyon, S., "Genre in Three Traditions: Implications for ESL" 30 (30): 693-722, 1996

      63 Hyland, K., "Genre and Second Language Writing" Univ. of Michigan Press 2004

      64 Swales, J., "Genr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65 Halliday, M. A. K., "Essential Hallida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9

      66 Martin, "Analysing genre : functional paramet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