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건소 의료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 (The)Activation Plans for Medical Service of Public Health Cen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59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nges to the environment of public health and medicine have shifted the focus of health and medical policies from treatments to prevention,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and to promotion of public health by the government to reduce ...

      The changes to the environment of public health and medicine have shifted the focus of health and medical policies from treatments to prevention,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and to promotion of public health by the government to reduce the medical expenses. With the changes to the health projects,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people's living standards have improved. Thus the citizens demand more and more diverse medical services to promote and manage their health in addition to the old prevention and treatment services of infectious diseases. But a public health center has limitations in meeting those more various needs, which calls for identifying and carrying out such health and medical projects as can fit the local characteristics, vitalizing the networks among the concerned agencies and individual organizations in local health, medicine, and welfare, and searching for their mutual functions and roles. The ultimate role of a public health center should be to help the residents lead a healthy and happy life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by providing them with more practical health and medical service. The reality of public medical agencies including a public health center puts restrictions on their performance of medical service; their facilities and medical equipments are aged and in shortage, and there is no enough medical workforce and budget. Thus it's difficult to carry out public health projects in practice. It's also problematic that those public medical agencies have become less differentiated from their private counterparts in terms of functions and roles and been going through an identity crisis.
      The first concept of a public health center in the world history was suggested by the Dawson Committee in the Great Britain in 1920. The concept was a combination of primary medical service and organized prevention service. Korea saw the foundation of its first public health center right after it took back its independence on August 15, 1945 by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In 1946 Seoul set up a model public health center, which was the very first example with an organization. Since then there was an active economic growth in Korea and the Public Health Center Act was changed to the Local Health Act. As of 2006, there were 251 public health centers, 1,280 public health branches, and 1,911 public clinics across the nation based on the Local Health Act.
      A survey on the clients'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service of a public health center in 2006 revealed that a public health center ranked at the first place defeating a general hospital, clinic, Oriental Medicine clinic, and pharmacy. Despite the encouraging result, however, one can hardly deny the realistic tasks faced by a public health center such as the organizational, functional,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problems.
      A public health center needs to provide the citizens with more practical health and medical service so that they can live a healthy and happy life i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In an attempt to help it provide more enhanced medical service, the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There should be local base hospitals, they should expand more medical and treatment service to the urban areas with poor access to medical service; a public health center needs to provide treatment service by networking with house call and welfare projects, there should be mutual connections among public health and medical agencies by specializing the functions for the delivery system of public health and medicine, setting up an effective network among public medical agencies, and arranging the central organization to perform overall medication roles, there should be a supply of professional public medical personnel and strategies to motivate them, they need to develop and practice evaluation criteria for local health and medical plans, a certain percentage of budget should be secured for prevention, education, and research investment,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make efforts to secure their own financial resources. Taking advantage of those measures, a public health center will hopefully supplement the private medical system in terms of functions and lead the reform as a public health and medical agency playing the most pivotal role in promoting the national heal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보건의료환경의 변화로 보건의료정책이 종래의 치료위주에서 질병의 사전예방과 조기발견·치료를 통한 삶의 질 제고와 더불어 의료비의 절감을 위한 국가주도의 건강증진에 초점을 둔 보...

      보건의료환경의 변화로 보건의료정책이 종래의 치료위주에서 질병의 사전예방과 조기발견·치료를 통한 삶의 질 제고와 더불어 의료비의 절감을 위한 국가주도의 건강증진에 초점을 둔 보건사업으로 전환되고 지방자치제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지역주민은 기존의 전염병 예방사업과 치료사업 외에 건강증진과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으나 보건소에서 이를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역 특성에 맞는 보건의료사업을 발굴 추진하고 지역 보건, 의료, 복지 등 기관 및 개인단체 등과 연계를 활성화하여 상호간의 기능과 역할을 모색함으로서 주민에게 보다 실질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이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이 보건소의 역할이라 하겠다. 하지만 보건소 등 공공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 수행의 한계적 현실은 시설이나 의료장비의 노후화 및 부족현상, 의료인력과 예산부족 등으로 공공보건사업 등을 충실히 수행하기에는 힘겨운 현실이며, 그 기능과 역할에 있어서 민간의료기관과의 차별성이 적어져 정체성의 문제도 지적되어 왔다.
      세계역사로 본 보건소의 시작은 일반 의료에 의한 1차의료서비스와 조직화된 예방 서비스를 통합시킨 시설로서의 보건소 개념인 1920년 영국의 「도슨 위원회」(Dawson Committee)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면서 발전되어 우리나라의 보건소는 8.15 해방 직후에 미군정이 실시되면서 시작되었으며, 1946년에 서울에 모범보건소가 설립되어 조직을 갖춘 보건소의 시초 가 되었고 경제발전과 보건소법에서 지역보건법으로의 법률개정 등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보건소는 지역보건법을 근거로 하여 2006년 현재 전국의 보건소는 251개소, 보건지소는 1,280개소, 보건진료소는 1,911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2006년 조사된 우리나라 보건소 의료서비스의 만족도에서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한방병원), 약국을 포함해서 의료서비스의 만족도 1위를 했지만 보건소가 갖고 있는 조직상의 문제점, 기능상의 문제점, 인적자원에 대한 문제점, 재정상의 문제점 등 현실적인 과제들이 산적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보건소가 주민에게 보다 실질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이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향상된 의료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역거점병원의 확보, 도시지역에 있어서의 의료취약지역에 대한 의료서비스 확충, 진료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보건소 방문보건사업 및 복지사업과 연계한 진료서비스 제공, 공공보건 의료기관간 상호연계체계의 확립을 위해 공공보건의료 전달체계 확립을 위한 기능 특성화와 공공 의료기관간의 효과적인 연계체계 구축 및 총괄조정 기능 수행을 위한 중앙조직 정비, 전문보건의료인력의 공급과 인력의 동기화 전략, 지역보건 의료계획 평가기준개발 및 평가실시, 예방투자·교육투자 및 연구투자 등 3종의 재정규모에 대한 일정비율의 수준확보, 지방자치단체에서 독자적인 재원의 확보를 위한 노력등으로 보건소가 민간 의료체제의 기능을 보완하며, 국민보건증진에 가장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공보건의료기관으로의 개혁의 주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 1
      • 1.2. 연구의 목적 = 2
      •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제2장 보건소의 의료서비스에 관한 이론적 배경 = 5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 1
      • 1.2. 연구의 목적 = 2
      •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제2장 보건소의 의료서비스에 관한 이론적 배경 = 5
      • 2.1. 보건소 의료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선행연구 = 5
      • 2.2. 보건소의 역할 = 7
      • 2.3. 보건소 관련 법률의 고찰 = 9
      • 2.4. 보건소의 발전역사에 관한 고찰 = 12
      • 제3장 우리나라 보건소의 운영현황 및 운영실태 = 26
      • 3.1. 우리나라 보건소의 현황 = 26
      • 3.2. 외국보건소사례 = 39
      • 3.3. 서울시 보건소의 일반적 진료현황 = 49
      • 3.4. 제4기(2007~2010)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따른 서울시보건소 별 보건사업계획 = 54
      • 3.5. 서울시민 보건지표 = 88
      • 3.6. 서울시와 전국단위간 의료서비스 만족도 비교분석 = 105
      • 제4장 보건소 의료서비스의 문제점과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 107
      • 4.1. 인식도 낮은 광범위한 보건사업 = 107
      • 4.2. 보건소 의료서비스를 위한 인적자원 = 110
      • 4.3. 보건소의 재정 = 113
      • 4.4. 민간의료기관과의 관계 = 118
      • 제5장 결론 = 121
      • 5.1. 연구의 요약 = 121
      • 5.2. 연구의 시사점 = 123
      • 참고문헌 = 126
      • ABSTRACT = 1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