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수업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Class for Student Below the Basic Level in Middle School Using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pplying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6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ction research on a mathematics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o which a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y is applied and to explore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ction research on a mathematics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o which a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y is applied and to explore educational changes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in this process.
      Methods For this reason, teachers and researchers conducted math classes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hat applied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ies deriv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for about four months. Collecting main data was from observation logs, reflection logs, interview, learning data, and mathematical learning affective domain test, and the data were analyzed as the mixed research method.
      Results During research, a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was changed to a personalized clas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nd in this process, planning, execution, and reflection of personalized class using AI-based adaptive learning were analyzed.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agnosed and recovered the prerequisite learning deficits and the cognitive domains generally increased,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ffective domain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e confirmed that mathematical interest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improved and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d. Teachers realized personalized classes, experienced roles of new instructors, and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personalized and customized instruction within the schoo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ementation process,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classe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pplied with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measures were discussed to realize personalized instruction at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기초학력 미달 수학 수업에 실행연구를 실시하고이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적 변화를 탐색하는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기초학력 미달 수학 수업에 실행연구를 실시하고이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적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사와 연구진이 약 4개월간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대상으로 도출된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수학 수업을 실시하였다. 주요 자료 수집은 관찰일지, 성찰일지, 면담, 학습데이터와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검사로 해당 자료들은 혼합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실행연구를 진행하며 기초학력 미달 수업은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으로 변하였고, 이 과정에서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의 계획, 실행, 성찰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선수학습 결손부분을 진단 및 회복하여 인지적 영역은 대체로 상승하였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적 분석을 통해수학적 흥미,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학습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개별화 수업을 실현하였고 새로운 교수자의 역할을 경험하며 학교 안에서 개별화 맞춤형 수업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수업의 실행과정, 장점과 한계점을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교에서 개별화 수업이 실현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2 e나라지표, "학업성취도 평가(교과별 성취수준 비율)"

      3 허형, "학습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16 (16): 181-203, 2010

      4 이현경, "학습자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설계에 대한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설계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5 이현경 ; 조영환 ; 금선영, "학습자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설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공학회 38 (38): 37-67, 2022

      6 강신천 ; 박혜진,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101-122, 2006

      7 조일현, "학습분석학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9

      8 김선, "학습부진학생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1

      9 손승현,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93-110, 2008

      10 이은영 ; 권혁진 ; 김민경, "학습 부진아 수학 클리닉 운영 사례" 한국학교수학회 9 (9): 19-40, 2006

      1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2 e나라지표, "학업성취도 평가(교과별 성취수준 비율)"

      3 허형, "학습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16 (16): 181-203, 2010

      4 이현경, "학습자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설계에 대한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설계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5 이현경 ; 조영환 ; 금선영, "학습자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설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공학회 38 (38): 37-67, 2022

      6 강신천 ; 박혜진,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101-122, 2006

      7 조일현, "학습분석학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9

      8 김선, "학습부진학생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1

      9 손승현,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93-110, 2008

      10 이은영 ; 권혁진 ; 김민경, "학습 부진아 수학 클리닉 운영 사례" 한국학교수학회 9 (9): 19-40, 2006

      11 홍선주, "학교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12 김현진 ; 박정호 ; 홍선주 ; 박연정 ; 김은영 ; 최정윤 ; 김유리, "학교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05-930, 2020

      13 홍성주, "학교 교육에서의 블렌디드 러닝 실행: 교사와 학생의 역할 및 역할 행동 체크리스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14 조윤정,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요구되는 교사전문성과 교사상 (2021 봄호-242호)"

      15 임규연 ; 임지영 ; 진명화,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2011-2020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7 (37): 525-559, 2021

      16 장혜원 ; 남지현, "초등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의 실제- 초등수학 수업지원시스템 ‘똑똑! 수학탐험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31 : 105-123, 2021

      17 김정아, "초·중학생 기초학력 미달의 종단적 변화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학회 59 (59): 131-161, 2021

      1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Ⅱ :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19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3

      20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이해" 박영story 2018

      21 정성희 ; 임규연, "중학교 교사의 개별화 교수전략 교육요구도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9 (39): 31-58, 2022

      22 전가일,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좋은 수업 만들어 가기: 해석학적 질문과 대화를 통한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7 (17): 59-110, 2014

      23 김사환, "일반계 고등학생의 수학 교과에 대한 기본 학습 부진 요인 분석" 14 : 327-348, 2020

      24 김희경 ; 한정아, "인지진단모형에 기반한 맞춤형 평가결과표 제공 방안 탐색: 확장된 Fusion 모형의 적용"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219-244, 2017

      25 임영빈 ; 안서헌 ; 김경미 ; 김중훈 ; 홍옥수,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업 지원시스템의 효과성 분석 : <똑똑 수학탐험대>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32 (32): 61-73, 2021

      26 오석환 ; 김현진,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고등학교 수학 수업설계의 효과: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401-422, 2021

      27 박경미 ; 김동원,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50 (50): 89-102, 2011

      28 백혜조, "우리나라 기초학력보장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397-415, 2022

      29 김영미 ; 이혁규 ; 이용숙 ; 김영천 ; 조덕주,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교육대학원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363-402, 2004

      30 이환철 ; 이현숙 ; 김형원 ; 이지혜 ; 고호경,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개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267-287, 2017

      31 박만구,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 한국수학교육학회 34 (34): 545-561, 2020

      32 교육부, "수학교육 종합계획[2020년~2024년]"

      33 고영실, "수학교과 학습부진아의 학습컨설팅사례연구" 6 (6): 1-25, 2019

      34 이상원, "수학과 학습 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방법-고등학교 중심" 40 (40): 27-51, 2001

      35 배세현 ; 박영용 ; 이헌수, "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학습 성취도 향상을 위한 5분 테스트 활용의 효과" 한국학교수학회 14 (14): 459-476, 2011

      36 이대식 ; 최종근 ; 전윤희 ; 김연진, "수학 기초학습부진학생 집단의 특징 연구" 교육연구소 8 (8): 93-130, 2007

      37 박혜연 ; 손복은 ; 고호경,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36 (36): 1-21, 2022

      38 신종호 ; 손정은, "대학 교육에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구현을 위한 교수자 인식 및 요구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39-48, 2021

      39 민윤경, "기초학력 지도 현황 및 교원 전문성 강화 방안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69-590, 2022

      40 오택근,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초등학교 학급 규모 유연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41 김수철, "국내외 수학 학습지원 플랫폼의 기능 분석 - 인공지능의 활용을 포함하여 -"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7 (7): 315-326, 2021

      42 이용숙,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2005

      43 김희경,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AI 기반 학습 프로그램 활용에 따른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44 김환철 ; 강순자,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20 (20): 521-536, 2017

      45 교육부, "「교육회복 종합방안」 기본계획"

      46 Wang, S., "When adaptive learning is effective learning: Comparison of an adaptive learning system to teacher-led instruction" 1-11, 2020

      47 Kemmis, S., "The Action Research Planner" Deakin University Press 1988

      48 Bloom, B. S., "The 2 sigma problem : The search for methods of group instruction as effective as one-to-one tutoring" 13 (13): 4-16, 1984

      49 Hwang, G. J., "Roles and research tren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 a bibliometric mapping s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9 (9): 1-19, 2021

      50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1990

      51 Walkington, C., "Personalizing algebra to students’ individual interests in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 Moderators of impact" 29 (29): 58-88, 2019

      52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53 김미령 ; 정경영 ; 노지화, "Examining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ontext of Classroom Instruction" 영남수학회 35 (35): 509-528, 2019

      54 윤택남, "EBS AI 펭톡을 활용한 초등학습자들의 영어학습 효과" 영상영어교육학회 23 (23): 27-38, 2022

      55 Wu, H. M., "Computerized dynamic adaptive tests with immediately individualized feedback for primary school mathematics learning" 20 (20): 61-72, 2017

      56 Grawemeyer, B., "Affective learning : improving engagement and enhancing learning with affect-aware feedback" 27 (27): 119-158, 2017

      57 교육부,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58 서진석, ""전문성 없는 강사만 양산"‥법 개정요구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