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양국의 식생활관련 가사노동의 수행 실태에 관한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Housework Related to Daily Meals in Korean and Japanese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30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mode of housework related to daily meals. The data for 214 Korean couples living in Seoul and 136 Japanese Couples in Tokyo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ime diaries. The 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mode of housework related to daily meals. The data for 214 Korean couples living in Seoul and 136 Japanese Couples in Tokyo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ime diaries. The performance mode of housewor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of wiv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Generally Koreans and Japanese wives had similar patterns in the time use of meals preparation and dish washing. In both nations Husbands seldom participated meals preparation, wives did most part of the work. But Japanese husbands of full-time employed wives spent more time on meals preparation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did. Korean wives received more help from other family members and paid labor, on the contrary Japanese wives purchased more ready-made goods for food prepa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문화적 규범과 가사노동의 수행
      • 2. 여성의 취업과 가사노동의 수행
      •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문화적 규범과 가사노동의 수행
      • 2. 여성의 취업과 가사노동의 수행
      • III. 연구문제
      • IV. 연구방법
      • 1. 조사도구
      • 2. 조사대상 및 자료 수집
      • 3. 분석방법
      •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V. 연구결과 및 논의
      • 1. 식생활 관련 가사노동시간량
      • 2. 식생활 관련 가사노동의 수행주체
      • 3. 식생활 관련 가사노동의 상품대체
      • 4. 식생활의 내용
      • VI.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