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가로수 역사와 수목 고찰 = A Study on the History and Species of Street Tree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4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수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고문헌에 기록된 가로수 역사와 수종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종 대안을 위해 전통조경수목을 고찰한 ...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수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고문헌에 기록된 가로수 역사와 수종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종 대안을 위해 전통조경수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가로수 역사는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2년(546), 고려 명종 27년(1197) 등에 가로수로 추정되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사료적 명료성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 초 세종 23년(1441)에는 국가의 역로(驛路)에 표목(標木)으로 가로수를 심은 것이 확인되며, 표목으로 식재된 가로수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가 확인된다. 조선 초 가로수제도의 시행은 단종 1년(1453)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큰길 좌우로 소나무, 잣나무, 배나무, 밤나무, 회화나무, 버드나무 등이 식재되었고, 세조 5년(1459)에는 길가에 뽕나무를 심었다. 영조 연간에 그려진 정선의 『압구정』이나 『진헌마정색도』에는 가로수가 열식되어 있으며 이는 왕들의 행차, 한양 출입의 주요 도로, 마장(馬場)의 장소성, 수해에 따른 도로 보호와 표식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고찰되었다. 정조 연간에는 왕의 능 행차에 연관되어 소나무, 전나무, 버드나무 등의 가로수를 열식한 사례가 두드러지며, 이는 왕이 지나는 연도(輦道)와 해당 능역을 성역화하려는 가로수 식재기법으로 보았다. 개항 이후 고종 32년(1895)에는 국가에서 도로 좌우에 가로수를 심을 것을 장려하였고, 근대적 가로수 식재개념이 도입되었다. 당시 한양의 가로수는 사시나무가 속성수로써 주요하게 식재되었다. 서울시 가로수로 활용 가능한 고문헌 출현 교목은 삼국시대 17분류군, 고려시대 31분류군, 조선시대 55분류군이 추출되었으며, 16분류군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모두에서 중복적으로 3회 출현한 수목으로 역사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외래수종이 유입되고 법제가 변화하면서 가로수제도의 현대적 수용이 이루어졌다. 1936년 경성부 권역의 확대에 따른 가로수 6개년 식수계획(1934-1940)이 시행될 당시 경성의 10대 가로수 수종은 ‘모니리페라’로 불린 현재 미루나무의 아종, 이태리포플러, 사시나무, 은백양 등의 포플러류가 1~4순위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수양버들, 아까시나무, 버즘나무,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네군도단풍이 5~10순위로 나타났다. 1930년대 중후반부터 버즘나무와 양버즘나무가 새로운 가로수로 소개되며 대규모 식재되기 시작하였고, 1942년부터는 피마잠의 장점이 있는 가죽나무를 가로수로 권장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1957년 가로수 수종은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이태리포플러, 가죽나무, 미루나무, 수양버들 순으로 나타나 일제강점기 수종들의 순위변화를 보였으며,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의 비중이 높은 점에서 당시의 식재 경향이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basic research for selecting species of street trees with historical value in Seoul. It also made up a list of traditional landscape trees for a variety of alternatives. The following results are shown below....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basic research for selecting species of street trees with historical value in Seoul. It also made up a list of traditional landscape trees for a variety of alternatives. The following results are shown below. As to the history of street trees in Korea, records on to-be-estimated street trees are found in historical documents written in King Yangwon during the second year of Goguryeo Dynasty (546) and King Myeongjong during 27 year of Goryeo (1197). However, it is assumed that lack of clarity is found in historical records. During the 23 year of King Sej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1441), the record showed that the state planted street trees as guideposts on the postal road. The records revealed that Ulmus spp. and Salix spp. were planted as guidance trees. The street tree system was perform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recorded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document.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Pyrus pyrifolia var. culta, Castanea crenata, Styphnolobium japonicum and Salix spp. were planted along the avenue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Morus alba were planted on streets during the five year of King Sejo (1459). As illustrated in pieces Apgujeong by painter Jeongseon and Jinheonmajeongsaekdo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street trees were planted. This arrangement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elements such as king procession, major entrance roads in Seoul, place for horse markets, prevention of roads from flood and indication.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re are many cases related to planting Pinus densiflora, Abies holophylla and Salix spp. for king procession. Turning king roads and related areas into sanctuaries is considered as technique for planting street trees. During the 32 year of King Gojong after opening ports (1985), the state promoted planting trees along both sides of roads. At the time, many Populus davidiana called white poplars were planted as rapidly growing street trees. There are 17 taxa in the Era of Three Kingdoms records, 31 taxa in Goryeo Dynasty records and 55 taxa in Joseon Dynasty records, respectively, described in historical documents to be available for being planted as street trees in Seoul. 16 taxa are recorded in three periods, which are Era of Three Kingdoms,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These taxa can be seen as relatively excellent ones in terms of historical value. The introduction of alien plants and legal improv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ulted in modernization of street tree planting system. Under the six-year street tree planting plan (1934-1940) implemented as part of expanding metropolitan areas outside the capital launched in 1936, four major street trees of top 10 taxa were a Populus deltoides, Populus nigra var. italica, Populus davidiana, Populus alba. The remaining six trees were Salix babylonica, Robinia pseudoacacia, platanus orientalis, Platanus occidentalis, Ginkgo biloba, and Acer negundo. Beginning in the mid- and late 1930s, platanus orientalis, Platanus occidentalis were introduced into Korea as new taxa of street trees and planted in many regions. Beginning on 1942, Ailanthus altissima was recommended as street trees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silks. In 1957 after liberation, major street tree taxa included Platanus occidentalis, Ginkgo biloba, Populus nigra var. italica, Ailanthus altissima, Populus deltoides and Salix babylonica. The rank of major street tree species plan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changed. Tree planting trend around that period primarily representing Platanus occidentalis and Ginkgo biloba still holds true until no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민경현, "한국의 정원" 민음사 1991

      3 "한국고전종합 DB"

      4 "조선중앙일보"

      5 "조선신문"

      6 배상선, "조경식물의 상징성에 관한 기초연구" 8 (8): 281-231, 1989

      7 홍형순, "전통정원에서 ‘오동(梧桐)’의 수종, 식재 위치와 경관적 활용" 한국전통조경학회 31 (31): 20-30, 2013

      8 임의제, "전통원림에 도입된 매화(Prunus mume)의 이용과 배식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68-79, 2012

      9 김해경, "일제강점기 경성 내 가로수에 대한 일고찰" 서울역사편찬원 (98) : 145-185, 2018

      10 "인천광역시교육청 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

      1 "황성신문"

      2 민경현, "한국의 정원" 민음사 1991

      3 "한국고전종합 DB"

      4 "조선중앙일보"

      5 "조선신문"

      6 배상선, "조경식물의 상징성에 관한 기초연구" 8 (8): 281-231, 1989

      7 홍형순, "전통정원에서 ‘오동(梧桐)’의 수종, 식재 위치와 경관적 활용" 한국전통조경학회 31 (31): 20-30, 2013

      8 임의제, "전통원림에 도입된 매화(Prunus mume)의 이용과 배식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68-79, 2012

      9 김해경, "일제강점기 경성 내 가로수에 대한 일고찰" 서울역사편찬원 (98) : 145-185, 2018

      10 "인천광역시교육청 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

      11 이선,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수류산방중심 2006

      12 이종묵, "양화소록 - 선비, 꽃과 나무를 벗하다" 아카넷 [서울] 2012

      13 경주시, "신라전통수종복원 타당성조사" 2015

      14 김윤하, "신라 왕경숲 조성에 있어서 주요 수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2 (32): 52-62, 2004

      15 심우경, "식물의 상징성을 활용한 도덕교육" 1 (1): 34-46, 1998

      16 "서울시 통계시스템"

      17 수원화성박물관, "사진으로 보는 화성" 백년의 여정 2010

      18 "매일신보"

      19 정동오, "동양조경문화사" 전남대학교출판부 1990

      20 "동아일보"

      21 "독립신문"

      22 국회예산정책처, "도시재생 뉴딜 분석" 2018

      23 "대한매일신보"

      24 중앙문화재연구원, "대전 도안지구 택지개발사업부지 내 대전상대동 원골유적" 2011

      25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1~3" 넥서스북 1998

      26 강영호, "구한말 일제강점기 이후 서울의 풍치림조성 및 치산치수 역사" 8 (8): 19-29, 2010

      27 노재현, "괴정(槐亭)의 잔존 수종을 통해 본 괴목(槐木) 식재의 문화변용" 한국전통조경학회 37 (37): 81-97, 2019

      28 윤영활, "고려시대 정원에 관한 연구" 4 (4): 371-378, 1985

      29 윤국병, "高麗時代의 庭苑用語에 관한 연구" 1 (1): 28-40, 1982

      30 朝鮮博文社, "純宗國葬錄" 1926

      31 日韓書房, "朝鮮風景人俗寫眞帖" 1911

      32 京城日報社, "德壽宮國葬畵帖" 1919

      33 朝鮮總督府, "寫眞帖 朝鮮" 1921

      34 신상섭, "「芝峯類說」로 본 李睟光의 조경식물 인식 및 가치관" 한국전통조경학회 27 (27): 1-10, 2009

      35 노재현, "「匪懈堂四十八詠」의 출현식물이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에 미친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 27 (27): 1-12, 2009

      36 Landeshauptstadt Düsseldorf, "Zukunftsbaumliste Düsseldorf"

      37 Santamour FS, "Trees for urban planting: Diversity, uniformity and common sense" 7 : 57-65, 1990

      38 T. Fisher Unwin, "THE STORY OF KOREA" 1911

      39 Chacalo A, "Street tree inventory in Mexico City" 20 : 222-226, 1994

      40 Bassuk N(, "Street tree diversity making better choices for the urban landscape" The Morton Arboretum 1990

      41 Bureau of the HKSAR, "Street Tree Selection Guide"

      42 City of Sydney, "Street Tree Master Plan(updated 2015)"

      43 The Seattl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treet Tree Manual"

      44 Richards NA, "Reasonable guidelines for street tree diversity" 19 : 344-350, 1993

      45 Mcpherson EG, "Quantifying urban forest structure, function and value : Chicago Urban Forest Climate Project" 1 : 49-61, 1997

      46 Sanders RA, "Diversity in the street trees of Syracuse, New York" 5 : 33-43, 1981

      47 Government-General of Chosen, "ANNUAL REPORT" 1928

      48 정민, "<花庵九曲>의 작가 柳樸(1730~1787)과 ?花庵隨錄?" 한국시가학회 14 : 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