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소성과 유휴시설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도시문화공간 연구 - 충청북도 청주시 동부창고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Urban Cultural Space Based on Convergence of Place and Idle Facilities : Focusing on Dongbu Warehouse in Cheongju-si, Chungcheongbuk-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1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urban cultural space based on sense of place targeting the "Dongbu Warehouse" located in Cheongju-si. Furthermore, this study evaluated how the establishment of sense of place based on cultural analysis would eventually be applied to the urban cultural space.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ew sense of place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existing cit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Dongbu Warehouse, which converted the tobacco manufacturing warehouse site into an urban cultural space.
      For this purpose, the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astern warehouse where the warehouse site of the tobacco manufacturing plant was composed of urban cultural space. For case analysi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data disclosed by local governments, online materials, related documents,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factors, active factors, and human factors.
      First, it was found that physical factors correspond to building exterior, lot, locational characteristics, historicity, and symbolism. Second, active factors included a content-based sense of place and space formation. Third, the perception of place was derived from human fact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effective space formation is possible based on physical, active, and human factors by applying the sense of place elements of idle facilities in cities to urban cultural spac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ense of place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marketing areas, such as increasing visitors based on the effective formation and symbolic meaning of urban cultural space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of urban cultural space based on sense of place is also effective in revitalizing the cultural life of local people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urban cultural space based on sense of place targeting the "Dongbu Warehouse" located in Cheongju-si. Furthermore, this study evaluated how the establishment of sense of place based on cultural analysis would eventually be appl...

      This study examined the urban cultural space based on sense of place targeting the "Dongbu Warehouse" located in Cheongju-si. Furthermore, this study evaluated how the establishment of sense of place based on cultural analysis would eventually be applied to the urban cultural space.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ew sense of place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existing cit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Dongbu Warehouse, which converted the tobacco manufacturing warehouse site into an urban cultural space.
      For this purpose, the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astern warehouse where the warehouse site of the tobacco manufacturing plant was composed of urban cultural space. For case analysi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data disclosed by local governments, online materials, related documents,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factors, active factors, and human factors.
      First, it was found that physical factors correspond to building exterior, lot, locational characteristics, historicity, and symbolism. Second, active factors included a content-based sense of place and space formation. Third, the perception of place was derived from human fact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effective space formation is possible based on physical, active, and human factors by applying the sense of place elements of idle facilities in cities to urban cultural spac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ense of place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marketing areas, such as increasing visitors based on the effective formation and symbolic meaning of urban cultural space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of urban cultural space based on sense of place is also effective in revitalizing the cultural life of local people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주시 소재의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장소성 기반의 도시문화 공간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문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장소성 확립이 도시문화 공간에 적용되는 방안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기존 도시의 재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장소성 확립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초제조창 창고부지를 도시문화 공간으로 구성한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초제조창 창고부지를 도시문화 공간으로 구성한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개하는 자료와 온라인 자료, 관련 문헌 자료, 담당자 전화 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성은 크게 물리적 요소, 활동적 요소, 인적요소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물리적 요소에는 건물 외관과 필지 및 위치적 특성, 역사성 및 상징성이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적 요소에는 콘텐츠 기반의 장소성과 공간 형성, 인적요소에는 장소에 대한 인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도시 내 유휴시설이 가진 장소성 구성요소를 도시문화 공간에 적용하여 물리적, 활동적, 인적요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간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소성 확립이 도시문화 공간의 효과적인 형성 및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방문객 증대 등 마케팅 영역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특히 지방의 중소규모 도시의 경우 장소성 기반의 도시문화 공간 형성을 통해 지역민의 문화생활 활성화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주시 소재의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장소성 기반의 도시문화 공간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문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장소성 확립이 도시문화 공간에 적용되는 방안에 관하여 연...

      본 연구는 청주시 소재의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장소성 기반의 도시문화 공간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문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장소성 확립이 도시문화 공간에 적용되는 방안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기존 도시의 재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장소성 확립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초제조창 창고부지를 도시문화 공간으로 구성한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초제조창 창고부지를 도시문화 공간으로 구성한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개하는 자료와 온라인 자료, 관련 문헌 자료, 담당자 전화 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성은 크게 물리적 요소, 활동적 요소, 인적요소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물리적 요소에는 건물 외관과 필지 및 위치적 특성, 역사성 및 상징성이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적 요소에는 콘텐츠 기반의 장소성과 공간 형성, 인적요소에는 장소에 대한 인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도시 내 유휴시설이 가진 장소성 구성요소를 도시문화 공간에 적용하여 물리적, 활동적, 인적요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간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소성 확립이 도시문화 공간의 효과적인 형성 및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방문객 증대 등 마케팅 영역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특히 지방의 중소규모 도시의 경우 장소성 기반의 도시문화 공간 형성을 통해 지역민의 문화생활 활성화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휘 ; 최창규,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 서울 홍대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9-36, 2011

      2 왕치현 ; 김아영, "장소성 개념을 통한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전략 연구: 현상학적 장소론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339-364, 2020

      3 정대영 ; 윤지환, "산업유산을 재활용한 문화관광 공간의 장소성 형성구조" 한국관광학회 38 (38): 57-78, 2014

      4 김혜영 ; 김세준,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30) : 185-217, 2014

      5 이상호 ; 오정민, "근대산업유산관광지 영도다리의 장소성 형성요인과 그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343-361, 2016

      6 "https://www.thecm.net/news/articleView.html?idxn o=36643"

      7 "https://www.dbchangko.org/"

      8 Canter, D., "Understanding, assessing and acting in places: Is an integrative framework possible, Environmental cognition and action: An integrated approach"

      9 An, Young Gyu, "The Case Study of City Revitalization By Constructing Culture Infrastructure" 8 (8): 2008

      10 Entrikin, J. N., "The Betweenness of Place" Macmillan Education 1991

      1 이남휘 ; 최창규,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 서울 홍대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9-36, 2011

      2 왕치현 ; 김아영, "장소성 개념을 통한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전략 연구: 현상학적 장소론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339-364, 2020

      3 정대영 ; 윤지환, "산업유산을 재활용한 문화관광 공간의 장소성 형성구조" 한국관광학회 38 (38): 57-78, 2014

      4 김혜영 ; 김세준,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30) : 185-217, 2014

      5 이상호 ; 오정민, "근대산업유산관광지 영도다리의 장소성 형성요인과 그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343-361, 2016

      6 "https://www.thecm.net/news/articleView.html?idxn o=36643"

      7 "https://www.dbchangko.org/"

      8 Canter, D., "Understanding, assessing and acting in places: Is an integrative framework possible, Environmental cognition and action: An integrated approach"

      9 An, Young Gyu, "The Case Study of City Revitalization By Constructing Culture Infrastructure" 8 (8): 2008

      10 Entrikin, J. N., "The Betweenness of Place" Macmillan Education 1991

      11 Kwon, Yoon Gu, "Study on the sense of place of street environ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case study on Insa-dong streets" Seoul University 2010

      12 Hay, R., "Sense of place in developmental context" 18 (18): 1998

      13 Tuan, Y. F., "Place: an experiential perspective" Geographical Review 1975

      14 Relph, E.,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Limited 1976

      15 Baek, Sun Hye, "Location and location marketing"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2005

      16 Lukermann, F.,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8 (8): 1964

      17 Kwon, Yoon Gu, "Formation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ense of place on urban streets : research on Insa-dong and Daehak-ro within the framework of mixed-methods" Seoul University 2013

      18 Manzo, L. C., "For better or worse: Exploring multiple dimensions of place meaning" 25 (25): 2005

      19 Choi, Mak Jung., "Empirical Analysis of the Formation Factors and Economic Value of Location" 36 (36): 2009

      20 Lee, Soek Hwan., "A study of the multifaceted concept of place and place" 91 : 1997

      21 Hong, Sung Hee., "A Study on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3 (3):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