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실행에 대한 인식과 요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18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휴게시간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의 설립유형별 보육교사로 각 4명씩 연령과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휴게시간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의 설립유형별 보육교사로 각 4명씩 연령과 교육경력을 고려하여 24명을 선별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사별 개인 인터뷰형식의 FGI질문법을 활용하였으며 질적인 분석을 위해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휴게시간 시행을 정책적인 문제로 인식하였고 현장에서 휴게시간 시행은 보육교사의 직무 특성상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휴게시간 실행에 대한 보육교사인식은 현실적인 어려움, 가짜 휴게시간 환경조성, 업무의 과중, 원장과의 트러블 발생, 보육의 질 저하, 제도 자금 낭비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은 조기 퇴근의 필요성, 쉼에 대한 인식의 개선, 보육교사에게 시간적 여유의 제공, 복지제도의 필요, 영 · 유아 안전보장대책의 필요, 인력 지원을 요구하였다. 장기적으로는 법적 보육시간의 수정이 필요하며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보육수요를 분석하여 2교대나 근무환경의 수정을 요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개선은 대체교사활용과 초과근무수당의 지급으로 휴게시간 운영을 지원하고 장기적으로는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보육시설이용시간에 대한 보육지침의 수정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는 보육수요자의 환경을 분석하여 다양한 보육서비스로 분류하고 보육현장의 근무 탄력제나 2교대 근무제를 수용하는 등 수요자와 공급자에 대한 맞춤형 정책과 인프라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will execute an in-depth interview(called FGI) to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 can show how to improve the teachers’ rest period by researching on the actual conditions. It is for giving the basis to the policy improvement by suggesting the me...

      We will execute an in-depth interview(called FGI) to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 can show how to improve the teachers’ rest period by researching on the actual conditions. It is for giving the basis to the policy improvement by suggesting the methods of making better working conditions for the teachers who can’t rest in field.
      The objects of study are 24 daycare center teachers from Seoul-Incheon area, 4 people each from the groups based on the age and experience. We interviewed each teacher in depth using FGI method, and drew the research question by categorizing the interview contents.
      It turned out that the daycare center teachers’ rest period policy has a problem and it can’t be solved in the field. Also the intensity of labor is high and rest time is lacked compared to the other occupation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 and service. Putting substitute teachers in field, flexible working system and overtime payment would be the solutions. And in the long term, the working hours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by analyzing the demand in the field.
      The cognition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rest period has been known before, but it has been ignored because of the field conditions. For example the policy of rest time has been worked, but it didn’t work properly in reality. In other words, there was out of comprehension about the daycare occupation and its environment. Also the working hours are long and the intensity of the labor is high compared to other jobs.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put the substitute teachers and give the overtime payment. In the long-term, we suggest an amendment of working hours and related polic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classify the daycare services into the groups and make flexible working system, and overall infrastruc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자윤, "휴게시간 없는 어린이집 교사 불만"

      2 하세인, "활동지원사 휴게시간, 누구를 위한 것인가"

      3 김혜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젊은 성인 여성의 식생활 실태 및 관련 요인 - 사회인지론에 근거하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1 (21): 332-343, 2016

      4 권현수, "통합교육 담당교사 자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71-96, 2010

      5 강민정,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효율적인 협력관계를 위한 부모들의 인식" 대한가정학회 50 (50): 25-38, 2012

      6 이선애,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조직헌신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10 (10): 79-94, 2018

      7 신희연,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정유정,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9 박은미,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261-290, 2011

      10 한현지, "어린이집 운영관리 과정에 나타난 원장의 의사결정"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147-169, 2013

      1 구자윤, "휴게시간 없는 어린이집 교사 불만"

      2 하세인, "활동지원사 휴게시간, 누구를 위한 것인가"

      3 김혜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젊은 성인 여성의 식생활 실태 및 관련 요인 - 사회인지론에 근거하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1 (21): 332-343, 2016

      4 권현수, "통합교육 담당교사 자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71-96, 2010

      5 강민정,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효율적인 협력관계를 위한 부모들의 인식" 대한가정학회 50 (50): 25-38, 2012

      6 이선애,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조직헌신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10 (10): 79-94, 2018

      7 신희연,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정유정,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9 박은미,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261-290, 2011

      10 한현지, "어린이집 운영관리 과정에 나타난 원장의 의사결정"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147-169, 2013

      11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교사 휴게시간 보장…보조교사 6000명 채용"

      12 이에스더, "애들 1분도 눈 못 떼는데 … 보육교사 무조건 1시간 쉬라니"

      13 이수연, "아파트경비근로자 근로실태와 근로조건 개선방향 ― 고양시 지역 종사자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법학회 (24) : 105-137, 2014

      14 안현미, "서울시 보육교사 근로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216, 2013

      15 하갑래, "사무직 관련 근로자의 근로시간제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9 (39): 303-335, 2015

      16 한국보육진흥원, "보육교사자문단이야기"

      17 윤혜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회 (43) : 157-184, 2013

      18 문동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변인의 메타회귀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13-234, 2012

      19 김현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2 (2): 111-128, 2006

      20 정경진,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6) : 129-152, 2016

      21 김연, "보육교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김연아동발달지원센터 1-192, 2012

      22 서의석, "보육교사 근무현황 및 실태조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6

      23 김보금, "보육교사 가짜 휴게시간, 임금체불 어린이집 특별근로감독 요구" 2018

      24 신은숙, "근로시간 판단기준과 사례"

      25 고소연, "국공립 전환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실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6 이재희, "교사 대 영유아 비율의 적정 기준 마련 방안" 영유아정책연구소 59-71, 2017

      27 보건복지가족부,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2012

      28 전영우, "2006年 海事勞動協約의 船員 勤勞 및 休息 時間에 관한 硏究" 한국해사법학회 20 (20): 33-68,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