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801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청년문화세대와 관련해서 다양한 집단들이 어떻케 청년문화를 규정했으며, 어떤 방식으로 담론의 장이 전개되었는지 밝히는 데 있다. 청년 문화 세대담론은 1974년...

      이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청년문화세대와 관련해서 다양한 집단들이 어떻케 청년문화를 규정했으며, 어떤 방식으로 담론의 장이 전개되었는지 밝히는 데 있다. 청년 문화 세대담론은 1974년 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언론집단(청년문화 생산자), 지식인 집단, 대학언론, 정치권력은 청년문화를 각각 반문화, 부분문화, 도깨비 문화, 퇴폐문화로 규정했다. 청년문화 생산자들은 세대표현과 기성을 거부하는 것으로 청년문화를 정의했다. 지식인들은 일부 젊은이의 모방적 생활양식으로 부분문화의 성격을 지닌다고 했으며, 대학언론들은 무분별한 외래문화로 규정했다. 또한 정권은 청년문화를 향락적이고 사회윤리를 문란케 하는 타락문화로 바라봤다. 청년문화 세대담론은 왜곡된 담론지형 속에 놓여 있었다. 청년문화 담론은 세대의식이 아니라 소비행태에 국한되었고, 세대간 논놈쟁이 아니라 언론사간 논쟁이 되었다. 더욱이 지식 인들은 기성세대의 엘리트주의 입장에서 청년문화를 재단했다. 정치권력은 통제와 억압으로 청년문화 담론을 종결시켰다. 청년문화를 거부했던 대학언론들은 저항문화와 민족문화의 재발견을 강조했고, 이것은 1970년대 반체제적 문화운동으로 이어지는 전환점을 제공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seventies' youth culture is defined and constituted in discourse formation in Korea. After Dong-A Ilbo dealt with six idols of youth generation in March, 1974, discourses of youth culture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seventies' youth culture is defined and constituted in discourse formation in Korea. After Dong-A Ilbo dealt with six idols of youth generation in March, 1974, discourses of youth culture emerged and were heated for three months. Mentors of youth culture regarded their culture as counterculture, whereas intellectuals defined it as consumer-oriented subculture. Also, university presses viewed youth culture as brainless and imported culture, and political authorities deplored it as deteriorated culture. The discursive landscape of seventies' youth culture is divided into supporting groups and critical groups. Critical groups including university presses, intellectuals and political authorities dominated discourses about youth culture. Though supporting groups argued that seventies' youth culture is counter-culture, anti-commercialism, and self-expression of the youth generation, their discourse was strongly rejected by the others. The discourses about the youth culture generation were positioned in a distorted discursive landscape, in that critical groups defined it as 'guitar-live beer-blue jean', focusing on consumer culture and imported life styles.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of the seventies' youth culture were not included in this discourse spectrum. Nevertheless, seventies' youth culture as an emergent culture brings about two significant cultural changes. One is that youth culture developed popular culture, expanding its market and consumers. The other change is that the youth culture provided with a critical moment to constitute counter culture to resist political power and reinvent new cultural modes of folk culture, class-based culture, and new university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국어 초록
      • 1. 문제의 제기
      • 2, 세대논의와 한국사회의 세대문화
      • 3. 연구방법
      • 4.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유형
      • 한국어 초록
      • 1. 문제의 제기
      • 2, 세대논의와 한국사회의 세대문화
      • 3. 연구방법
      • 4.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유형
      • 5.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질서와 정치학
      • 6. 결론
      • 참고문헌
      • 영어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황금가지 2002

      2 "환상 그리고 저항. 김진송·안영노·조봉진 혼돈과 질서》. 서울 현실문화연구." 1994

      3 "혼돈과 질서》. 서울 현실문화연구." 1994

      4 "한국대중가요사" 시공사 1998

      5 "한국 방송의 역사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3

      6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 세대, 그 갈등과 조화의 미학" 삼성경제연구소 2003

      7 "오늘날의 젊은 우상들《동아일보》1974년 4월 8일 굳어지는 70年代體質《동아일보》1974년 4월 22일 反文化와 통기타 사이《동아일보》1974년 7월 12일 70年代의 作家 새로운 世代論爭으로 이어지는 同質的이면서 異質的인 두 見解《동아일보》1974년 9월 13일 大學生들에 비친 오늘의 言論· 大學《조선일보》1974년 4월 18일 이상과 현실 사이의 猶橡 韓國靑年 문화의 구조와 상황《조선일보》1974년 5월 2일 旣成複製品의 젊음엔 來日이 없다《조선일보》1974년 5월 14일 통기타 청바지가 旗手는 될 수없다《조선일보》1974년 5월 15일 靑年文化 논쟁의 反省과 비판《조선일보》1974년 7월 12일 굿과 청년문화《조선일보》1974년 9월 29일 청바지 歌手도 할말 있다" [자료]일간신문《동아일보》1974년 3월 29일 一事一言 ‘청년문화’《조선일보》1974년 4월 20일 一事一言 ‘청년문화’《조선일보》1974년 6월 4일

      8 "심포지움 한국의 청년문화 특집 방황하는 젊은 세대 특집 젊은이와 삶의 스타일 청년문화와 그 스타일 靑年文化는 反文化인가" 24~28쪽.《월간중앙》 (119 228 63 147 73) : 1974년7월호1974년8월호1974년3-4월호1974년6월호1974년4월호

      9 "실종된 1970년대, 퇴폐 혹은 불온?" (28) : 49-68, 2004

      10 "서태지 담론" 책이 있는 마을 2001

      1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황금가지 2002

      2 "환상 그리고 저항. 김진송·안영노·조봉진 혼돈과 질서》. 서울 현실문화연구." 1994

      3 "혼돈과 질서》. 서울 현실문화연구." 1994

      4 "한국대중가요사" 시공사 1998

      5 "한국 방송의 역사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3

      6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 세대, 그 갈등과 조화의 미학" 삼성경제연구소 2003

      7 "오늘날의 젊은 우상들《동아일보》1974년 4월 8일 굳어지는 70年代體質《동아일보》1974년 4월 22일 反文化와 통기타 사이《동아일보》1974년 7월 12일 70年代의 作家 새로운 世代論爭으로 이어지는 同質的이면서 異質的인 두 見解《동아일보》1974년 9월 13일 大學生들에 비친 오늘의 言論· 大學《조선일보》1974년 4월 18일 이상과 현실 사이의 猶橡 韓國靑年 문화의 구조와 상황《조선일보》1974년 5월 2일 旣成複製品의 젊음엔 來日이 없다《조선일보》1974년 5월 14일 통기타 청바지가 旗手는 될 수없다《조선일보》1974년 5월 15일 靑年文化 논쟁의 反省과 비판《조선일보》1974년 7월 12일 굿과 청년문화《조선일보》1974년 9월 29일 청바지 歌手도 할말 있다" [자료]일간신문《동아일보》1974년 3월 29일 一事一言 ‘청년문화’《조선일보》1974년 4월 20일 一事一言 ‘청년문화’《조선일보》1974년 6월 4일

      8 "심포지움 한국의 청년문화 특집 방황하는 젊은 세대 특집 젊은이와 삶의 스타일 청년문화와 그 스타일 靑年文化는 反文化인가" 24~28쪽.《월간중앙》 (119 228 63 147 73) : 1974년7월호1974년8월호1974년3-4월호1974년6월호1974년4월호

      9 "실종된 1970년대, 퇴폐 혹은 불온?" (28) : 49-68, 2004

      10 "서태지 담론" 책이 있는 마을 2001

      11 "새로운 方向 모색하는 靑年文化運動《大學新聞》1974년 6월 3일 特輯 靑年文化 그 是非를 가린다 ① 奴隸와 文化《大學新聞》1974년 6월 3일 特輯 靑年文化 그 是非를 가린다 ② 靑年文化는 反文化인가《大學新聞》1974년 6월 3일 特輯 靑年文化 그 是非를 가린다 ③ 韓國의 靑年文化에 대한 哲學的 定立이 可能한가?《高大新聞》1974년 4월 2일 GO GO를 춰봤자 . . .《高大新聞》1974년 4월 9일 靑바지와 기타《高大新聞》1974년 4월 22일 그는 우리의 대변자가 아니다《高大新聞》1974년 6월 11일 靑年文化의 第三意識《高大新聞》1974년 8월 1일 청바지는 갈대" 대학신문《大學新聞》1973년 6월 11일

      12 "사회성 멜로드라마. 《여성과 사회》" (3) : 1992

      13 "대한민국 뉴리더 2029 트렌드" 해냄 2006

      14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3

      15 "담론의 정치학과 담론분석" 2006

      16 "人口에 膾炙된 유행어로 살피는 시대의 흐름: 光復 50년의 말, 말, 말" 월간중앙 (228) : 162-191, 1995

      17 "The Sociology of Youth Cultures and Youth Subcultures in America" 1985

      18 "The Sixties, Cultural Revolution in Britain, France, Italy, and the United States c1958~1974"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9 "The Meaning of Style. London" 1979

      20 "Researching Life Stories and Family Histories" Sage Publications 2000

      21 "Political discourse in the media: An analytical framework" Blackwell 1998

      22 "Media Discourse" Edward Arnold 1995

      23 "IT와 신세대문화의 형성, 확산과정"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24 "Generations, Culture and Society" Open University 2002

      25 "Case Studies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News in the Press. Hove and London" 1988b

      26 "After Subculture: Critical Studies in Comtemporary Youth Culture" Palgrave Macmillan 2004

      27 "1970년대 한국 텔레비전의 일상화와 근대문화의 일상성: 근대적 민족국가에서의 삶의 방식과 심성체계 형성을 중심으로" 2003

      28 "1970년대 청년문화론" 역사비평사 2000

      29 "1970년대 청년문화구성체의 역사적 형성과정: 대중음악의 소비양상을 중심으로" 2001

      30 ". 담론 분석을 통해 본 세대문화론 청년문화론과 신세대론의 비교. 연세대 사회학과 석사논문." 1994

      31 ". 靑年文化는 反文化인가. 《월간중앙》73호" (4) : 1974

      32 ". 現代靑年文化의 諸問題. 《신동아》. 119호" 1974

      33 ". 奴婢와 文化.《대학신문》906호" 1974

      34 ". 《문화와 반문화》. 서울" 1979

      35 ". “그처럼 낯선 젊은 그들” 90년대 세대논의의 담화활용과 삼투-문화연구에 대한 몇 가지 불만과 대안적 모델의 건설 《언론문화연구》11집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1994

      36 ". The problem of generation. in Collected Works of Karl Mannheim. volume 5. pp.276~320. London" 1992

      37 ". The order of discourse. Shapiro" 1984

      38 ". The Language of News Media. Oxford" 1991

      39 ". Resistance through Rituals Youth Subcultures in Post-War Britain. HarperCollinsAcademic" 1976

      40 ". Out of the Six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1 ". On Record" 1990

      42 ". On Collective Memor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43 ". News as Discourse. Hove and London" 1988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론과 사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23 1.797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