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성의 관계적 본질과 교육인간학적 의의 = The Relational Nature of Motherhood and Its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7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모성의 정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관계적 본질을 고찰한 다음, 그에 근거한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모성은 여성이 어머니로서 자녀에게 가지는 본능이며 실질...

      이 연구는 모성의 정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관계적 본질을 고찰한 다음, 그에 근거한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모성은 여성이 어머니로서 자녀에게 가지는 본능이며 실질적인 양육 활동 속에서 학습되는 경험으로, 어머니가 아이와 맺는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모성은 인간을 탄생시키고, 그 생명을 보호하고 보존하며, 인간을 지적ㆍ정서적ㆍ신체적으로 양육한다. 모성은 생물학적 성(性)과 본질적인 동시에 비본질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모성과 재생산 가능성의 관계를 통하여 성별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을 이해하게 한다. 인간은 탄생성과의 관계를 통하여 이 세상에 태어나며, 어머니는 결핍된 상태로 낯선 시공간 속에 태어나는 아이를 돌봄으로서 모성을 실천한다. 유아는 모성적 돌봄이 행해지는 따뜻한 가정 속에서 자라나야 하며 그 경험이 발판이 되어 고유한 개별적인 존재로서 안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게 된다. 모성의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제시하면, 모성은 성(性)을 가진 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켜 주며, 탄생성과 그로 인한 교육의 책임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모성적 돌봄과 교육을 통해 인간이 자기완성에 이르게 하며, 개인화되고 물화(物化)된 현대사회에서 모성적 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motherho d, to examine the relational nature,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based on it. Motherho d is an instinct that a woman has for her child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motherho d, to examine the relational nature,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based on it. Motherho d is an instinct that a woman has for her child as a mother, and it is an experience that is learned through practical parenting activities, and is formed in a mother s relationship with her child. Motherho d creates humans, protects and preserves their lives, and raises humans intel ectual y, emotional y, and physical y. Motherho d has an es ential and non-es ential relationship with biological sex, and makes humans understand as beings with gende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 n motherho d and reproducibility. Humans are born in this worl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birth, and mothers practice motherho d as caring for children born in unfamiliar time and space in a state of deficiency. Infants must grow up in a warm family where maternal care is performed, and the experience becomes a stepping stone and can be stably independent as a unique individual being. Presenting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of motherho d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umans with sex and makes them aware of birth and the resulting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maternal care and education, humans reach self-completion. And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ternal relations in a personalized and materialized modern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모성의 이해 Ⅲ. 모성의 관계적 본질 Ⅳ. 모성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모성의 이해 Ⅲ. 모성의 관계적 본질 Ⅳ. 모성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doux, Michel, "프랑수아즈 돌토[Introduction A L'Oeuvre De Francoise Dolto]" 도서출판 숲 2003

      2 공병혜,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중앙철학연구소 46 : 95-127, 2017

      3 Lutkehaus, Ludger, "탄생철학: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Natalitӓt]" 이학사 2017

      4 공병혜, "칸트의 탄생철학과 부모의 의무" 한국칸트학회 (43) : 73-98, 2019

      5 김상록, "존재론적 차이와 존재론적 분리: 정신분석의 시차(視差)로 본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존재이해" 한국현상학회 (73) : 1-33, 2017

      6 Beauvoir, Simone, "제 2의 性[Le Deuxiѐme Sexe]" 을유문화사 1993

      7 강기수, "전래동화의 교육인간학적 기능" 한국교육사상학회 21 (21): 43-65, 2007

      8 Arendt, Hannah, "인간의 조건[The Human Condition]" 한길사 2020

      9 Bollnow, O. F., "인간과 공간[Mensch und Raum]" 에코리브르 2011

      10 "위키백과"

      1 Ledoux, Michel, "프랑수아즈 돌토[Introduction A L'Oeuvre De Francoise Dolto]" 도서출판 숲 2003

      2 공병혜,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중앙철학연구소 46 : 95-127, 2017

      3 Lutkehaus, Ludger, "탄생철학: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Natalitӓt]" 이학사 2017

      4 공병혜, "칸트의 탄생철학과 부모의 의무" 한국칸트학회 (43) : 73-98, 2019

      5 김상록, "존재론적 차이와 존재론적 분리: 정신분석의 시차(視差)로 본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존재이해" 한국현상학회 (73) : 1-33, 2017

      6 Beauvoir, Simone, "제 2의 性[Le Deuxiѐme Sexe]" 을유문화사 1993

      7 강기수, "전래동화의 교육인간학적 기능" 한국교육사상학회 21 (21): 43-65, 2007

      8 Arendt, Hannah, "인간의 조건[The Human Condition]" 한길사 2020

      9 Bollnow, O. F., "인간과 공간[Mensch und Raum]" 에코리브르 2011

      10 "위키백과"

      11 盧芝恩, "월경 경험과 문화적 금기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2 이진희, "완벽성의 강박에서 벗어나 '충분히 좋은 어머니(good-enough mother)'로-위니캇의 유아정서발달이론과 어머니노릇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3 (13): 35-75, 2013

      13 和田修二, "어린이의 인간학[子どもの人間學]" 아름다운 세상 1997

      14 이해리, "안아주기: 정신분석적 사랑의 기술" 한국목회상담학회 32 : 229-262, 2019

      15 Winnicott. D. W., "아이, 가족, 그리고 외부세계[The Child, the Family, and the Outside World]"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8

      16 우정길, "아렌트(H. Arendt) '탄생성'의 교육학적 수용 –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139-159, 2013

      17 Suransky, V. P., "아동기의 실종[The Erosion of Childhood]" 교보문고 2004

      18 Kant, Immanuel,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Anthropologie in pragmatischer Hinsicht]" 아카넷 2019

      19 임옥희, "신자유주의시대 모성의 정치경제학" 22 : 10-32, 2010

      20 Winnicott. D. W.,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The maturational Processes and The Facilitating Enviroment -Studies in the Theory Emotional Development-]"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21 김영옥, "새로 쓰는 '모성 신화': 여성 계보학의 재사유와 여성 리더십의 새로운 구성을 위하여" 한국여성연구원 22 (22): 23-52, 2005

      22 Ruddick, Sara, "모성적 사유: 전쟁과 평화의 정치학[Maternal Thinking: Toward a Politics of Peace]" 철학과 현실사 2002

      23 이경아, "모성에 대한 여성주의 재사유" 한국여성철학회 11 : 173-197, 2009

      24 "두산백과"

      25 Rich, Adrienne, "더 이상 어머니는 없다[Of Woman Born : Motherhood as Experience and Institution]" 평민사 2018

      26 "네이버 지식백과"

      27 "나무위키"

      2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9 Bollnow, O. F., "교육학에 있어서 인간학적 고찰방식[Die anthropologische Betrachtungsweise in der Pӓdagogik]" 형설출판사 1994

      30 이규호, "교육철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1955

      31 정혜영, "교육인간학" 학지사 2005

      32 Bollnow, O. F., "교육의 인간학[Pӓdagogik in Anthropologischer Sicht]" 문음사 1990

      33 Arendt, Hannah, "과거와 미래 사이[Between Past and Future]" 푸른숲 2005

      34 강기수, "O. F. Bollnow의 신뢰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11 : 1-15, 2002

      35 박승민, "Mahler의 분리-개별화 개념과 Chodorow의 이중적 동일시 개념을 통해 본 모성의 심리적 발달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 상담학적 함의"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8 (28): 87-117, 2017

      36 Alcoff, Linda M., "Gender and Reproduction"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4 (14): 7-27, 2008

      37 조희연, "Dolto와 Winnicott의 부모-유아 관계의 이해에 기초한 부모의 역할"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331-351, 2017

      38 Marilyn, Yalom, "A History of the Wife" Harper Collins Publishers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3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