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9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is a mainstream at university these days. This paper hopes to expose as fully as possible some of the problems implemented by most universities in their pursuit of providing a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is a mainstream at university these days. This paper hopes to expose as fully as possible some of the problems implemented by most universities in their pursuit of providing a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This paper also hopes to course correct the direction that core competency-based liberals arts education is taking.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adopted by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rogram for colleges. Following the ACE Project, the Ministry of Education now promotes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a policy index upon the diagnosis of a college’s fundamental competency. But competency-based education derived from external goals has created some problems, including the use of certain slogans, catch phrases, match-ups, formalism, an ideology for blind quantitative measurement, etc. In order to improve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it should first be internally justified; a 21st-century educational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by reflecting a core competency model; educa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on which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re integrated, should be universalized, and finally; changes in the very being of a person should be pursued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and mastery of the humanities.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should not be just another form of distortion that harms the ident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disturbs its norma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이 대세다. 이 글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문제점을 최대한 노출하면서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를 도출하고 나아가 핵심역량기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이 대세다. 이 글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문제점을 최대한 노출하면서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를 도출하고 나아가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핵심역량은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에 의해서 도입되었다. 교육부는 ACE 사업에 이어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역량기반교육을 정책지표로 유도하고 있다. 외재적 목적에 의한 역량교육은 캐치프레이즈식, 짜맞추기식, 형식주의, 측정주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을 내재적으로 정당화하고, 핵심역량 모델의 진화를 반영한 21세기 교육 프레임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인성, 지성, 역량이 균형있게 융합된 교육 체험 및 학습 경험을 보편화하고, 학생 개개인의 문리의 터득과 내공에 근거하는 존재의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핵심역량이 교양교육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정상화를 훼방 놓는 또 다른 왜곡이 되어서는 안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 자료"

      2 백승수, "한국 대학의 일반자유선택 교양교육 비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03-922, 2019

      3 황규호,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47-271, 2017

      4 윤정일,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5 손민호, "역량중심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01-121, 2011

      6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7 Nussbaum, M., "역량의 창조" 돌베개 2015

      8 김광민, "역량기반 교육의 매력과 한계" 한국도덕교육학회 20 (20): 171-197, 2009

      9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10 한혜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 분석 및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4, 2018

      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 자료"

      2 백승수, "한국 대학의 일반자유선택 교양교육 비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03-922, 2019

      3 황규호,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47-271, 2017

      4 윤정일,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5 손민호, "역량중심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01-121, 2011

      6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7 Nussbaum, M., "역량의 창조" 돌베개 2015

      8 김광민, "역량기반 교육의 매력과 한계" 한국도덕교육학회 20 (20): 171-197, 2009

      9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10 한혜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 분석 및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4, 2018

      11 김인영, "대학평가 및 재정지원사업의 교양교육 평가에 관한 의견, 2019년 하반기 대학 교양교육 컨설턴트 연수자료집"

      12 교육인적자원부, "대학의 교육력 향상 지원 방안" 2007

      13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14 손유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지원과 활용(2019)" 직업능력개발원 2019

      15 박영신,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567-595, 2017

      16 백승수, "대학생 핵심역량 개발 동향 및 과제" 한국성인계속교육연구회 77-88, 2015

      17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73-197, 2008

      18 Carnegie Foundation, "대학교육과정의 사명" 덕성여대 출판부 1986

      19 유지은, "국내 대학에서 핵심역량의 유형과 의미 탐색: ACE+ 사업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29-760, 2019

      20 김선, "교육의 차이 : 세계의 교육 강국, 그들은 어떻게 인재를 키우는가" 혜화동 2018

      21 김지현, "‘대학 역량기반 교육혁신' 담론의 교육학적 조건" 한국교육원리학회 15 (15): 87-126, 2010

      22 이근호,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조사에 따른역량중심 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3 Fadel, Charles, "4차원 교육 4차원 미래역량" 새로온 봄 2016

      24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5 백승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51, 2017

      26 Trilling, B., "21세기핵심역량: 이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스킬" 학지사 2012

      27 이미경, "21세기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OECD education 20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8 교육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설명회 자료집"

      29 교육부, "2018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기본계획" 2018

      30 교육부,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설명회 자료집"

      31 교육부, "2017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기본계획" 2017

      32 교육부, "2015년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시행계획" 2015

      33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도 대학 교육역량강화 사업기본계획"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