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병환, "혁신학교의 쟁점 탐색" 한국교육철학회 (65) : 33-52, 2017
2 홍은영, "하이돈의 ‘비판적 교육(Bildung)이론’의 특징과 현재성" 한독교육학회 23 (23): 113-133, 2018
3 정기섭,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 한국의 혁신교육, 다시 세계 진보교육을 말하다" 살림터 123-158, 2018
4 정혜영, "엘렌 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5 Reble, A., "서양교육사" 문음사 2005
6 정영근, "루소와 개혁교육학의 아동기 이해와 인격으로서의 어린이"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0 : 117-134, 2002
7 신춘호, "루소 아동교육론의 재고찰 : 자연의 두 의미" 초등교육연구원 23 (23): 1-17, 2012
8 정영수, "독일의 학교교육 개혁운동에 관한 연구" 5 (5): 39-62, 2000
9 유진영, "독일 청소년 문화운동과 교육개혁담론: 『안팡(Der Anfang)』지에 나타난 학교개혁 담론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57) : 91-118, 2016
10 정기섭, "독일 전원기숙사학교의 설립배경- 헤르만 리츠(H. Lietz)의 전원기숙사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97-114, 2005
1 이병환, "혁신학교의 쟁점 탐색" 한국교육철학회 (65) : 33-52, 2017
2 홍은영, "하이돈의 ‘비판적 교육(Bildung)이론’의 특징과 현재성" 한독교육학회 23 (23): 113-133, 2018
3 정기섭,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 한국의 혁신교육, 다시 세계 진보교육을 말하다" 살림터 123-158, 2018
4 정혜영, "엘렌 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5 Reble, A., "서양교육사" 문음사 2005
6 정영근, "루소와 개혁교육학의 아동기 이해와 인격으로서의 어린이"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0 : 117-134, 2002
7 신춘호, "루소 아동교육론의 재고찰 : 자연의 두 의미" 초등교육연구원 23 (23): 1-17, 2012
8 정영수, "독일의 학교교육 개혁운동에 관한 연구" 5 (5): 39-62, 2000
9 유진영, "독일 청소년 문화운동과 교육개혁담론: 『안팡(Der Anfang)』지에 나타난 학교개혁 담론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57) : 91-118, 2016
10 정기섭, "독일 전원기숙사학교의 설립배경- 헤르만 리츠(H. Lietz)의 전원기숙사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97-114, 2005
11 정영수, "독일 오덴발트(Odenwald)학교의 교육실천" 한국비교교육학회 13 (13): 21-39, 2003
12 오인탁, "대안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새로운 학교교육문화운동" 학지사 2006
13 홍사현, "니체의 문화비판과 고대 그리스 -문화의 계보학적 고찰-" 한국니체학회 (15) : 9-33, 2009
14 홍은영, "교육학적 사유를 여는 교육의 철학과 역사" 문음사 2019
15 정기섭, "개혁교육학의 사상적 기초와 루소" 20 : 167-179, 1998
16 최종인, "개혁교육학(Reformpädagogik)과 아동으로부터의 교육" 3 (3): 247-257, 1998
17 최재정, "개혁교육학" 학지사 2008
18 최치원,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해석학적 인문주의의 맥락에 비추어본 실천지향적 정치학의 가능성 탐구" 한독사회과학회 27 (27): 87-120, 2017
19 박주병, "『에밀』에 나타난 목적론적 자연개념의 교육학적 시사"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57-77, 2011
20 Borst, E., "Über die kritische Bildungstheorie Heinz-Joachim Heydorns" 55 : 17-29, 2017
21 Heydorn, H.-J., "Über den Widerspruch von Bildung und Herrschaft, Band 3" Büchse der Pandora 196-243, 2004
22 Bünger, C., "Zwischen Reformskeptizismus und Aufklärungsoptimismus. Heinz-Joachim Heydorn als bildungspolitischer und bildungsphilosophischer Grenzgänger" 55 (55): 30-45, 2017
23 Heydorn, H.-J., "Zu einer Neufassung des Bildungsbegriffs" Suhrkamp 54-68, 1972
24 Heydorn, H.-J., "Ungleichheit für alle - Zur Neufassung des Bildungsbegriffs. Bildungstheoretische Schriften Band 3" Syndikat 7-62, 1980
25 Borst, E., "Theorie der Bildung. Eine Einfürhung" Schneider Verlag Hohengehren 2009
26 Heydorn, H.-J., "Sozialistische Erziehung: “über den Menschen, der auf dem Wege ist”" 5 : 606-612, 1954
27 Heydorn, H.-J., "Realer Humanismus und humanistisches Gymnasium" 34 : 8-24, 2005
28 Koneffke, G., "Pädagogik im Übergang zur bürgerlichen Herrschaftsgesellschaft" Büchse der Pandora 1994
29 Bernhard, A., "Pädagogik als konkrete Kritik" Schneider Verlag 81-108, 2015
30 Furch, E., "Lebendige Reformpädagogik" 1995
31 Oelkers, J., "Landerziehungsheime und Reformpädagogik"
32 Montessori, M., "Kinder sind anders" Deutscher Taschenbuch Verlag 2000
33 Benner, D., "Heydorn lesen!" Ferdinand Schöningh 13-38, 2009
34 Euler, P., "Heydorn lesen!" Ferdinand Schöningh 39-54, 2009
35 Blankertz, H., "Die Geschichte der Pädagogik. Von der Aufklärung bis zur Gegenwart" Büchse der Pandora 2015
36 Sesink, W., "Bildungstheorie, Skript zur Vorlesung im Sommersemester TU Darmstadt"
37 Heydorn, H.-J., "Bildungstheoretische und pädagogische Schriften·1971-1974" Büchse der Pandora 56-145, 2004
38 Bernhard, A., "Bewusstseinsbildung. Einführung in die kritische Bildungstheorie und Befreiungspädagogik Heinz-Joachim Heydorns" Schneider Verlag 2014
39 Gamm, H.-J., "Allgemeine Pädagogik" Rowohlt 1979
40 최재정, "20세기 초 독일에서의 ‘개혁교육운동’과 ‘문화비판’" 한국교육철학학회 (28) : 229-247,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