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초연금 효과성에 대한 서사적 문헌 고찰 = A Narrative Review on Effectiveness of Basic Pen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36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초연금정책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PRISMA 2020에 기반하여 기초연금 효과를 실증분석한 학술논문 일체를 체계적으로 고찰했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이 도입된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출간된 논문들을 검토했으며, 기초연금의 효과로서 연구된 빈곤, 불평등, 소득, 소비, 경제활동, 부양부담(사적이전소득),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양적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기초연금정책의 효과성을 탐색했다. 선행연구는 대체로 기초연금이 노인들의 소득수준을 제고하고 빈곤 및 불평등 문제를 완화했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으나, 근로사업소득이나 사적이전소득 등이 감소하는 소득원간 구축효과로 인해 기초연금제도가 노인가구의 실제 경제 상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연금 선행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와 논의를 기반으로 기초연금제도에 대한 정책적, 행정적 함의를 도출한 후, 동 제도의 실무적 개선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기초연금정책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PRISMA 2020에 기반하여 기초연금 효과를 실증분석한 학술논문 일체를 체계적으로 고찰했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이 도입된 2014...

      본 논문은 기초연금정책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PRISMA 2020에 기반하여 기초연금 효과를 실증분석한 학술논문 일체를 체계적으로 고찰했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이 도입된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출간된 논문들을 검토했으며, 기초연금의 효과로서 연구된 빈곤, 불평등, 소득, 소비, 경제활동, 부양부담(사적이전소득),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양적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기초연금정책의 효과성을 탐색했다. 선행연구는 대체로 기초연금이 노인들의 소득수준을 제고하고 빈곤 및 불평등 문제를 완화했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으나, 근로사업소득이나 사적이전소득 등이 감소하는 소득원간 구축효과로 인해 기초연금제도가 노인가구의 실제 경제 상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연금 선행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와 논의를 기반으로 기초연금제도에 대한 정책적, 행정적 함의를 도출한 후, 동 제도의 실무적 개선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llowing the PRISMA 2020 guidelines, this paper systematically reviewed all scholarly articles that had empirically analyzed effects of the Basic Pension policy to comprehensively assess its effectiveness. This review included studies published from 2014, the year the Basic Pension was introduced, to 2024. By synthesizing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policy's effects on elderly poverty, inequality, income, consumption, economic activity, private transfer income, and quality of life, this paper examined its overall effectiveness. Previous research generally concludes that the Basic Pension has improved income levels of the elderly and alleviated poverty and inequality. However, some studies argued that the actual economic improvement for elderly households was minimal, as income substitution effects (e.g., reduced labor income or private transfers) diminished its impact. Drawing from main findings and discussions of prior studies, this paper deriv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Basic Pension policy and discussed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Following the PRISMA 2020 guidelines, this paper systematically reviewed all scholarly articles that had empirically analyzed effects of the Basic Pension policy to comprehensively assess its effectiveness. This review included studies published from ...

      Following the PRISMA 2020 guidelines, this paper systematically reviewed all scholarly articles that had empirically analyzed effects of the Basic Pension policy to comprehensively assess its effectiveness. This review included studies published from 2014, the year the Basic Pension was introduced, to 2024. By synthesizing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policy's effects on elderly poverty, inequality, income, consumption, economic activity, private transfer income, and quality of life, this paper examined its overall effectiveness. Previous research generally concludes that the Basic Pension has improved income levels of the elderly and alleviated poverty and inequality. However, some studies argued that the actual economic improvement for elderly households was minimal, as income substitution effects (e.g., reduced labor income or private transfers) diminished its impact. Drawing from main findings and discussions of prior studies, this paper deriv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Basic Pension policy and discussed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