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료의 pH 및 단백질 수준이 자돈의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H AND PROTEIN LEVELS ON GROWTH AND NUTRIENTS DIGESTIBILITY OF YOUNG PI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273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돈사료내 pH와 단백질 수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개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에서는 pH 수준이 자돈의 성장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총 150두의 자돈(L×D×LW ; 8.82㎏ BW 30 �...

      자돈사료내 pH와 단백질 수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개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에서는 pH 수준이 자돈의 성장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총 150두의 자돈(L×D×LW ; 8.82㎏ BW 30 ± 2일령)을 이용하여 1) pH 4.7, 2) pH 5.2, 3) pH 5.7 (basal diet), 4) pH 6.2, 5) pH 6.7의 다섯처리를 두었고, 시험 2에서는 pH와 단백질 수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50두의 자돈을 (L×D×LW ; 5.46㎏ BW) 2×3 요인법으로 배치하였다. (조단백질 = 21.5, 24.5%, 사료 pH = 4.5, 5.5, 6.5). 또한 소화율의 측정을 위하여 시험 1에는 25두, 시험 2에는 24두의 자돈에 T-cannular를 설치하였다. 시험 1에서 pH는 자돈의 성장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pH사료를 급이한 구에서 사료효율이 약간 좋은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회장 및 분소화율도 처리에 의한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시험 2에서는 낮은 pH 사료를 급이한 구에서 성장 및 사료효율이 개선되는 경향이 있었다 (P = 0.16). 사료효율은 단백질 수준에 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P<0.05), pH와 단백질 수준간의 상호작용이나 다른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회장 소화율도 단백질 수준에 의한 영향은 있었으나, pH의 효과는 methionine의 소화율에만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소화율은 pH에 의한 일정한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시험의 결과는 사료의 pH 조절효과는 자돈의 나이나 사료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암시하며,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자돈사료는 특별한 산성화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 pH and protein level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s digestibility in young piglets. In Exp. 1, a total of 150 piglets (Landrace × Duroc × Large White ; 8.82㎏ B W, 30 ± 2 d...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 pH and protein level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s digestibility in young piglets. In Exp. 1, a total of 150 piglets (Landrace × Duroc × Large White ; 8.82㎏ B W, 30 ± 2 days of age) were allotted into 5 treatments. Treatments were 1) pH 4.7, 2) pH 5.2, 3) pH 5.7 (basal diet), 4) pH 6.2 and 5) pH 6.7. In Exp. 2, the effect of dietary protein and diet pH level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was examined with 150 crossbreds Landrace × Duroc × Large White ; 5.46㎏ BW) piglets in 2 × 3 factorial arrangement. (21.5 and 24.5% CP and diet pH (4.5, 5.5 and 6.5)). Each treatment has 5 replications, 5 heads per replicate. For the digestibility determination, 25 pigs for Exp 1. and 24 pigs for Exp. 2. were fitted with simple T-cannula and individually fed the experimental diet. In Exp.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ny of the criteria measured. Pigs fed low pH diets showed slightly better feed efficienc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Both ileal and fecal nutrient digestibility were not different. A small difference was found in major amino acids digestibility, but there was no constant trend detected. In Exp. 2, pigs fed low pH diet showed a trend (P = 0.16) to grow faster than those fed high pH diet. Feed efficiency was affected by protein level (P<0.05). No other main effect was detected. Protein level affected the ileal digestibility of energy, dry matter, crude fat, methionine and threonine. The effect of pH was found only in methionine digestibility. No other main effect was found in ileal digestibility. It appeared that age of pigs and type of diet could greatly influence the effect of diet pH manipulation. Acidific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diets might have minimal effect when diet contained high portion of high quality feed ingredie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