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Nursing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Unit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76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and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the importance of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U Metropolitan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s aimed at enhancing care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in clinical settings.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etween September 2 and September 20, 2024, follow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 total of 188 ICU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ools on the characteristics of ICU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in the ICU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4.0 program, apply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aired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the ICU nurses’ awareness of good death was 2.98±0.31 out of 4 points. The average score of their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was 15.51±2.65 out of 21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their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4.06±0.41 out of 5 points.
      2. The changes in frequency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revealed that, among the 44 items, the greatest decrease in frequency occurred in physical nursing at 12.7% (22.2 people), followed by emotional nursing at 6.1% (10.7 people), social nursing and spiritual nursing at 1.3% (2.3 people). Conversely, the greatest increase in activity frequency was the social nursing at 35.4% (62 people), followed by spiritual nursing at 31.4% (55 people), emotional nursing at 14.9% (26 people), and physical nursing at 6.1% (10.6 people).
      3. The changes in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revealed that, among the 44 items, the areas that revealed a decrease in importance were physical nursing (t = 10.87, p < .001) and emotional nursing (t = 2.84, p = .005). Conversely, the areas that showed an increase in importance were spiritual nursing (t=-4.57, p<.001) and social nursing (t=-4.72, p<.001).
      4.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overall awareness of good death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ICU nurses.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b-factor of clinical symptoms according to the clinical career in ICU(t=3.13, p=.046).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making were identified based on age(t=-1.98, p=.049), marital status(t=-2.84, p=.005), and highest level of education(t=-2.23, p=.027).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based on the current workplace(t=2.42, p=.037). Lastly, the changes in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otal clinical career (t=6.62, p=.002) and clinical career in ICU (t=8.49, p<.001).
      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CU nurses'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r=.29, p<.001).
      6.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the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β=.26, p=.001) and clinical career in ICU (β=-.33, p=.002). These variables explained 14.8% of the variance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the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clinical career in ICU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o provide effective nursing care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ICU,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iscontinuation and end-of-life car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nursing activities based on clinical career in ICU.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protocols for the nursing care of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Such protocols will help ensure efficiency, consistency, and quality improvement in end-of-life care.

      Keywords: Intensive care unit nurses,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and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the importance of nursing activities for p...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and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the importance of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U Metropolitan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s aimed at enhancing care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in clinical settings.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etween September 2 and September 20, 2024, follow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 total of 188 ICU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ools on the characteristics of ICU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in the ICU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4.0 program, apply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aired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the ICU nurses’ awareness of good death was 2.98±0.31 out of 4 points. The average score of their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was 15.51±2.65 out of 21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their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4.06±0.41 out of 5 points.
      2. The changes in frequency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revealed that, among the 44 items, the greatest decrease in frequency occurred in physical nursing at 12.7% (22.2 people), followed by emotional nursing at 6.1% (10.7 people), social nursing and spiritual nursing at 1.3% (2.3 people). Conversely, the greatest increase in activity frequency was the social nursing at 35.4% (62 people), followed by spiritual nursing at 31.4% (55 people), emotional nursing at 14.9% (26 people), and physical nursing at 6.1% (10.6 people).
      3. The changes in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revealed that, among the 44 items, the areas that revealed a decrease in importance were physical nursing (t = 10.87, p < .001) and emotional nursing (t = 2.84, p = .005). Conversely, the areas that showed an increase in importance were spiritual nursing (t=-4.57, p<.001) and social nursing (t=-4.72, p<.001).
      4.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overall awareness of good death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ICU nurses.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b-factor of clinical symptoms according to the clinical career in ICU(t=3.13, p=.046).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making were identified based on age(t=-1.98, p=.049), marital status(t=-2.84, p=.005), and highest level of education(t=-2.23, p=.027).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based on the current workplace(t=2.42, p=.037). Lastly, the changes in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otal clinical career (t=6.62, p=.002) and clinical career in ICU (t=8.49, p<.001).
      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CU nurses'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r=.29, p<.001).
      6.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the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β=.26, p=.001) and clinical career in ICU (β=-.33, p=.002). These variables explained 14.8% of the variance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ortance of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the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clinical career in ICU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o provide effective nursing care for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ICU,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iscontinuation and end-of-life car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nursing activities based on clinical career in ICU.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protocols for the nursing care of patient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Such protocols will help ensure efficiency, consistency, and quality improvement in end-of-life care.

      Keywords: Intensive care unit nurses,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Perception of nurses' roles i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CU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U광역시 1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이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자료 및 간호 중재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4년 9월 2일부터 9월 20일까지 1개의 상급종합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총 188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특성(일반적 특성, 연명의료중단 결정 관련 특성),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에 관한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aired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98±0.31점이었다. 연명의 료결정에 대한 지식은 21점 만점에 평균 15.51±2.65점이었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06±0.41점이었다.
      2.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빈도 변화는 44개 항목 중 연명 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빈도의 감소가 가장 많은 영역은 신체 적 간호가 12.7%(22.2명)이었고, 정서적 간호가 6.1%(10.7명), 사회적 간호와 영적 간호가 1.3%(2.3명) 순이었다. 활동 빈도의 증가가 가장 많은 영역은 사회적 영역으 로 35.4%(62명)이었고, 영적 간호가 31.4%(55명), 정서적 간호가 14.9%(26명), 신체적 간호가 6.1%(10.6명)순으로 나타났다.
      3.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 변화에서는 신체적 간호 (t=10.87, p<.001)와 정서적 간호(t=2.84, p=.005)에서 중요도가 감소하였다. 반면, 영적 간호(t=-4.57, p<.001)와 사회적 간호(t=-4.72, p<.001)에서는 중요도가 증가 하였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연명의료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 과, 좋은 죽음인식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환자실 근무경력(t=3.13, p=.046)에 따라 하부요인인 임상증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명의료결정에 대 한 지식은 연령(t=-1.98, p=.049), 결혼상태(t=-2.84, p=.005), 최종학력(t=- 2.23, p=.02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 사 역할 인식은 근무부서(t=2.42, p=.037)에 따라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 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 변화는 총 근무경력(t=6.62, p=.002), 중환자실 근무경력 (t=8.4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는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9, p=<.001).
      6.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β=.26, p=.001)과 중환자실 근무경력(β =-.33, p=.002)이었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4.8%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일반적 특성 중 중환자실 근무경력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환자실에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에게 효 율적인 간호활동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 경력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간호활동의 중요도를 고려한 환자에 대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 도록 체계적인 연명의료 및 임종 간호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효율적인 간호 제공을 위해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 간호에 대한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

      주제어: 중환자실 간호사,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번역하기

      본 연구는 U광역시 1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이 연명의료중단을 결정...

      본 연구는 U광역시 1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이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자료 및 간호 중재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4년 9월 2일부터 9월 20일까지 1개의 상급종합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총 188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특성(일반적 특성, 연명의료중단 결정 관련 특성),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에 관한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aired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98±0.31점이었다. 연명의 료결정에 대한 지식은 21점 만점에 평균 15.51±2.65점이었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06±0.41점이었다.
      2.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빈도 변화는 44개 항목 중 연명 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빈도의 감소가 가장 많은 영역은 신체 적 간호가 12.7%(22.2명)이었고, 정서적 간호가 6.1%(10.7명), 사회적 간호와 영적 간호가 1.3%(2.3명) 순이었다. 활동 빈도의 증가가 가장 많은 영역은 사회적 영역으 로 35.4%(62명)이었고, 영적 간호가 31.4%(55명), 정서적 간호가 14.9%(26명), 신체적 간호가 6.1%(10.6명)순으로 나타났다.
      3.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 변화에서는 신체적 간호 (t=10.87, p<.001)와 정서적 간호(t=2.84, p=.005)에서 중요도가 감소하였다. 반면, 영적 간호(t=-4.57, p<.001)와 사회적 간호(t=-4.72, p<.001)에서는 중요도가 증가 하였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연명의료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 과, 좋은 죽음인식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환자실 근무경력(t=3.13, p=.046)에 따라 하부요인인 임상증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명의료결정에 대 한 지식은 연령(t=-1.98, p=.049), 결혼상태(t=-2.84, p=.005), 최종학력(t=- 2.23, p=.02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 사 역할 인식은 근무부서(t=2.42, p=.037)에 따라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 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 변화는 총 근무경력(t=6.62, p=.002), 중환자실 근무경력 (t=8.4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는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9, p=<.001).
      6.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β=.26, p=.001)과 중환자실 근무경력(β =-.33, p=.002)이었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4.8%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일반적 특성 중 중환자실 근무경력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환자실에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에게 효 율적인 간호활동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 경력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간호활동의 중요도를 고려한 환자에 대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 도록 체계적인 연명의료 및 임종 간호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효율적인 간호 제공을 위해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 간호에 대한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

      주제어: 중환자실 간호사,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i
      • 목차 ⅳ
      • List of Tables ⅵi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1
      • 국문 초록 i
      • 목차 ⅳ
      • List of Tables ⅵi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3. 용어 정의 6
      • II. 문헌고찰
      • 1.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8
      • 2. 좋은 죽음 인식 11
      • 3. 연명의료결정제도 및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14
      • 4.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17
      • III. 연구방법
      • 1. 연구 설계 20
      • 2. 연구 대상 21
      • 3. 연구 도구 22
      • 4. 자료 수집 및 윤리적 고려 25
      • 5. 자료 분석 방법 26
      • IV. 연구결과
      •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연명의료중단 관련 특성 27
      • 2.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정도 31
      • 3.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정도 33
      •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연명의료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 인식 차이 41
      •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연명의료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차이 44
      • 6.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연명의료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차이 47
      • 7.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연명의료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중요도 차이 49
      • 8.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지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 역할 인식,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 중요도 간의 상관관계 52
      • 9.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활동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54
      • V. 논의 56
      • VI. 결론 및 제언 65
      • 참고문헌 67
      • 부록
      • 1. 연구 참여 설명문 및 동의서 75
      • 2. 연구도구 77
      • 3. 도구 승낙서 85
      • 4. IRB 심의 결과 통지서 87
      • Abstract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