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textbooks in grades 3 and 4 between revision of the 2009 and revision 2015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9752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교육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9.224 판사항(6)

      • DDC

        371.9533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vi, 51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배진호
        참고문헌: 장 47-4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외형적 특징, 내용 체계, 단원 구성 및 교과서 체계, 삽화의 비교·분석을 통해 올해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가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 고찰하고자 한다.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이에 맞추어 하나의 예시적 교수·학습 자료로 그에 따른 교과서와 교육 자료들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교과서가 단순히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자료 중 하나라고 하더라도 학교 현장에서는 과학과 교과서가 학교 교육의 학습 자료로써 지닌 의미는 매우 크다.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적용될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의 체계와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비교·분석하는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3, 4학년 과학 교과서를 외형적 특징,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교과서의 단원 구성, 삽화를 비교 분석하기로 하였다.
      첫째, 외형적 특징을 비교·분석한 결과,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는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 비해 세로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쪽수가 20쪽 정도 줄어들어 두께가 얇아졌다. 이는 내용의 적정화를 이루고자 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을 충실히 반영한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교과서의 구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지구 두 개의 분야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로 다시 세분화 되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통합 단원을 신설하여 융합인재교육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는 기존의 중단원을 과감히 삭제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서의 삽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쪽 당 삽화 수는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 쪽 당 삽화 수에 비해 늘어났으며, 사진과 그림 자료의 비율이 높았다.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와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 모두 학습 안내와 자료 제공 역할의 삽화가 가장 많았고 생물 영역에 가장 많은 삽화가 배치되어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외형적 특징, 내용 체계, 단원 구성 및 교과...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외형적 특징, 내용 체계, 단원 구성 및 교과서 체계, 삽화의 비교·분석을 통해 올해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가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 고찰하고자 한다.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이에 맞추어 하나의 예시적 교수·학습 자료로 그에 따른 교과서와 교육 자료들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교과서가 단순히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자료 중 하나라고 하더라도 학교 현장에서는 과학과 교과서가 학교 교육의 학습 자료로써 지닌 의미는 매우 크다.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적용될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의 체계와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비교·분석하는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3, 4학년 과학 교과서를 외형적 특징,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교과서의 단원 구성, 삽화를 비교 분석하기로 하였다.
      첫째, 외형적 특징을 비교·분석한 결과,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는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 비해 세로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쪽수가 20쪽 정도 줄어들어 두께가 얇아졌다. 이는 내용의 적정화를 이루고자 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을 충실히 반영한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교과서의 구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지구 두 개의 분야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로 다시 세분화 되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통합 단원을 신설하여 융합인재교육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는 기존의 중단원을 과감히 삭제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서의 삽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쪽 당 삽화 수는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 쪽 당 삽화 수에 비해 늘어났으며, 사진과 그림 자료의 비율이 높았다.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와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 모두 학습 안내와 자료 제공 역할의 삽화가 가장 많았고 생물 영역에 가장 많은 삽화가 배치되어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s compiled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compiled by the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cience textbooks of 2015 revision curriculum applied from this year can be contributed to enhance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newly developed as an exampl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lthough textbooks are one of the example materials for realizing the curriculum, the meaning of science and textbooks as learning materials of school education is very big in school field. It is meaningful to study and compare and analyze the system and composition of the science and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o be applied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third, four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ion and 2015 revision curriculum with external features, curriculum content system, textbook composition and illustration.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ternal features, the scientific textbooks of 3rd and 4th grade revised in 2015 have longer length and shorter thickness of 20 pages than the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ion. This reflects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e appropriate content.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contents of curriculum contents and textbooks, two fields of materials, energy, life and earth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were changed to exercise, energy, material, life, Again subdivided. In addi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grate and integrate the unit and to engage in the training of convergent talent. In the 2015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we boldly deleted existing curriculum vitae.
      Third, the comparison of the textbooks of science textbooks showed that the number of illustrations per side of science textbooks in 3rd and 4th grade revised in 2015 increased compared with the number of illustrations per science textbook in 3rd and 4th grade in 2009, The ratio was high. The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ed 3rd and 4th grades had the most illustrations of learning guides and data providing roles and the most images were placed in the biological areas.
      In this study, the science textbooks of 3rd and 4th grade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were published in the first semester, and more accurate and in - depth study was made with the 3rd and 4th grade second and third grade textbooks and 5th and 6th grade textbooks ne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s compiled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compiled by the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s compiled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compiled by the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cience textbooks of 2015 revision curriculum applied from this year can be contributed to enhance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newly developed as an exampl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lthough textbooks are one of the example materials for realizing the curriculum, the meaning of science and textbooks as learning materials of school education is very big in school field. It is meaningful to study and compare and analyze the system and composition of the science and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o be applied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third, four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ion and 2015 revision curriculum with external features, curriculum content system, textbook composition and illustration.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ternal features, the scientific textbooks of 3rd and 4th grade revised in 2015 have longer length and shorter thickness of 20 pages than the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ion. This reflects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e appropriate content.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contents of curriculum contents and textbooks, two fields of materials, energy, life and earth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were changed to exercise, energy, material, life, Again subdivided. In addi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grate and integrate the unit and to engage in the training of convergent talent. In the 2015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we boldly deleted existing curriculum vitae.
      Third, the comparison of the textbooks of science textbooks showed that the number of illustrations per side of science textbooks in 3rd and 4th grade revised in 2015 increased compared with the number of illustrations per science textbook in 3rd and 4th grade in 2009, The ratio was high. The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ed 3rd and 4th grades had the most illustrations of learning guides and data providing roles and the most images were placed in the biological areas.
      In this study, the science textbooks of 3rd and 4th grade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were published in the first semester, and more accurate and in - depth study was made with the 3rd and 4th grade second and third grade textbooks and 5th and 6th grade textbooks ne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2
      • 3. 용어의 정의 2
      • 4. 연구의 제한점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2
      • 3. 용어의 정의 2
      • 4. 연구의 제한점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6
      • 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중점 12
      • 3.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성격과 역할 13
      • 4. 선행연구 고찰 14
      •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7
      • 1. 연구 절차 17
      • 2. 연구 대상 18
      • 3. 분석 방법 18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0
      • 1. 외형적 특징 20
      • 2. 교육과정 내용체계 30
      • 3. 학년별 단원의 수와 분량 33
      • 4. 과학 교과서 체제 36
      • 5. 과학 교과서 삽화 분석 40
      • Ⅴ. 결론 및 제언 45
      • 1. 결론 45
      • 2. 제언 46
      • 참고문헌 47
      • ABSTRACT 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