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성북구 동선동 점복촌을 사례로 시각장애인 역학사에 대한 배제와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의 사회공간적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포용도시 구현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63638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1-129(1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성북구 동선동 점복촌을 사례로 시각장애인 역학사에 대한 배제와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의 사회공간적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포용도시 구현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성북구 동선동 점복촌을 사례로 시각장애인 역학사에 대한 배제와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의 사회공간적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포용도시 구현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판수라 불렸던 시각장애인 역학사는 국가의 지원 하에 점복·독경을 행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미신타파의 대상이 되었다. 6·25 전쟁 후 서울 남산 자락과 종로 3가 등에 점복촌이 형성되었으나 도시정비사업으로 철거되고, 1970년대에 지가가저렴하고 유동인구가 많던 미아리 고개 주변에 점복촌이 형성되었다. 1990년대 말까지 동선동에서 점자도서관설립 반대, 전통거리 조성 사업의 무산, 역학원 운영에 대한 주민과의 마찰과 같은 사회공간적 차별과 배제가 나타났다. 2010년 이후에는 시각장애인의 점복·독경에 대한 법적·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도시재생활동을 통해 점복촌이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장소 자산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지역 통합과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는, 배제를 극복하기 위한 공간적 전략으로서의 점복촌 형성 등 시각장애인 역학사 개인 및 집단 차원에서 전개한 주체적노력과 지역공동체 중심의 재생활동에 의한 것으로서, 이는 포용도시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수행적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ocio-spatial meanings of relational changes from exclusion to inclusion of visually impaired diviners in Dongseon-dong, Seongbuk-gu, Seoul in order to show the potential to realize an inclusive city. The blind diviners of the ...
This study examines the socio-spatial meanings of relational changes from exclusion to inclusion of visually impaired diviners in Dongseon-dong, Seongbuk-gu, Seoul in order to show the potential to realize an inclusive city. The blind diviners of the Joseon Dynasty were financially stable and socially trusted with national recogni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however, they were discriminated and excluded for being superstitious.
Fortune-tellers’ villages, formed in Namsan areas and Jongno 3-ga in Seoul after the Korean War, were demolished for city maintenance plans in the 1960s. Owing to low land prices and high accessibility, Dongseondong, called as Mia-ri Hill, became visually impaired diviners’ village in the 1970s. It was the subject of discrimination until the late 1990s, which included a social oppos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Braille Library, the failure of the so-called ‘Traditional Culture Street’ building project, and conflicts between residents and fortune-tellers. Nevertheless, since 2010, not only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blind diviners’ ritual of fortune-telling and reading scriptures but also community regeneration activities have made Donseon-dong as places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Relational changes toward socio-spatial integration have been based on self-directed efforts developed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of blind diviners to overcom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s well as on regenerative activities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which have played a role in sharing the vision of an inclusive city.
참고문헌 (Reference)
1 경향신문, "확대도로 개통"
2 경향신문, "현대화의 숲에 쌓인 남산"
3 최병두, "현대사회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02
4 이영아, "한국의 빈곤층 밀집 지역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45-56, 2015
5 신명호, "한국사회의 새로운 빈곤 혹은 사회적배제" 67 : 160-170, 2004
6 백남중, "한국맹인근대사" 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 2004
7 김만태, "한국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 한국역사민속학회 (28) : 245-280, 2008
8 변미리, "포용도시를 향하여_서울형 포용도시 지표개발과 포용성 진단" 서울연구원 2017
9 조권중, "포용도시 서울’ 성과와 과제" 서울연구원 2017
10 문정호, "포용도시 등장과 배경의 의미" 582 : 22-25, 2017
1 경향신문, "확대도로 개통"
2 경향신문, "현대화의 숲에 쌓인 남산"
3 최병두, "현대사회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02
4 이영아, "한국의 빈곤층 밀집 지역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45-56, 2015
5 신명호, "한국사회의 새로운 빈곤 혹은 사회적배제" 67 : 160-170, 2004
6 백남중, "한국맹인근대사" 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 2004
7 김만태, "한국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 한국역사민속학회 (28) : 245-280, 2008
8 변미리, "포용도시를 향하여_서울형 포용도시 지표개발과 포용성 진단" 서울연구원 2017
9 조권중, "포용도시 서울’ 성과와 과제" 서울연구원 2017
10 문정호, "포용도시 등장과 배경의 의미" 582 : 22-25, 2017
11 박인권, "포용도시 : 개념과 한국의 경험" 한국공간환경학회 25 (25): 95-139, 2015
12 동아일보, "폐습 (3) 점"
13 이소정, "판자촌에서 쪽방까지-우리나라 빈곤층 주거지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9) : 167-208, 2006
14 林山智順, "조선의 점복과 예언" 동문선 1990
15 Bishop, I. B.,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집문당 2000
16 경향신문, "점장이촌 철거 남산 공원 입구…도시미화 따라"
17 한겨레신문, "점자도서관 개관식 감격"
18 이기태, "점복촌의 역사적 실태 연구" 한국무속학회 (13) : 233-271, 2006
19 이찬영, "점복 맹인의 직업과 그 단체의 유래" 대한맹인역리학회 1991
20 신유리,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개념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사회적 배제에서 포함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5-28, 2013
21 김동기,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개념화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7) : 129-147, 2012
22 김진우,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의 의의와 한국사회에의 함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6) : 183-209, 2007
23 이방원, "일제하 미신에 대한 통제와 일상생활의 변화" 동양고전학회 (24) : 281-314, 2006
24 오충원,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지도의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6 (46): 201-212, 2012
25 권규상,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보행자 내비게이션 개발을 위한 공간정보 분류 및 제공방식" 한국지도학회 13 (13): 95-111, 2013
26 "소리사주"
27 동아일보, "세계 점성가 한자리에"
28 "성북마을"
29 동아일보, "성북區「點字도서관」개관"
30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고시 제 2017-3호"
31 "서울특별시 항공사진 서비스"
32 김걸, "서울시 빈곤층의 공간분포패턴 변화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20 (20): 61-71, 2017
33 서울특별시, "서울시 미래유산 보전 종합계획(안)"
34 "서울미래유산"
35 동아일보, "서울25시 <12> ‘운세’ 알아보는 성시 점술거리"
36 손태도, "서울 지역 맹인 독경의 역사와 그 특징" 한국역사민속학회 (22) : 333-398, 2006
37 매일경제, "서리맞는 점장이 촌" 매일경제, 1972년 8월 17일 1972
38 Pain, R., "사회지리학의 이해" 푸른길 2008
39 문진영,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연구-프랑스, 영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53-277, 2004
40 심창학, "사회적 배제와 사회복지 정책적 접근" 19 : 13-54, 2004
41 공윤경, "사회적 배제 극복을 위한 소셜믹스정책과 대안 주거운동" 한국도시지리학회 19 (19): 31-42, 2016
42 심창학, "사회적 배제 개념의 의미와 정책적 함의: 비교관점에서의 프랑스를 중심으로" 44 : 178-208, 2001
43 남찬섭, "사회적 모델의 실현을 위한 장애정의 고찰: 현행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장애정의의 수정을 위하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61-187, 2009
44 김안나, "사회 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45 이영아, "빈곤지역 유형별 빈곤층 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61-74, 2012
46 조용재, "미아리 점성촌 재개발 계획안: 시각장애인을 위한 외부공간 조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3
47 황상훈, "미아리 고개 일대 역사·문화적 가치활용방안 연구" 성북구청 2016
48 동아일보, "미아리 고개 새 모습으로"
49 박수진, "미아리 고개" 성북문화원 2014
50 삼안건설기술공사, "미아로 확장공사 설계변경용역 실시설계보고서" 성북구청 1994
51 신지선, "미래를 보는 미아리 고개" 스페이스오뉴월 2015
52 김난주, "문화전통의 계승과 시각장애인 직업재활 측면에서 본 맹인 점복업"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9 (19): 35-54, 2009
53 김수현, "무허가 정착지 정책과 국가 역할: 서울, 홍콩, 싱가포르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9 (19): 35-61, 2011
54 이용범, "무속에 대한 근대 한국사회의 부정적 시각에 대한 고찰" 한국무속학회 (9) : 151-180, 2005
55 동아일보, "무당·점장이 단속령 충남도경"
56 김호중, "동선동 점성촌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상복합 계획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57 "독립신문, 1896년 5월 7일"
58 "독립신문 검색 시스템"
59 정인철, "도시정책논리에 의한 사회공간적 배제 : 프랑스 ZUS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2 (42): 63-81, 2007
60 박인권,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한국공간환경학회 26 (26): 109-158, 2016
61 "대한시각장애인역리학회"
6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63 요시무라 미카, "근현대 점복촌의 민속학적 연구: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5
64 이익섭,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의 의의와한계: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를 중심으로" 13 : 1-27, 2005
65 최병두, "관계적 공간과 포용의 지리학" 대한지리학회 52 (52): 661-682, 2017
66 매일신보, "濟生院(제생원) 맹아부개시"
67 "朝鮮總督府官報, 1912년 3월 25일"
68 "朝鮮總督府官報, 1911년 6월 3일"
69 朝鮮總督府濟生院, "朝鮮盲啞者統計要覽"
70 朝鮮總督府濟生院, "朝鮮盲啞者統計要覽"
71 주윤정, "慈善과 慈惠의 競合: 식민지기 ‘盲人’ 사회사업과 타자화 과정" 한국사회사학회 (80) : 141-174, 2008
72 서울특별시, "‘서울 속 마을여행’ 실행계획"
73 주윤정, "‘맹인’ 점복업 조합을 통해 본 소수자의 경제활동" 한국사연구회 (164) : 125-155, 2014
74 Kitchin, "‘Out of Place,’ ‘KnowingOne’s Place’: Space, power and the exclusion of disabled people" 13 (13): 343-356, 1998
75 중앙일보, "[2000 서울탐험] 미아리 고개 점집"
76 UNCHS (Habitat), "UNCHS (Habitat): the global campaign for good urban governance" 12 (12): 197-202, 2000
77 Oliver, M., "The individual and social models of disability" 1990
78 Atkinson, R.,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in the European Union: context, development and possibilities" 38 (38): 427-448, 2000
79 Gerometta, J., "Social innovation and civil society in urban governance strategies for inclusive city" 42 (42): 2007-2021, 2005
80 Kearns, A., "Social cohesion and multilevel urban governance" 37 (37): 995-1017, 2000
81 Silver, 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Solidarity:Three Paradigms" 133 : 531-578, 1994
82 Jahnukainen, M., "Risk factors and survivals routes: social exclusion as a life-historical phenomenon" 20 (20): 669-682, 2005
83 OECD, "Promoting inclusive growth: Challenges and polices" 2012
84 MacFarlane, R., "Introducing Social Geographies" Arnold 2001
85 UN-Habitat, "Inclusive Cities, Habitat III Issue Paper" 2015
86 World Bank, "Inclusive Cities Approach Paper" GSURR 2015
87 Gleeson, B., "Geographies of Disability" Routledge 1999
88 UPIAS, "Fundamental Principles of Disability"
89 O’Grady, A., "Disability, social exclusion and the consequential experience of justiciable problems" 19 (19): 259-217, 2004
90 Imri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Blackwell 2000
91 Berghman, J., "Beyond The Threshold: The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Policy Press 10-28, 1995
92 Room, G., "Beyond The Threshold: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Policy Press 1995
93 OECD, "All on Board: Making Inclusive Growth Happen" 2015
내국인 이주자의 출발지와 도착지로 본 인천시로의 이주 경향
투표소 접근의 형평성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간 최적화 모형
인구 변화와 이주의 발생학적 이해: 캐나다 이누이트를 사례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1 | 1.261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