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eter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력 고찰 = A Study of Literary Imagination Implied in the Biographical Picturebooks Created by Peter 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51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pect of literary imagination implied in the biographical picturebooks created by Peter S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4 biographical picturebooks. For the data analysis, the components of the picturebooks and literary imagination were used as an analysis frame through the hermeneutic circulation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spect of literary imagination implied in Sis’s biographical picturebooks are the great man’s worldview represented by repetition of motifs, voluntary reading induced by double spread and vignettes, a map transited into specific chronotope as a visual code, discontinuous story by multilayered narratives and multiple focuses, and a fantastic image of cultural entangl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literary imagination is important factors improving the quality of biographical picturebooks and adding educational significance, encouraging young readers’ interaction with books and voluntary reading, and empathy and reference to a great lif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pect of literary imagination implied in the biographical picturebooks created by Peter S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4 biographical picturebooks. For the data analysis, the components of the p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pect of literary imagination implied in the biographical picturebooks created by Peter S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4 biographical picturebooks. For the data analysis, the components of the picturebooks and literary imagination were used as an analysis frame through the hermeneutic circulation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spect of literary imagination implied in Sis’s biographical picturebooks are the great man’s worldview represented by repetition of motifs, voluntary reading induced by double spread and vignettes, a map transited into specific chronotope as a visual code, discontinuous story by multilayered narratives and multiple focuses, and a fantastic image of cultural entangl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literary imagination is important factors improving the quality of biographical picturebooks and adding educational significance, encouraging young readers’ interaction with books and voluntary reading, and empathy and reference to a great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위인 그림책의 문학성 제고를 위해 방대하고 복잡한 위인의 이야기를 탁월한 독창성과 창의력으로 접근한 점을 높이 평가받고 있는 Peter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Sis의 작품 중 위인 그림책 4권을 선정하고 그림책의구성요소와 문학적 상상력의 구성요소를 분석틀로 하여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Peter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력의 양상은 모티프의 반복에 의한 위인의 세계관표상, 자발적 읽기로 이끄는 양면펼침의 그림과 비네트, 특정 크로노토프로 전환하는 시각적 코드로서의 지도, 동시적 다중내러티브와 다중초점화로 인한 불연속적 이야기, 문화적 얽힘의 환상적이미지 등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력은위인 그림책의 문학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책에 대한 독자의 상호작용 유도, 자발적 읽기 격려, 위대한 삶에 대한 공감과 참조 등의 교육적 의의를 갖는 주요 요인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위인 그림책의 문학성 제고를 위해 방대하고 복잡한 위인의 이야기를 탁월한 독창성과 창의력으로 접근한 점을 높이 평가받고 있는 Peter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

      본 연구는 위인 그림책의 문학성 제고를 위해 방대하고 복잡한 위인의 이야기를 탁월한 독창성과 창의력으로 접근한 점을 높이 평가받고 있는 Peter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Sis의 작품 중 위인 그림책 4권을 선정하고 그림책의구성요소와 문학적 상상력의 구성요소를 분석틀로 하여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Peter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력의 양상은 모티프의 반복에 의한 위인의 세계관표상, 자발적 읽기로 이끄는 양면펼침의 그림과 비네트, 특정 크로노토프로 전환하는 시각적 코드로서의 지도, 동시적 다중내러티브와 다중초점화로 인한 불연속적 이야기, 문화적 얽힘의 환상적이미지 등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력은위인 그림책의 문학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책에 대한 독자의 상호작용 유도, 자발적 읽기 격려, 위대한 삶에 대한 공감과 참조 등의 교육적 의의를 갖는 주요 요인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향분, "유아들의 정보그림책 읽기과정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25-244, 2009

      2 김금희, "위인 그림책 주인공이 어린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는 메시지"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2) : 93-114, 2007

      3 주형일, "영상매체와 사회" 한울아카데미 2004

      4 백승화, "어린이 그림책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35-155, 2012

      5 Vygotsky, L, "아동의 상상력과 창조" 창지사 1999

      6 김영한, "세계관에 대한 철학적 성찰: 기독교적 관점에서" 8 : 1-31, 2009

      7 김용선, "상상력을 위한 교육학 - 바슐라르를 중심으로" 인간사랑 1991

      8 정현선,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우리말교육현장학회 8 (8): 61-93, 2014

      9 이형권, "문학적 상상력의 토대에 관하여" 29 : 409-423, 1997

      10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 심향분, "유아들의 정보그림책 읽기과정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25-244, 2009

      2 김금희, "위인 그림책 주인공이 어린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는 메시지"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2) : 93-114, 2007

      3 주형일, "영상매체와 사회" 한울아카데미 2004

      4 백승화, "어린이 그림책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35-155, 2012

      5 Vygotsky, L, "아동의 상상력과 창조" 창지사 1999

      6 김영한, "세계관에 대한 철학적 성찰: 기독교적 관점에서" 8 : 1-31, 2009

      7 김용선, "상상력을 위한 교육학 - 바슐라르를 중심으로" 인간사랑 1991

      8 정현선,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우리말교육현장학회 8 (8): 61-93, 2014

      9 이형권, "문학적 상상력의 토대에 관하여" 29 : 409-423, 1997

      10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1 McCloud, S, "만화의 이해" 비즈앤비즈 2012

      12 박선희, "그림책의 재미 요소 탐구: 유아의 반응을 중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95-122, 2016

      13 정근수,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1-30, 2017

      14 이지유, "과학 논픽션 그림책에 관하여: 내가 만든 과학 논픽션 그림책을 중심으로" 40 (40): 22-33, 2015

      15 Bachelard, G, "공기와 꿈: 운동에 관한 상상력 시론" 이학사 2001

      16 Norton, D. E., "Through the eyes of a child: An introduction to children’s literature" Prentice-Hall 2006

      17 Nodelman, P., "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 Longman 1996

      18 Holmes, R., "The art of literary biography" Clarendon 15-25, 1995

      19 Murray-Kendall, P., "The art of biography" Allen and Unwin 1965

      20 Latham, D., "Radical visions: Five picture books by Peter Sis" 31 (31): 179-193, 2000

      21 Dresang, E. T., "Radical change: Books for youth in a digital age" H. W. Wilson 1999

      22 Bieger, E. M., "Promot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 literature-based approach" 49 (49): 308-312, 1995

      23 Morgan, H., "Picture book biographies for young children: A way to teach multiple perspectives" 37 (37): 219-227, 2009

      24 Scharioth, B., "Peter Sis: A quest for a life in truth" 47 (47): 29-41, 2009

      25 Trites, R. S., "Manifold narratives: Metafiction and ideology in picture books" 25 (25): 225-242, 1994

      26 Kress, G.,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Routledge 2003

      27 "IBBY"

      28 Parsons, M. J., "How we understand art: A cognitive developmental account of aesthetic exper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9 Nikolajeva, M., "How picturebooks work" Routledge 2001

      30 Page, E., "Focus IBBY: Peter Sis 2012 Hans Christian Andersen Illustrator Award Winner" 51 (51): 100-102, 2013

      31 Pantaleo, S., "Exploring student response to contemporary picturebook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9

      32 Markova, I., "Chronotopes" 26 (26): 117-138, 2020

      33 Kraft, C. H., "Christianity in culture: A study in dynamic biblical theologizing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Orbis Book 1979

      34 Cantavella, A. J., "Between fiction and reality : Maps and cartographic logic in the works of Peter Sis" 48 : 39-55, 2017

      35 Nikolajeva, M., "Aes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An introduction" Scarecrow Pres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