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 교과서의 학습 목표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 Analysis on the Learning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0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in accordance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examine which characteristics are show. For this study, 99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objectives are classed as the "conceptual knowledge" category and the "understand" category. This shows one-sided phenomenon of learning objectives categories. In the knowledge dimension, the highest categories is "conceptual knowledge", followed by "proceduarl knowledge", "factual knowledge". There were not the "meta-cognitive knowledge" categories.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 and "apply" were high, while "analyze", "evaluate", ‘create" were very low.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apability on creative and critical communication and develop higher thinking skills, it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aise awareness of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pay more attentions to a variety of educational objective categorie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in accordance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examine which characteristics are show. For this study, 99 learning ob...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in accordance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examine which characteristics are show. For this study, 99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objectives are classed as the "conceptual knowledge" category and the "understand" category. This shows one-sided phenomenon of learning objectives categories. In the knowledge dimension, the highest categories is "conceptual knowledge", followed by "proceduarl knowledge", "factual knowledge". There were not the "meta-cognitive knowledge" categories.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 and "apply" were high, while "analyze", "evaluate", ‘create" were very low.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apability on creative and critical communication and develop higher thinking skills, it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aise awareness of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pay more attentions to a variety of educational objective categor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숙, "제 7차 초·중등 생물 교육과정의 수업 목표 분석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52-62, 2008

      2 김옥남,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분류학 비교" 안암교육학회 12 (12): 165-189, 2006

      3 나동진, "인지적 교육목표의 분류-하나의 대안" 한국교육과정학회 18 (18): 181-200, 2000

      4 한철우, "국어(상) ․ (하)" 비상교육 2011

      5 오세영, "국어(상) ․ (하)" 해냄에듀 2011

      6 민현식, "국어(상) ․ (하)" 좋은책 신사고 2011

      7 문영진, "국어(상) ․ (하)" 창비 2011

      8 Anderson, L. W.,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1

      9 DeVito, B., "Characterising in two science classrooms by the cognitive processes demonstrated by student and teachers" Marst. Harvard University 2005

      10 이은영,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1-12, 2012

      1 이혜숙, "제 7차 초·중등 생물 교육과정의 수업 목표 분석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52-62, 2008

      2 김옥남,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분류학 비교" 안암교육학회 12 (12): 165-189, 2006

      3 나동진, "인지적 교육목표의 분류-하나의 대안" 한국교육과정학회 18 (18): 181-200, 2000

      4 한철우, "국어(상) ․ (하)" 비상교육 2011

      5 오세영, "국어(상) ․ (하)" 해냄에듀 2011

      6 민현식, "국어(상) ․ (하)" 좋은책 신사고 2011

      7 문영진, "국어(상) ․ (하)" 창비 2011

      8 Anderson, L. W.,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1

      9 DeVito, B., "Characterising in two science classrooms by the cognitive processes demonstrated by student and teachers" Marst. Harvard University 2005

      10 이은영,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1-12, 2012

      11 김현정,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고등학교 국어과 단원목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신진걸,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지리 수업목표의 진술과 평가의 실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129-144, 2008

      13 Miller, A. D., "Applying Bloom's revised taxonomy within the framework of teaching for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stud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and practice higher-level 70cognitive processes" Marst. Kalamazoo Colleage 2004

      14 육경민,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 수업목표 분석 -가정과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9 (59): 913-938, 2011

      15 교육과학기술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