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단독가구의 소득계층별 소득구성과 소비 격차 = Income Composition and Expenditure Inequality of the Elderly Household by Income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6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통계청의 2013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60세 이상 노인 독신가구와 부부가구의 빈곤층과 중산층 규모를 파악하고, 소득계층별 소득과 소비지출 차이와 순자산변동과 소득원이 소비...

      통계청의 2013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60세 이상 노인 독신가구와 부부가구의 빈곤층과 중산층 규모를 파악하고, 소득계층별 소득과 소비지출 차이와 순자산변동과 소득원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인가구의 약 35%는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의 절대적 빈곤, 약 56%는 상대적 빈곤 상태에 놓여 있으며, 중산층은 약 41%로 나타났다. 노인가구의 소득계층 사이에 소득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소득원은 재산소득, 근로 및 사업소득, 공적연금이며, 소득계층별로 주요 소득원은 빈곤층은 공적부조와 사적 이전소득, 중산층은 근로 및 사업소득, 상층은 근로 및 사업소득과 공적연금 소득이다. 중산층은 빈곤가구에 비하여 평균 연령이 낮고 취업한 노인의 비율이 높으며 주된 소득원은 근로소득이어서 중산층 노인의 상당수가 근로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빈곤층으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가계경제를 압박하는 주요 지출부담 요인은 빈곤층은 의료 및 건강 관련 비용, 중산층은 돌봄 및 가사서비스 비용으로 나타났다. 상층은 교통비와 사회적 지출 수준은 높지만 이외의 기본적인 생활유지 면에서는 절제된 소비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 단독가구의 소비 증가와 관련이 있는 주요 소득원은 비경상소득과 공적연금이며, 특히 순자산의 증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2013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collected by Statistics Korea,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s of elderly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Elderly household was defined as elderly singles or couples with both spouses aged 60 year...

      Using the 2013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collected by Statistics Korea,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s of elderly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Elderly household was defined as elderly singles or couples with both spouses aged 60 years or more without any other household members. About 35% of elderly households lived in absolute poverty, about 56% in relative poverty, and about 41% in middle class. The income sources which made income difference among the income classes were asset, wages/profits, and public pension. Therefore withdrawing from the labor force, currently working elderly of middle income class was at great risk of poverty. Elderly households in poverty bore higher burden of health and medical care expenses, while caring and household service expenditures were more burdensome for elderly in the middle income class compared to other income classes. Elderly households in upper income class spent higher proportion of their income on transportation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other income classes, but seemed to live frugally meeting the other basic living expenses. The level of consumption expenditu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anges of net worth and particular income sources such as non-regular income and public pen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통계설명자료"

      2 김군수, "중고령층 소비둔화의 원인과 대책" 경기개발연구원 2013

      3 장지연, "중고령자 가구의 소득수준과 소득구성의 특징" 36 : 3-11, 2007

      4 정운영, "저소득 노인가계와 고소득 노인가계의 소비지출구조 및 결정요인의 비교"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21-48, 2010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3-2040"

      6 김지훈, "이전소득의 빈곤 및 소득불평등 감소효과: 독거 및 부부노인가구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135-159, 2015

      7 윤재호, "은퇴와 가계소비간 관계 분석" (417) : 2010

      8 김수완,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구성 및 빈곤율 분석-가구유형별 근로소득과 공적연금소득의 비중 및 빈곤제거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9) : 5-37, 2006

      9 이주미,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 및 자산빈곤 실태와 정책방안" 212 (212): 64-73, 2014

      10 강성호, "연금자산 존재 및 형태의 노인가구 소비행태에 대한 효과" 한국경제통상학회 29 (29): 87-114, 2011

      1 통계청, "통계설명자료"

      2 김군수, "중고령층 소비둔화의 원인과 대책" 경기개발연구원 2013

      3 장지연, "중고령자 가구의 소득수준과 소득구성의 특징" 36 : 3-11, 2007

      4 정운영, "저소득 노인가계와 고소득 노인가계의 소비지출구조 및 결정요인의 비교"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21-48, 2010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3-2040"

      6 김지훈, "이전소득의 빈곤 및 소득불평등 감소효과: 독거 및 부부노인가구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135-159, 2015

      7 윤재호, "은퇴와 가계소비간 관계 분석" (417) : 2010

      8 김수완,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구성 및 빈곤율 분석-가구유형별 근로소득과 공적연금소득의 비중 및 빈곤제거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9) : 5-37, 2006

      9 이주미,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 및 자산빈곤 실태와 정책방안" 212 (212): 64-73, 2014

      10 강성호, "연금자산 존재 및 형태의 노인가구 소비행태에 대한 효과" 한국경제통상학회 29 (29): 87-114, 2011

      11 석재은,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격차 및 소득원 차이와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27 (27): 1-22, 2007

      12 김지경, "성별 은퇴사유와 은퇴 후 소득 비교" 한국사회보장학회 21 (21): 55-76, 2005

      13 구인희,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빈곤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48 : 82-112, 2002

      14 백학영, "빈곤지위와 가구유형에 따른 노인가구의 소비특성 차이 분석" 한국노년학회 30 (30): 911-931, 2010

      15 김학주, "비노인가구의 소비불평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141-161, 2006

      16 김대일, "불평등도 지표로서의 소득과 소비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77-102, 2007

      17 강성호, "부양의식 및 공적이전소득의 사적이전소득 구축효과와 소득보장효과" 한국재정정책학회 13 (13): 113-144, 2011

      18 김영숙, "도시 빈곤노인 가계의 경제적 생활수준에 관한 연구 - 일반가계, 일반노인 가계 및 빈곤노인 가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13 (13): 5-150, 2002

      19 김희삼, "노후보장을 위한 가족, 정부, 사회의 역할" 한국개발연구원 2015

      20 김희삼, "노후보장을 위한 가족, 정부, 사회의 역할" 한국개발연구원 2015

      21 석상훈, "노인빈곤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생애 근로이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5 (5): 99-124, 2012

      22 석상훈, "노인빈곤의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5 (25): 77-99, 2009

      23 이소정, "노인가구의 소비불평등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235-260, 2009

      24 최효미, "노인가구의 소득 원천" 2007 (2007): 69-79, 2007

      25 신혜리,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40 (40): 117-138, 2014

      26 정영숙, "노인가계의 소비패턴과 복지정책적 함의" 11 (11): 59-74, 2000

      27 최옥금, "노인 가구의 소비지출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277-296, 2011

      28 이소정, "노년기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다차원적 구조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29 이용우, "국가 간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 노인빈곤 심각성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8) : 291-318, 2014

      30 전승훈, "공적이전소득의 사적이전소득 구축효과: 노인가구와 비노인가구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30 (30): 63-92, 2012

      31 석상훈, "고령자 세대의 소득분포 및 소득이동" 한국재정학회 2 (2): 61-88, 2009

      32 OECD, "Economic Survey of Korea 2014" 2014

      33 Lee, S., "Consumption Patterns and Economic Status of Older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Monthly Labor Review September 2014

      34 Thaler, R. H., "Anomalies: Saving, Fungibility, and Mental Accounts" 4 (4): 193-205,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2.07 2.56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