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평균적으로 학업성취에 있어 우세한지, 그리고 학교간 학업성취 차이가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한다. 사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66165
2015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1-3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평균적으로 학업성취에 있어 우세한지, 그리고 학교간 학업성취 차이가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한다. 사립...
본 연구는 한국의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평균적으로 학업성취에 있어 우세한지, 그리고 학교간 학업성취 차이가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한다. 사립학교 효과 연구는 미국 교육사회학의 주요한 주제이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어 왔다. 한국에서도 여러 연구를 통해 한국의 사립학교 효과 유무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자료와 통계 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1999년에서 2012년까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를 3수준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립학교 효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평준화 지역으로 분석 대상을 한정하였으며, 평준화 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모집단의 80%에 이르는 표본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사립학교 간 평균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성적의 학교간 분산이 사립학교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시간이 갈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고등학교 다양화 정책에 따라, 사립학교간 학교 편차가 공립학교간 학교 편차보다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에서 사립학교의 어떠한 특성이 이를 가능하게 했는지에 대해 간단히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s private school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 between 1999 and 2012. I us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1999~2012) by applying a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I analyze students who ...
The current study examines private school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 between 1999 and 2012. I us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1999~2012) by applying a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I analyze students who attended schools to which Equalization Policy applied to estimate causal private school effects. The analyses showed the followings. There was little private school advantage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on average. Despite little private school effect, private schools were much more heterogeneous than public schools in affecting students’ outcomes. Furthermore, sector differences in school-level heterogeneity tend to increase over time. I interpret this diverging trend as a consequence of sector differences in responses to changing educational policies that emphasized divers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e research should explore different school-level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educational settings between school sectors.
목차 (Table of Contents)
청년층의 취업과 임금이 결혼이행에 미치는 영향 : 이산시간 해저드 모형의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