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낙동강 상류의 하천변 식생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삼림 및 관목성 식생- = A Synecological Study of the Riverside Vegetation of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Forest and Shrub Vege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33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상북도 낙동강 상류부의 삼림 및 관목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3군강에 속하는 1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 4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A-1 단풍나무-너도밤...

      경상북도 낙동강 상류부의 삼림 및 관목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3군강에 속하는 1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 4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A-1 단풍나무-너도밤나무군강군, 물푸레나무-느릅나무군목, 미정의 군단: 1) 들메나무군락: 느티나무군목(가칭), 느티나무군단(가칭): 2) 느티나무군락, A-2 나도버들군강, 버드나무군목, 버드나무군단: 3)버드나무-왕버들군집, 4) 버드나무군집, 5) 시무나무군집, 6) 갯버들군집, 7) 눈갯버들군집, 8) 선버들군집, A-3 찔레꽃군강, 마-칡군목, 쥐다래-왕머루군단: 9)국수나무군락, 10)구기자나무군락, A-4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11) 누리장나무군락, 12) 가죽나무군락, 13) 아까시나무군락, 14) 족제비싸리군락. 본 연구에서 식별된 군락단위는 cluster분석의 결과와 아주 잘 일치하였다. 다변량 분석에 있어서 주성분분석의 결과는 이보다 덜 일치하였으나 인위적 영향에 따라 집합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들 삼림 및 관목의 식생단위는 일본의 것과 공통성이 높은 초본군락과는 달리, 군집레벨에서 한국에 고유한 다섯 개의 식생단위를 포함하였다. 이상의 군락생태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자연보호 등에 관해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orest and shrub vegetation in the riverside of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o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based on the method of ZM school of phytosociology.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e vegetati...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orest and shrub vegetation in the riverside of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o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based on the method of ZM school of phytosociology.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e vegetation units as ten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belonging to three classes, and four communities unclear to the upper units. The identified vegetation units were as follows: A-1 Acero-Fagetea class group, Fraxino-Ulmetaria, undecided alliance: 1)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Zelkovetalia(prov.), Zelkovion(prov.): 2) Zelkova serrata community, A-2 Salicetea sachalinensis, Salicetalia koreensis, Salicion koreensis: 3) Salicetum koreensio-chaenomeloides, 4) Salicetum koreensis, 5) Hemipteletum davidii, 6) Salicetum gracilistylae, 7) Salicetum graciliglandis, 8) Salicetum subfragilis, A-3 Rosetea multiflorae, Dioscoreo-Puerarietalia lobatae, Actinidio-Vition coignetiae: 9) Stephanandra incisa community, 10) Lycium chinense community, A-4 unclear upper units: 11) Clerodendron trichotomum community, 12) Ailanthus altissima community, 13)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14) Amorpha fruticosa community. The community units identified by the study corresponded with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quite nicely while the result of PCA analysis in multivariate analyses showed less correspondence with cluster analysis result, but it was interpreted as a degree of aggregation according to anthropogenic influence. The vegetation unit of forests and shrubs, unlike the herbal community in highly common with those of Japan, included five vegetation units unique to Korea at a collective level. On the basis of the above synecological study, this research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each community and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etc.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