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의 연령, 성별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 아동의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부모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와 취학 전 아동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연령, 성별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 아동의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부모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와 취학 전 아동의 ...
본 연구는 아동의 연령, 성별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 아동의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부모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와 취학 전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관련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 및 아동교육현장에서 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친사회적 행동 발달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부모, 아동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규명하여 아동발달을 위한 부모교육 자료로 활용하며,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6개 유치원 6, 7세 아동 207명과 어머니, 아버지 41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동의 기질 척도, 부모의 양육행동척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척도,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통계처리는 SPSS ver 13.0을 사용하여 t-test를 사용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 변인 중 대인관계능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아동의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은 어떠한 상관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은 어머니의 허용방임양육행동이 아동의 대인관계 능력에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아버지의 온정수용양육행동이 아동의 대인관계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넷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머니의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총점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부적상관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총점과 아동의 대인관계능력이 부적상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다섯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은 대인관계 능력에서는 아버지의 온정수용 양육행동, 어머니의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 아동의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밝혀졌으며, 친사회적 행동 총점에서는 어머니의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f Temperament,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Kim, Su Kyoung Department of Home management Graduate School Inche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
ABSTRACT
A Study of Temperament,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Kim, Su Kyoung
Department of Home management
Graduate School Inche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tinct of child's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variable of child's age, gender and relation of parent's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effect of related variables to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mployed parents of children at the age of 6, 7 who were attending a kindergarten in Seoul, Inchoen, Kyunggi area. A total of 414 parent and 207 childre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method of analysis are questionnaire of the scale of temperament,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prosocial behavior. Data were analyzed on mean,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rogram 13.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re is statistical meaningful distinction in forming relationship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s children's gender.
Second, it is found there is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prosocial behavior.
Third, it is found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forming relationship of prosocial behavior and mother's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Also, it is found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warmth parenting and prosocial behavior.
Fourth, it is found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control skills of personal emo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forming relationship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Fifth, children's forming relationship of prosocial behavior is effective children's gender, fa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 and stress related expectation of mother. Also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s effective stress related expectation of m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