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지방 고적보존회의 활동에 대한 일고찰-개성보승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Local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With a focus on Gaeseong Boseunghoi(개성보승회)-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제강점기 각 지방 고적보존회의 현황 및 활동을 정리하고, 그 가운데 개성지역을 중심으로 일제의 ‘고적조사’를 빌미로 한 약탈 사례 및 개성보승회의 활동과 개성부립박물관 ...

      이 글은 일제강점기 각 지방 고적보존회의 현황 및 활동을 정리하고, 그 가운데 개성지역을 중심으로 일제의 ‘고적조사’를 빌미로 한 약탈 사례 및 개성보승회의 활동과 개성부립박물관 설립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일제강점기 지방 고적보존회 활동의 한 면모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일제는 식민통치의 논리를 합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식민사관을 마련하였고, 그 일환으로 유적과 유물을 활용하고자 고적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인적ㆍ재정적인 제한으로 전국적인 사업으로 확대하는 데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총독부는 고적조사사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면서 이미 1910년대부터 각 지방에서 설립되었던 지방 고적보존회를 파악하였다. 당시 지방 고적보존회는 중앙의 古蹟調査事業을 보조ㆍ지원하는 현지 시행부서의 성격을 지니며, 지역의 고적을 ‘보존’한다는 명목하에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 지방 고적보존회는 전국적으로 설립되어 현재까지 총 50여 개로 파악되는데, 이들 고적보존회의 성격은 지역의 역사적 고적 ‘보존’ㆍ수리, 특정 유적지 보존 관리를 위해 설립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그 외에 임진왜란과 관련된 유적지를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가 포함되었다. 대개는 1910년대부터 시작하여 1930년대까지 꾸준히 설립되었으며, 단순하게 지역의 고적 문화를 보존하는 차원을 넘어 지역의 유적을 관광상품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나름의 노력들을 강구하였다. 특별히 일제가 일찍부터 관심을 갖고 고적조사를 실시하였던 지역의 고적보존회는 지방박물관 설립의 모태가 되었는데, 경주ㆍ부여ㆍ평양ㆍ개성ㆍ공주가 그 대상지역이다.
      이 가운데 개성지역은 고려의 古都로서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던 지역으로 일찍이 일본인 도항자들에 의해 상업 및 고려자기의 약탈 등으로 주목을 받던 지역이었다. 일본인들에 의한 고분 약탈이 심해지자 그 지역의 유적과 유물을 보존코자 1912년에 개성보승회를 관민 합동으로 설립하였다. 그러나 초기에서는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활발한 활동을 보이지 못하였으며, 1930년 개성군의 부제 실시로 인하여 그 활동을 본격적으로 재기하였고, 그 일환으로 박물관 설립까지 진행하였다.
      개성부립박물관은 다른 박물관과는 달리 초기부터 조선인 관장을 두고, 박물관의 건물 또한 순조선풍의 건물로 건립함으로써 조선적인 면모를 드러내고자 노력하였으며, 진열면에서 그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개성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개성박물관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입장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거기에 박물관 관장의 전문성이 작용하였던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재정적인 한계로 인해 조선총독부와 연계성에서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유물 수집의 적극적인 활동 면에서도 미약한 점을 드러내었다.
      요컨대 일제강점기 지방 고적보존회를 모체로 발전한 지역 박물관들은 식민사관의 전시공간으로서, 지역의 문화 향상과 교통ㆍ숙박 시설의 마련 등을 통한 관광명소화 작업을 함께 진행시켜나감으로써, 일제 식민통치의 ‘선전’에 역사 유적 및 유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반면, 개성지역의 경우는 일본인들에 의한 고려고분의 도굴로 인한 매장 유물의 무작위 반출 및 약탈이 빈번한 가운데 개성보승회 활동과 개성부립박물관의 설립을 통해 고분 안에 매장되었던 유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sort 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activities of each local conservation society of historical remains, investigate the exploitations around Gaeseong at the excuse of “examination of historical remains” by Japan, and review ...

      This study set out to sort 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activities of each local conservation society of historical remains, investigate the exploitations around Gaeseong at the excuse of “examination of historical remains” by Japan, and review the activities of Gaeseong Boseunghoi and the founding of Gaeseong Burip Museum(개성부립박물관), trying to understand what kind of activities the local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engaged in during the Japanese rule.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created a colonial view on history to make the logic of colonial rule legitimate and started to investigate Chosun’s historical remains to utilize its relics and artifacts. However, the personnel and financial restrictions made it difficult to expand the campaign nationwide. Beginning the investigation of historical remains in full scale in the 1910s,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launched an examination of local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which were founded to supplement and support the central government’s project of investigating historical remains as local execution agencies and to “conserve” local historical remains.
      During the Japanese rule,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were set up all over the nation totaling 50 in number. Most of them aimed to ‘conserve’ and repair historical remains of the local areas and monitor certain relics. The remaining few were established to conserve the relics related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ir foundation continued from the 1910s to the 1930s with the goals of conserving the historical remains and culture of each region and further making local relics tourist destinations. The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in the areas, which the Japanese rulers had special interest in and made active investigations into, became the matrix for local museums. Those areas include Gyeongju(경주), Buyeo(부여), Pyeongyang(평양), Gaeseong(개성), and Gongju(공주).
      As an old city of Goryeo, Gaeseong was rich in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and received Japanese visitors’ concentrated attention to exploit its commercial venues and Goryeo china. In the midst of the severe rampage of ancient tombs in the city by the Japanese,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general public collaborated and set up Gaeseong Boseunghoi in 1912 to conserve the area’s relics and artifacts. In the early days, the association could not do active activitie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In 1930 when Gaeseong-gun became Gaeseong-bu, however, its activities were put on the track till they founded a museum.
      Gaeseong Burip Museum, unlike other museums, had a Chosun curator from the beginning and a Chosun-style building to reflect Chosun aspects in every detail. Such characteristics were especially well demonstrated in its display. It’s all due to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s different position toward Gaeseong with its particular local features and the museum. In addition, the curator’s professionalism played a role, as well. However, it’s never free from the ties with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because of financial situations and was not active in collecting artifacts.
      Local museums that developed from local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during the Japanese rule served as the display space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at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tried to disseminate. They were developed along with tourism projects through enhanced local culture and improved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Japan tried to make active use of Chosun’s historical relics and artifacts for its colonial “propaganda.” In Gaeseong, the Japanese were ferocious with their relentless smuggling and exploitation of ancient Goryeo tombs. Thus the citizens made efforts to display the remains from the tombs at the modern museum through the activities of Gaeseong Boseunghoi and Gaeseong Burip Museum. In the process, of cour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석영, "한국박물관의 ‘근대적’ 유산" 서경문화사 2004

      2 이구열, "한국 문화재 수난사" 돌베개 1996

      3 최석영, "한국 근대의 박람회ㆍ박물관" 서경문화사 2001

      4 "중앙일보"

      5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발행 문서 자료"

      6 "조선중앙일보"

      7 "조선일보"

      8 목수현, "일제하 박물관의 형성과 그 의미" 서울대 2000

      9 황수영, "일제기 문화재 피해자료" 22 : 1973

      10 이순자,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 연구" 숙명여대대학원 2007

      1 최석영, "한국박물관의 ‘근대적’ 유산" 서경문화사 2004

      2 이구열, "한국 문화재 수난사" 돌베개 1996

      3 최석영, "한국 근대의 박람회ㆍ박물관" 서경문화사 2001

      4 "중앙일보"

      5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발행 문서 자료"

      6 "조선중앙일보"

      7 "조선일보"

      8 목수현, "일제하 박물관의 형성과 그 의미" 서울대 2000

      9 황수영, "일제기 문화재 피해자료" 22 : 1973

      10 이순자,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 연구" 숙명여대대학원 2007

      11 "우현 고유섭 전집 7권" 열화당 2007

      12 국성하, "우리 박물관의 역사와 교육" 혜안 2007

      13 정규홍, "우리 문화재 수난사" 학연문화사 2005

      14 小宮三保松, "서언 in: 이왕가박물관소장품사진첩"

      15 송경록, "북한향토사학자가 쓴 개성이야기" 푸른솔 2000

      16 "별건곤"

      17 "매일신보"

      18 "동아일보"

      19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60년" 계문사 2006

      20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고문서 목록"

      21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 "국권회복운동판결문집" 정부기록보존소 1995

      22 국립중앙박물관, "광복 이전 박물관 자료목록집" 1997

      23 김인철, "고려무덤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백산자료원) 2003

      24 진홍섭, "개성박물관의 회고 in: 개성" 예술춘추사 1970

      25 "개벽"

      26 이성시, "黑板藤美를 통해본 식민지와 역사학" 23 : 1999

      27 今西龍, "高麗諸陵墓調査報告書 in: 대정5년도 고적조사보고" 1917

      28 難波專太郞, "高麗の舊都開城に遊ぶ" (226) : 1926

      29 關野貞, "韓國建築調査報告" 동경제국대학공과대학 1904

      30 口卯橘, "開城郡高麗王陵誌" 개성도서관 1927

      31 岡本嘉一, "開城案內記(영인본)"

      32 국립박물관 개성분관, "開城府立博物館案內記" 1949

      33 "純朝鮮式の開城博物館" 1931

      34 고유섭, "松都の古蹟" 경인문화사

      35 조선총독부, "朝鮮古蹟調査報告"

      36 조선총독부, "朝鮮古蹟圖譜 전15권"

      37 "朝鮮及滿洲"

      38 小泉顯夫, "朝鮮博物館見學旅日記" 1933

      39 "朝鮮の博物館と陳列館(1)" 1938

      40 "朝鮮"

      41 "大日本帝國議會誌(제2권 제7장)" 議會 貴族院

      42 "在韓の本邦人足(내외휘보 조선) in: 日淸戰爭實記 제2편" 박문관 1894

      43 吉倉凡農, "古蹟探見 in: 企業案內 實利之朝鮮" 大星堂書店 1904

      44 小泉顯夫, "古墳發掘漫談" 1932

      45 "博物館硏究"

      46 "博物館の仕事-模寫と撮影" 1 (1): 1928

      47 "京畿道事情大要(영인본)"

      48 "京城美術俱樂部創業20年記念誌" 주식회사 경성미술구락부 1942

      49 "トルメン"

      50 善生永助, "に於ける高麗燒の秘藏家" 1926

      51 조규태, "1930년대 한글 신문의 조선문화 기사와 조선문화 운동론" 2008

      52 이지원, "1930년대 민족주의계열의 고적보존운동" 77 :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