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요구 선별척도(KMS-CDD)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 Mental Health Needs Screening Scal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KMS-CD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5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KMS-CDD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he survey was developed based on a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eries of feedbacks via focus group interviews (FGIs) from different groups (parents, teachers, psychiatrist). A cross-sectional stu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7-20 years was utiliz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within 40 special schools from different level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nation. The sample included a total of 1,352, which represent male (n=867, 64.1%), autistic spectrum disorder (n=416, 30.8%),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n=908, 67.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utilized in order to asses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developed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CFA was done by Mplus 7.2. FIML was employed to handle missing data. The CFA results indicated an overall acceptable fit of the model. The final model for the four factors showed fit indices with χ2(507) = 3324.898, p < 0.001, CFI = 0.826, TLI = 0.807, RMSEA = 0.064 (90% CI: 0.062-0.066), SRMR = 0.068.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KMS-CDD represents a viable measurement tool for screening the mental health nee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etc.). No other scale has attempted to measure the mental health nee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The KMS-CDD may provide more options for teachers and psychiatrists who are seeking a screening tool for children with mental health needs in schools and communities. So far, the issue of comorbidity has not yet been studied as needed in Korea, especially in the part of the population that has cognitive limitation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is first screening scale for dual diagnosis, in th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l help pave the way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further ongoing treatment for those who have bo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ental health need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KMS-CDD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he survey was developed based on a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eries of feedbacks via focus group interviews (FGIs) from 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KMS-CDD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he survey was developed based on a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eries of feedbacks via focus group interviews (FGIs) from different groups (parents, teachers, psychiatrist). A cross-sectional stu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7-20 years was utiliz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within 40 special schools from different level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nation. The sample included a total of 1,352, which represent male (n=867, 64.1%), autistic spectrum disorder (n=416, 30.8%),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n=908, 67.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utilized in order to asses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developed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CFA was done by Mplus 7.2. FIML was employed to handle missing data. The CFA results indicated an overall acceptable fit of the model. The final model for the four factors showed fit indices with χ2(507) = 3324.898, p < 0.001, CFI = 0.826, TLI = 0.807, RMSEA = 0.064 (90% CI: 0.062-0.066), SRMR = 0.068.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KMS-CDD represents a viable measurement tool for screening the mental health nee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etc.). No other scale has attempted to measure the mental health nee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The KMS-CDD may provide more options for teachers and psychiatrists who are seeking a screening tool for children with mental health needs in schools and communities. So far, the issue of comorbidity has not yet been studied as needed in Korea, especially in the part of the population that has cognitive limitation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is first screening scale for dual diagnosis, in th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l help pave the way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further ongoing treatment for those who have bo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ental health nee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요구(mental health needs)를 측정하는 선별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발달장애인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전문적 개입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잠재적 ‘이중진단’(dual diagnosis)에 대한 관심도 가중되고 있다. 이에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요구를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40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1,352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담당하고 있는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관련 문헌연구와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54개의 문항 초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이론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4개 하위요인, 총 34개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4개 요인 34개 문항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모델 도출과 하위요인별 구성개념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모형이 χ²(507)= 3924.899(p<.001), CFI=.826, TLI=.807, RMSEA=.068, SRMR=.068 등으로 비교적 양호한 적합도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 수준은 4개 하위영역 Cronbach’s α값이 .686에서 .805까지로, 그리고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899로 이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개발된 척도는 ‘한국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요구 선별척도’(Korea Mental Health Needs Screening Scal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MS-CDD)로 명명하였다. 학령기 전체 연령의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에게 사용 가능한 이 척도 개발의 의의와 임상적 적용시 유의사항,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와 현장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요구(mental health needs)를 측정하는 선별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발달장애인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전문적 개입요...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요구(mental health needs)를 측정하는 선별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발달장애인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전문적 개입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잠재적 ‘이중진단’(dual diagnosis)에 대한 관심도 가중되고 있다. 이에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요구를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40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1,352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담당하고 있는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관련 문헌연구와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54개의 문항 초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이론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4개 하위요인, 총 34개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4개 요인 34개 문항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모델 도출과 하위요인별 구성개념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모형이 χ²(507)= 3924.899(p<.001), CFI=.826, TLI=.807, RMSEA=.068, SRMR=.068 등으로 비교적 양호한 적합도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 수준은 4개 하위영역 Cronbach’s α값이 .686에서 .805까지로, 그리고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899로 이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개발된 척도는 ‘한국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요구 선별척도’(Korea Mental Health Needs Screening Scal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MS-CDD)로 명명하였다. 학령기 전체 연령의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에게 사용 가능한 이 척도 개발의 의의와 임상적 적용시 유의사항,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와 현장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경,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34, 2018

      2 박승희,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척도(QLS-KADD)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167-203, 2019

      3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4 김수연, "지적장애: 정의, 분류 및 지원체계" 교육과학사 2011

      5 박승희,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 - 현재 진전과 미래 진전을 위한 과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31, 2014

      6 Luckasson, R., "정신지체: 정의, 분류, 지원의 체계" 교육과학사 1994

      7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8 홍주희, "교육청이 운영한 긍정적 행동지원 개별지원팀 구성원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1-29, 2020

      9 Leonard, H., "The epidemiology of mental retardation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new millennium" 8 (8): 117-134, 2002

      10 Cullinan, D.,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 introduction for teachers and other helping professionals"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007

      1 김유경,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34, 2018

      2 박승희,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척도(QLS-KADD)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167-203, 2019

      3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4 김수연, "지적장애: 정의, 분류 및 지원체계" 교육과학사 2011

      5 박승희,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 - 현재 진전과 미래 진전을 위한 과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31, 2014

      6 Luckasson, R., "정신지체: 정의, 분류, 지원의 체계" 교육과학사 1994

      7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8 홍주희, "교육청이 운영한 긍정적 행동지원 개별지원팀 구성원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1-29, 2020

      9 Leonard, H., "The epidemiology of mental retardation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new millennium" 8 (8): 117-134, 2002

      10 Cullinan, D.,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 introduction for teachers and other helping professionals"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007

      11 Steiger, J. H.,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1980

      12 Lindsey, M., "Seminars in the psychiatry of learning disabilities" Gaskell Press 81-104, 1997

      13 채서일, "SPSS 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학현사 2002

      14 Dykens, E. M., "Psychopathology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41 : 407-417, 2000

      15 Benson, B. A.,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mental health problems" 17 (17): 353-357, 2004

      16 Bouras, N., "Psychiatric and behavioural disorders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ental retard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7 Tonge, B. J., "Psychiatric ad behavioural disorders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ental retard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7-174, 1999

      18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 2015

      19 Emerson, E.,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47 (47): 51-58, 2003

      20 Reiss, S., "Prevalence of dual diagnosis in community-based day programs in the Chicago metropolitan area" 94 : 578-585, 1990

      21 Emerson, E., "Poverty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3 (13): 107-113, 2007

      22 Cooper, S. A., "Mental ill-health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190 (190): 27-35, 2007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A state of well-being"

      24 Werner, S., "Mental health : Knowledge, attitudes and training of professionals on dual diagnosi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sychiatric disorder" 56 (56): 291-304, 2012

      25 Deb, S., "Mental disorder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1:Prevalence of functional psychiatric illness among a community‐based population aged between 16 and 64 years" 45 (45): 495-505, 2001

      2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Key Substance Use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2018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9

      27 McGilvery, S., "Intellectual disability and mental health: A training manual in dual diagnosi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Dually Diagnosed (NADD) Press 2011

      28 Paschos, D., "Handbook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Guilford Press. 483-500, 2007

      29 Reiss, S., "Emotional disturbance and mental retardation:Diagnostic overshadowing" 86 : 567-574, 1982

      30 Fletcher, R., "Diagnostic manual-intellectual disability(DM-ID): A clinical guide for diagnosis of mental disorders in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NASS Press 2007

      31 Barnhill, L. J., "Diagnostic manual intellectual disability 2(DM-ID): A textbook of diagnosis of mental disorders in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NASS Press 2017

      32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DC-LD; Diagnostic criteria for psychiatric disorders for use with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mental retardation" RCPsych Publications 2001

      33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34 Harrington, 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5 Sourander, A., "Childhood predictor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from age 8 to 16" 14 (14): 415-423, 2005

      36 Kauffman, H. M.,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 Pearson 2018

      37 Baker, B. L., "Behavior problems and parenting stress in families of three-year-ol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107 (107): 433-444, 2002

      38 Costello, H., "Assessment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43 (43): 241-251, 2006

      39 Summers, J., "A comprehensive guide to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ul H. Brookes 679-694, 2017

      40 보건복지부, "2020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삶" 보건복지부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